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슬로 대성당
Oslo Cathedral오슬로 대성당 | |
---|---|
노르웨이어: 오슬로 돔키르케 | |
![]() 스토르토르베트에서 온 오슬로 대성당 | |
59°54′44.35″N 10°44′49.05″E / 59.9123194°N 10.7469583°E좌표: 59°54′44.35″N 10°44′49.05″E / 59.9123194°N 10.7469583°E/ . | |
위치 | 오슬로 |
나라 | 노르웨이 |
디노미네이션 | 노르웨이의 교회 |
웹사이트 | www |
역사 | |
이전 이름 | 사비 교회 |
상태 | 활동적인 |
설립됨 | 1694 |
건축 | |
기능상태 | 성당 |
지은 지 몇 년 | 1694-1697 |
완료된 | 1697 |
사양 | |
첨탑수 | 1 |
관리 | |
교구 | 오슬로 |
교구 | 오슬로 |
성직자 | |
비숍 | 카리 비테베르크 |
학장 | 안네메이 그라사스 |
담당 사제 | 엘리자베스 토르센 |
프리스트 | 발보르 오르셋 스테네 조나스 린드 아세 |
집사 | 마리아 할덴 |
라이티 | |
음악 감독 | 비비안 시드네스 |
오르간 연주자 | 커레 노르드스토가 마르쿠스 안드레 베르그 |
버거 | 로저 헤거스트룀 |
음악 그룹 | 오슬로 돔키르크스 구테코르 오슬로 돔키르크스 웅돔스코르 오슬로 돔코르 컨소시엄 보칼레 타워 캐릴런 |
오슬로 대성당(노르웨이어: 오슬로 돔키르케) — 전 우리의 구세주 교회(노르웨이어: Vår Frelsers kirke) — 노르웨이 오슬로 교구 교회와 오슬로 시내 교구 교구를 위한 교구 교회다. 현재의 건물은 1694-1697년이다.
노르웨이 왕실과 노르웨이 정부는 이 성당을 공공 행사에 사용한다. 2006년 8월 보수공사를 위해 문을 닫았고 2010년 4월 18일 축제 최고 미사로 재개관했다.
역사
현재의 오슬로 대성당은 노르웨이 오슬로에 있는 세 번째 성당이다. 첫 번째인 홀바드 대성당은 12세기 전반 노르웨이의 시구르드 1세가 지은 것으로, 오늘날 성당에서 동쪽으로 1.5km(0.93mi) 정도 떨어진 오슬로에 있는 올드 주교 궁전(Old Bishop's Palace)에 의해 세워졌다.
거의 500년 동안, 홀바즈 성당은 이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교회였다. 1624년 오슬로에서 큰 화재가 발생한 후, 크리스찬 4세는 아커스후스 요새에 의해 보호를 받기 위해 도시를 서쪽으로 몇 킬로미터 옮기기로 결정했다. 1632년 신도시의 주요 광장에 새로운 교회의 건설이 시작되었다. 그 후 홀바드 대성당은 황폐화되었다.
1639년에 두 번째 성당이 지어졌다(Hellig Trependigheet). 그러나 이 성당은 불과 50년 만에 불타버렸고, 현재의 성당은 그것을 대체하기 위해 지어졌다. 그 교회는 아마도 요르겐 위거스 국가 참의원(etatsråd)에 의해 설계되었을 것이다. 현재의 성당은 나중에 스토르토르베트가 될 동쪽 끝에 있는 작은 바위투성이의 외딴 곳에 세워졌다. 기초석은 1694년에 세워졌고, 교회는 1697년 11월에 봉헌되었다.
2001년 8월, 오슬로 대성당은 하콘 왕자와 메테-마릿 트제셈 호이비 공주의 결혼식 장소였다.
복원
이 성당은 독일 태생의 건축가 알렉시스 드 샤테우누프(1799년-1853년)에 의해 1848년에서 1850년 사이에 재건되었다. 또 다른 독일 태생의 건축가인 하인리히 에른스트 쉬르머 (1814년-1887년)는 이 프로젝트의 건축 관리자였다. 1850년 샤테우누프가 병에 걸리자 쉬르머는 빌헬름 폰 한노(1826~1882)를 유임시켜 프로젝트를 완성했다.[1][2]
오슬로 대성당은 Kirke 게이트와 Dronningens 게이트 사이에 있는 Karl Johans 게이트의 북쪽/북동쪽의 Stortorvet 광장에 위치해 있다. 성당의 아래쪽 끝에는 바자르(바사렌 ved 오슬로 돔키르케)가 둘러져 있는데, 이 바자르(바사렌 ved 오슬로 돔키르케)는 성당처럼 녹색 구리로 덮인 탑을 가지고 있다. 바사렌과 통합되어 있는 파이어 워치(Brannvakten)는 1860년부터 1939년까지 오슬로의 주요 소방서 역할을 담당했던 파이어워치(Brannvakten)로 오늘날 아르네 가르보르크스 플라스가 문을 열었다. 성당, 바사레네, 브란바크텐은 모두 붉은 벽돌로 지어졌다. 바사렌과 브란바크텐은 둘 다 1840년에서 1859년 사이에 도시 건축가 크리스티안 H. 그로쉬의 계획으로 지어졌다.
성당에서 근래에 걸친 미술 작품으로는 1910~16년 설치한 에마누엘 비그랜드의 성가대 스테인드글라스 창문, 1938년 다그핀 란스키올드(1892~1977)가 시행한 서쪽 포탈의 청동문, 1930년부터 이탈리아의 조각가 아리고 광부가 교감하는 은 조각 등이 있다. 천장 장식은 노르웨이 화가 휴고 루스 모어(1889-1970)의 작품이다. 1990년대 후반, 프레드릭스타드의 라이드 & 버그가 만든 주 기관은 오래된 바로크 파사드 뒤에 설치되었다.[3][4]
1950년 도시 900주년 당시 복원이 완료되었다. 이 교회는 건축가 아르슈타인 아르네베르크의 계획으로 복원되었다. 신고딕식 인테리어를 없애고 원래의 가구를 다시 들여왔다. 아르네베르크도 교회 남쪽에 있는 예배당을 설계했다. 이 교회는 2006년 8월 보수공사를 위해 문을 닫았고 2010년 4월 노르웨이의 하랄드 5세와 노르웨이 왕실이 참석한 가운데 개교했다.[5][6]
개혁 이후 오슬로의 주교들
- 1541-1545 한스 레브
- 1545–1548 안데르스 마드쇠른
- 1548–1580 Frants Berg
- 1580–1600 옌스 닐손
- 1601–1607 안데르스 벤드쇠른 달링
- 1607–1617 닐스 클라우손 세닝
- 1617–1639 닐스 시몬센 글로스트럽
- 1639–1646 올루프 보센 [
- 헤닝 스톡플렛 1646-1664
- 한스 로싱 1664-1699
- 한스 뭉치로1699-1712번길
- 1713-1730 바르톨로모무스 데이히만
- 페더 허슬렙 1731-1737
- 1738-1758 닐스 도프
- 프레데릭 난네스타드 1758-1773
- 크리스틴 슈미트 1773–1804
- 프레데릭 줄리어스 베흐[7] 1805–1822
- 1823-1845년 크리스티안 쇠렌센
- 1846–1874년 옌스 로리츠 아룹
- 1875–1893 칼 피터 파렐리우스 에센드로프
- 1893–1896 프레데릭 빌헬름 버지 [
- 1896-1912년 안톤 크리스티안 방
- 옌스 프롤리히 탄드베르크 1912-1922
- 1922-1937 요한 P. 룬드 [8]
- 1937-1951년 아이빈드 베르그그라브
- 요하네스 스메모 1951-1968
- 프릿조프 쇠일란드 비르켈리 1968-1973
- Kaare Stöylen 1973–1977
- 안드레아스 아플로트 1977-1998
- 1998-2005년 군나르 스탈세트
- 올레 크리스티안 크바르메 2005-2017
- 2017년-카리 비테베르크
장기 및 오르간 연주자
이 성당의 첫 번째 오르간은 1711년 칼 구스타프 럭비츠가 세웠으며, 현재의 메인 오르간은 1997년 잔 라이드가 300주년을 맞아 만들었다. 성당 안에 있는 두 개의 작은 장기들도 역시 리데오그 베르그 오르겔비게리가 지었다.[9][10]
오르가니스트
- 크리스천 올센 로데 1709-1721
- 요한 프레드릭 클라센 1721-1764
- 요한 아돌프 플뢰언 1764-1769
- 요한 크뢰이어 1769-1809
- 프레드릭 크리스천 그로스 1809–1828
- 1820–1826 프레데릭 크리스천 린드먼
- 1828–1840 제이콥 안드레아스 린데만
- 1840–1887 루드비그 마티아스 린데만
- 1887-1916 크리스티안 카펠렌
- 빌헬름 후우스-한센 1913-1916
- 1916-1932년 에빈드 알누스
- 아릴드 샌드볼트 1933-1966
- 롤프 칼슨 1966-1982
- 1982-테르제 크밤
- 1982년– 커레 노르드스토가
카리용과 카리요네르
1924년 오슬로 대성당은 종각의 카리용에 24,000 NOK의 기부를 받았으나, 이것은 결코 실행되지 않았다. 2003년 외르눌프 마이클스타드의 두 번째 기부금은 캐릴로뉴르 베가르 샌드홀트의 지휘 아래 48벨짜리 콘서트 카릴론을 만들었다.[11] 이 칼리온은 종탑이 아닌 탑 안쪽에 있으며, 이 지역에서 발생하는 음향 문제는 2005년 스칸디나비아 카릴론 학교를 위한 로라 루슬å텐의 석사 논문에서 강조되어 왔다.
캐릴론은 2016년 12월부터 브린자 랜드마크가 프로그래밍·유지하는 베가르 샌드홀트와 키레 노르드스토가의 공헌으로 시간, 쿼터 스트로크, 리토넬 등을 정기적으로 사용했으며, 07.00~12시 사이에 18개의 멜로디가 달력에 따라 달라졌다.[1]
참고 항목
참조
- ^ 알렉시스 드 샤테우누프(스토어 노르스케 렉시콘)
- ^ 빌헬름 폰 한노(스토어 노르스케 렉시콘)
- ^ Dagfin Wornskiold (Store Norske 렉시콘)
- ^ 휴고 루스 모어(스토어 노르스케 렉시콘)
- ^ 오슬로 돔키르케(노스케 렉시콘 상점)
- ^ 헬로 매거진 2010년 4월 19일
- ^ Odd Arvid Storsveen. "Frederik Julius Bech". Norsk biografisk leksikon. Retrieved November 1, 2017.
- ^ Arne Bugge Amundsen. "Johan Lunde". Norsk biografisk leksikon. Retrieved November 1, 2017.
- ^ 2011-07-24년 웨이백 머신에 보관된 오슬로 대성당의 장기적 상황
- ^ "Opus 39 Oslo cathedral 53 st". Ryde og Berg Orgelbyggeri AS. Retrieved 2016-12-01.
- ^ https://vimeo.com/127155655
기타 출처
- 게르빈, 칼 오슬로 돔키르케: 메네스커 오그 밀요에르 i 900 år [오슬로 대성당: 900년 동안 사람과 공동체](1997) ISBN 82-03-22191-2,
- (no) 스톨레텐, 올라 키르케르 이 노지, b. 5: 에테르 개혁아스조넨 : 1600탈레 [노르웨이의 교회, 제5권: 개혁 후: 1600년대] (2008) ISBN 978-82-91399-15-7
- (no) Tronshaug, Hans Jacob Oslo domkirkes orgelhistorie : orgler, organister, kantorer og orgelbyggere gjennom fem århundrer [The Organ of the Oslo Cathedral: Organs, Organists, Cantors and Organ Buiiders through Five Centuries] (1998) ISBN 82-994632-0-3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오슬로 대성당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