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르니토스셀리다

Ornithoscelida
오르니토셀리데스속
시간 범위:
후기 트라이아스기 – 현재, 231.4-0 Pre S C T K N
Smithsonian Museum of Natural History Triceratops.jpg
Passer domesticus male (15).jpg
트리세토프 호리두스의 기마골(위)과 수컷 집참새(아래쪽, Passer domestus, passer domestus.
과학적 분류 e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Clade: 공룡목
Clade: 오르니토스셀리다
1870년 헉슬리
서브그룹

오르니토셀리다(Ornithoscelida)[1]는 공룡의 다양한 주요 집단을 포함하는 분류군이다.Ornithoscelida 목은 원래 Thomas Henry Huxley에 의해 제안되었지만, 후에 해리 고비에 Seeley가 공룡을 사우리샤와 Ornithischia로 분할하기 위해 포기되었습니다.이 용어는 Baron 등의 새로운 클래디스트 분석을 거쳐 2017년에 부활했다.

헉슬리의 개념

토마스 헨리 헉슬리는 원래 1869년 강의에서 이 용어를 두 개의 하위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 정의했다: 크고 무거운 세트의 공룡과 그가 새로운 그룹인 콤프소그나타([2]Compsognathus)에 넣은 새로 발견된 콤프소그나투스.전자는 짧은 경추와 경골 길이를 초과하는 대퇴골 길이, 후자는 긴 경추와 경골 길이보다 짧은 대퇴골 길이로 정의되었다.그는 그들의 뼈의 특징이 새와 비슷한 많은 특징을 보여준다는 것을 주목했다.공룡 헉슬리는 세 의 과로 나뉘었다.

S. Williston(1878)은 공룡의 콤프소그나투스를 포함시켜 공룡을 용각류와 오르니토셀리다로 나눴다.후자는 수각류와 조류류로 [3]간주되는 분류군을 포함한다.

이 분류는 공룡을 두 개의 주요 분파인 사우리샤와 오르니티샤로 [4]분류한 해리 고비에 실리의 지배적인 분류 체계 때문에 빠르게 사용되지 않게 되었다.

현대 이론

21세기 초에, 초기 조류헤테로돈토사우루스레소토사우루스에 대한 개선된 기술들은 조류의 기원에 대한 이용 가능한 정보를 크게 증가시켰다.2017년 3월, 매튜 배런, 데이비드 노먼, 폴 배럿의 네이처 저널에 실린 논문은 더 이상 헤레라사우루스과를 포함하지 않는 수각류 공룡이 용각류 공룡이 속한 사우로포도모파보조류 공룡과 더 가까운 관련이 있다는 분석을 발표했다.이전의 분석에서는 수각류와 사우로포도형류를 사우리시아에 결합시켜 조류목은 제외했다.이 그룹들은 또한 이를 반영하기 위해 공식적으로 정의되었다.이러한 표준적인 정의를 사용한다면, 새로운 결과는 오르니티샤를 사우리샤 안에, 그리고 실로 수각류 안에, 그리고 사우로포도모파스를 공룡 바깥에 두는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이를 피하기 위해 Baron과 동료들은 이 모든 그룹을 재정의했다.Ornithischia와 Theropoda가 자매 집단이라는 것은 또한 그들을 결합하는 분지군에 새로운 이름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했다.이 분지군을 위해, 그들은 오르니토스셀리다라는 이름을 다시 불러와 "패싱어 홈메우스와 트리섹스 호리두스포함하는 가장 덜 포괄적인 분지군"이라고 정의했다.이것은 이 결절 기반 분지군이 현존하는 수각류인 패셔와 조반류인 트리세토프의 마지막 공통 조상들과 모든 후손들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Huxley의 옛 이름 Ornithoscelida는 "새 다리"라는 의미가 분지의 뒷다리 특징과 잘 맞아떨어졌기 때문에 선택되었습니다.아래 분해도(cradogram)는 2017년 [5]Baron 등의 계통 발생을 보여준다.

공룡모형목

Marasuchus flipped.jpg 마라수쿠스

이름 없는

Silesaurus opolensis flipped.jpg 실레사우루스과

공룡목
사우리샤

헤레라사우루스과Herrerasaurus ischigualastensis Illustration.jpg

Barapasaurus DB.jpg 사우로포도모르파

오르니토스셀리다

§ 오니시아Triceratops BWMK.jpg

수각류Meyers grosses Konversations-Lexikon - ein Nachschlagewerk des allgemeinen Wissens (1908) (Antwerpener Breiftaube).jpg

Parry, Baron 및 Vinther(2017)가 제시한 후속 연구는 동일한 데이터 세트를 사용하는 경우 Ornithoscelida 가설을 베이지안 최대우도를 포함한 다양한 계통발생학적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복구할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었다.동일한 연구는 원본 Baron 등(2017) 데이터 세트의 수정된 버전을 분석할 때 특정 유형의 [6]분석을 사용할 때 Phytodinosauria 가설에 대한 일부 지지를 발견했다.

Ornithoscelida 가설은 Baron et al.(2017)의 원래 해부학적 데이터 세트를 재작업한 후 2017년 11월 국제 연구팀에 의해 이의를 제기되었다.이 재작업은 Ornithischia와 Saurischia를 자매군으로 회복하는 전통적인 모델을 생산했다.하지만, 이 전통적인 나무는 약하게 지지를 받았을 뿐 통계적으로 다른 오르니토셀리다 가설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이에 대해 Baron과 동료들의 약간의 조정만 거쳤지만 Ornithoscelida는 다시 [7][8]한 번 전통적인 모델보다 선호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Whitney, William Dwight (1897), The Century Dictionary: An Encyclopedic Lexicon of the English Language, vol. V, New York: The Century Co., p. 4158
  2. ^ Huxley, T.H. (1870).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Dinosauria with observations on the Dinosauria of the Trias". Quarterly Journal of the Geological Society of London. 26 (1–2): 32–51. doi:10.1144/gsl.jgs.1870.026.01-02.09. S2CID 131614671.
  3. ^ Carrano, M.; Benson, R.; Sampson, Scott D. (2012). "The phylogeny of Tetanurae (Dinosauria: Theropoda)". Journal of Systematic Palaeontology. 10 (2): 211–300. doi:10.1080/14772019.2011.630927. S2CID 85354215.
  4. ^ Padian, Kevin (2017). "Palaeontology: Dividing the dinosaurs". Nature. 543 (7646): 494–495. Bibcode:2017Natur.543..494P. doi:10.1038/543494a. PMID 28332523.
  5. ^ Baron, Matthew G.; Norman, David B.; Barrett, Paul (2017). "A new hypothesis of dinosaur relationships and early dinosaur evolution" (PDF). Nature. 543 (7646): 501–506. Bibcode:2017Natur.543..501B. doi:10.1038/nature21700. PMID 28332513. S2CID 205254710.
  6. ^ Luke A. Parry; Matthew G. Baron; Jakob Vinther (2017). "Multiple optimality criteria support Ornithoscelida". Royal Society Open Science. 4 (10): 170833. Bibcode:2017RSOS....470833P. doi:10.1098/rsos.170833. PMC 5666269. PMID 29134086.
  7. ^ Max C. Langer; Martín D. Ezcurra; Oliver W. M. Rauhut; Michael J. Benton; Fabien Knoll; Blair W. McPhee; Fernando E. Novas; Diego Pol; Stephen L. Brusatte (2017). "Untangling the dinosaur family tree" (PDF). Nature. 551 (7678): E1–E3. Bibcode:2017Natur.551E...1L. doi:10.1038/nature24011. hdl:1983/d088dae2-c7fa-4d41-9fa2-aeebbfcd2fa3. PMID 29094688. S2CID 205260354.
  8. ^ Matthew G. Baron; David B. Norman; Paul M. Barrett (2017). "Baron et al. reply". Nature. 551 (7678): E4–E5. Bibcode:2017Natur.551E...4B. doi:10.1038/nature24012. PMID 29094705. S2CID 2052603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