오크니밭쥐
Orkney vole오크니밭쥐 | |
---|---|
트링 자연사박물관의 오크니 들쥐(Microtus arvalis orcadensis)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젖꼭지 |
주문: | 설치류 |
패밀리: | 비단털쥐과 |
서브패밀리: | 알비콜리나과 |
속: | 마이크로투스 |
종류: | |
아종: | 오카덴시스 |
삼항명 | |
오카덴시스모시카도리 | |
동의어 | |
오카덴시스 |
오크니밭쥐(Microtus arvalis orcadensis)는 스코틀랜드 북부 해안의 오크니 제도 및 [3]건시 채널 섬에서 발견되는 일반적인 들쥐(Microtus arvalis)의 개체군이다.오크니밭쥐는 일반 [3]들쥐의 다른 개체군보다 약 10% 더 크다.일반 들쥐는 나머지 브리튼 제도에는 없다.
분포 및 서식
오크니밭쥐는 본토, 샌데이, 웨스트레이, 루세이, 사우스 론들세이, 버레이, 에데이, 스트론세이 [4]등 8개 섬에서 발견된다.
분류법
과거에 이들 섬의 개체군은 아종으로 명명되었고, 오크니 들쥐는 일반 들쥐와의 크기 차이 때문에 일부 분류학자에 의해 전체적으로 일반 들쥐의 아종으로 간주되고 있다.그러나 DNA 분석 결과 [5]현재 벨기에에서 신석기 인류가 옮긴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은 일반적인 [2]들쥐의 아종을 인정하지 않는다.그러나 염색체 연구는 대륙산 들쥐보다 두 배 더 무겁지만, 그들은 동종이며 [4]아종으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기원.
미크로투스 아르발리스는 영국 본토나 영국 제도의 다른 곳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오크니 들쥐들은 스코틀랜드와 오크니를 연결하는 육교가 사라졌을 때 남겨진 유물의 개체군이라는 가설은 더 경쟁적인 마이크로투스 아그레스티가 스코틀랜드 북부에 도달했을 때 남겨졌다.이 이론은 이제 고생물학적, 생태학적, 생물학적, 지질학적 이유로 거부되었다.
신석기 시대에 사람들이 오크니 군도에 들여온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아마도 동물 사료에 숨겨져 있을 것이다.오크니에서 가장 오래된 방사성 탄소 연대 화석으로 알려진 것은 4,600년 전의 것으로,[4] 이것은 가장 최근의 도입 가능한 날짜이다.
레퍼런스
- ^ Marshall, Claire (13 June 2018). "One in five British mammals faces extinction". BBC News.
- ^ a b Wilson, D.E.; Reeder, D.M., eds. (2005).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3rd e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 ^ a b "'Giant' vole found during island study". BBC News. 22 October 2018.
- ^ a b c Thaw, Susan; Jaarola, Maarit; Searle, Jeremy B.; Dobney, Keith M. (2001). "Lost in Space: the origin of the Orkney vole Microtus arvalis orcadensis and its potential for reconstructing human dispersal and trade and exchange networks in the Neolithic". Orkney Archaeological Trust. Retrieved 1 March 2020.
- ^ Martínková, Natália; Barnett, Ross; Cucchi, Thomas; Struchen, Rahel; Pascal, Marine; Pascal, Michel; Fischer, Martin C.; Higham, Thomas; Brace, Selina (1 October 2013). "Divergent evolutionary processes associated with colonization of offshore islands". Molecular Ecology. 22 (20): 5205–5220. doi:10.1111/mec.12462. ISSN 1365-294X. PMC 4159590. PMID 23998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