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랜도 B. 윌콕스
Orlando B.올랜도 볼리바르 윌콕스 | |
---|---|
![]() 올랜도 B. 윌콕스 | |
태어난 | 디트로이트, 미시건 주 | 1823년 4월 16일
죽은 | 1907년 5월 11일 온타리오 주 코부르 | (84세)
매장지 | |
얼리전스 | 미국 유니온 |
서비스/지점 | 미국 육군 유니온 아미 |
근속년수 | 1847–1857 1861–1887 |
순위 | ![]() ![]() |
보유된 명령 | 미시간 제1 보병 연대 1사단, IX군단 3사단, IX 군단 IX 군단 미주리 주 |
전투/와이어 | 멕시코-미국 전쟁 제3차 세미놀 전쟁 미국 남북 전쟁 |
수상 | 메달 오브 아너 |
올랜도 볼리바르 윌콕스(Ollando Bolivar Willcox, 1823년 4월 16일 ~ 1907년 5월 11일)는 미국 남북전쟁 당시 연합군에서 장군을 지낸 미군이다.
초년기
윌콕스는 미시건 주 디트로이트에서 태어났다. 그는 1843년 뉴욕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다. 1847년 졸업에 이어 미 제4포병대 중위로 임관했다. 그는 그 후 40년 동안 다양한 자격으로 미 육군에서 복무할 것이다. 윌콕스는 멕시코-미국 전쟁에 참전했고, 국경에서 인디언들과 싸웠으며, 다시 제3차 세미놀 전쟁에 참전했다. 후자의 분쟁에 뒤이어 1857년 육군에서 물러났다.[1]
내전
남북전쟁이 시작되었을 때, 윌콕스는 디트로이트에서 법을 연습하고 있었다. 그는 미시간 제1기 의용 보병대 대령으로 임명되었다. 그는 사무엘 P 소장의 여단을 지휘하던 중 제1차 불런 전투(퍼스트 마나사스)에서 부상을 입고 포로로 잡혔다. 하인첼만 사단. 이후 전투 중 "가장 뛰어난 용맹"으로 1895년 명예훈장을 받았다.[1]
1년여가 지난 1862년 8월 19일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은 윌콕스를 자원봉사자 준장으로 임명해 1861년 7월 1일부터 순위를 매겼다.[2] 대통령은 1863년 3월 7일 마지막인 세 차례 지명서를 제출해야만 미국 상원이 1863년 3월 11일 임명장을 최종 확정했다.[2] 윌콕스는 1862년 암브로즈 번사이드 소장의 IX 군단 1사단을 지휘했다. 안티탐 전투에서는 사단을, 프레데릭스버그 전투에서는 사단을 이끌었다.[1]
1863년 초안 폭동 때 윌콕스는 인디애나주와 미시건 구를 지휘했다. 그는 녹스빌에서 그리고 중령 시절에 다시 사단을 지휘했다. 율리시스 그랜트의 오버랜드 캠페인. 1864년 12월 12일,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은 윌콕스를 1864년 8월 1일부터 서열할 자원 봉사자 소장의 브레베트 등급에 임명할 것을 지명했고, 1865년 4월 14일 미국 상원이 임명을 확정했다.[3] 페테르부르크 공성전에 이어 버지니아 주 페테르부르크에 첫 군대를 이끌고 진입한 뒤 노스캐롤라이나에서 복무하던 전쟁을 끝냈다.[1] 그는 1866년 1월 15일 자원 봉사자들로부터 쫓겨났다.[4]
만년
윌콕스는 변호사 활동을 재개하기 위해 디트로이트로 돌아왔지만 1866년 7월 미국(정규군)이 확대되자 미 29보병연대 대령 임명을 받아들였다.[5]
1867년 3월 26일 앤드루 존슨 대통령은 윌콕스를 1867년 3월 2일부터 준장 계급인 미국(정규군)에 임명할 것을 지명했고, 1867년 4월 5일 미국 상원이 임명을 확정했다.[6] 또 지명, 계급, 확인의 같은 날짜에 존슨 대통령이 지명하고 미국 상원은 윌콕스를 미국 소령(정규군)의 브레벳 등급에 임명하는 것을 확정했다.[7]
윌콕스는 1869년 미 12보병연대로 전입해 애리조나주 사령관이 된 1878년까지 짧은 기간을 제외하고는 샌프란시스코에서 복무했다.[5] 이 자격으로 아파치 인디언의 습격도 진압했다.[5] 그는 서구에서 근무한 공로로 아리조나 입법부로부터 감사 표결을 받았다. 윌콕스는 1886년 10월 13일 준장으로 임명되었다.[4] 1886년부터 1887년까지 그는 미주리 주의 부서장이었다. 그는 1887년 4월 16일 준장으로 퇴역했다.[1][4] 은퇴 후, 윌콕스는 1889년 2월 27일부터 1892년 7월 8일까지 워싱턴 D.C.의 군인회관의 주지사였다.[4]
윌콕스 장군은 미국의 충성 군단 군사령부와 미국 혁명의 아들 협회의 컬럼비아 지구 특공대 소속이었다.
윌콕스는 1905년에 캐나다로 이사했다.[4] 그는 84세의 나이로 온타리오주 코부르에서 사망했으나 버지니아주 알링턴 국립묘지 제1절 무덤 18에 묻혔다.[8]
명예
애리조나의 윌콕스 마을은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지어졌다.[5]
명예훈장 표창
순위 및 조직: 대령님, 미시간 제1 보병대. 장소 및 날짜: 1861년 7월 21일 Va, Bull Run에서. 디트로이트, 마이클에 서비스 시작 출생: 디트로이트, 마이클 발행일: 1895년 3월 2일.
- 인용
부상을 입고 포로가 [9]될 때까지 반복해서 기소했지
참고 항목
메모들
- ^ a b c d e "Orlando B. Willcox, Medal of Honor recipient". Arlington National Cemetery Biography. Arlington National Cemetery profile. June 27, 2006. Retrieved December 6, 2007.
- ^ a b 아이허, 존 H, 데이비드 J. 아이허, 남북 전쟁 고등 사령부. 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01. ISBN 0-8047-3641-3. 페이지 731
- ^ 아이허, 2001, 페이지 715
- ^ a b c d e 아이허, 2001, 페이지 570
- ^ a b c d 워너, 에즈라 J. Generals in Blue: Lives of the Union Commanders. 바톤 루즈: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출판부, 1964. ISBN 0-8071-0822-7. 페이지 558–559
- ^ 2001년 Eicher, 페이지 738
- ^ 아이허, 2001, 페이지 709
- ^ 알링턴 국립묘지
- ^ "Orlando B. Willcox, Medal of Honor recipient". Medal of Honor citations.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June 8, 2009. Retrieved December 6, 2007.
참조
- 아이허, 존 H, 데이비드 J. 아이허, 남북 전쟁 고등 사령부. 스탠포드: 스탠포드 대학 출판부, 2001. ISBN 0-8047-3641-3
- 워너, 에즈라 J. Generals in Blue: Lives of the Union Commanders. 바톤 루즈: 루이지애나 주립대학 출판부, 1964. ISBN 0-8071-0822-7
- "Orlando B. Willcox, Medal of Honor recipient". Medal of Honor citations.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June 8, 2009. Retrieved December 6, 2007.
- "Orlando B. Willcox, Medal of Honor recipient". Arlington National Cemetery Biography. Arlington National Cemetery profile. June 27, 2006. Retrieved December 6, 2007.
- 뉴욕타임스 "브릭스. 윌콕스 장군은 1907년 5월 11일, 페이지 7에 "멕시코와 내전 및 인도 전역의 참전 용사였습니다."
추가 읽기
- 잊혀진 발레리: 올랜도 B의 회고록, 저널, 남북전쟁 편지. 윌콕스, 올랜도 B 윌콕스와 로버트 가스 스콧(199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