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토카르 1세

Ottokar I of Bohemia
오토카르 1세
보헤미아 공작, 후에 보헤미아
OttocarusPrimus.jpg
프라하 세인트조지스 컨벤트의 고음파 안에 있는 현대판 오토카르 1세
군림하다1192–1193
1200[1]–1230[2]
대관식프라하로1203번길
태어난c. 1155
보헤미아
죽은1230년 12월 15일 (75세)
프라하
매장
배우자아델헤이드
헝가리의 콘스탄스
이슈
더...
웨슬로스 1세, 보헤미아의 왕
덴마크의 여왕 다그마르
실레시아 공작 부인 안네
블라디슬라우스 2세
세인트아그네스
왕조프제미슬리드
아버지블라디슬라우스 2세, 보헤미아 공작
어머니튜링아의 주디스

오토카르 1세(체코: 페헤미슬 1세) 오타카르; c. 1155년 – 1230년)는 1192년에 주기적으로 시작되는 보헤미아 공작이었다가 1198년 처음 스와비아의 필립으로부터 보헤미아 왕, 이후 브런즈윅의 오토 4세로부터 1203년, 프레데릭 2세로부터 1212년에 보헤미아 이라는 칭호를 획득하였다. 그는 페미슬리드 왕조의 일원이었다.

초년

오토카르의 부모는 블라디슬라우스 2세, 보헤미아 공작, 튜링아 주디스였다.[3] 전국 도처에 만연해 있는 무정부 상태 속에서 그의 초년은 지나갔다. 몇 차례의 군사투쟁 끝에 1192년 신성로마제국 헨리 6세에게 보헤미아의 통치자로 인정받았다. 그러나 그는 호엔슈타우펜 왕조를 무너뜨리기 위한 독일 왕자들의 음모에 가담했다는 이유로 곧 타도되었다. 1197년 오토카르는 동생인 블라디슬라우스 3세 헨리 공작에게 보헤미아를 자신에게 버리고 모라비아에 만족하도록 강요했다.

스와비아호엔슈타우펜 청구인 필립웰스 후보 오토 4세 사이의 독일 내전을 틈타, 오토카르는 1198년 마인츠에서 왕위에 오르면서 스스로를 보헤미아 왕으로 선포했다.[4][5] 오토에 대한 체코군의 지원이 필요한 스와비아의 필립이 이 타이틀을 지원했다.

1199년 오토카르는 베를라 3세의 어린 딸 헝가리의 콘스탄스와 결혼하기 위해 웨틴 왕조[5]일원인 메이센의 아내 아델헤이트와 이혼했다.[6]

1200년 오토 4세가 득세하면서 오토카르는 스와비아의 필립과의 조약을 포기하고 웰프파를 선언했다. 오토 4세와 후에 교황 인노첸시오 3세[7] 그 후 오토카를 보헤미아의 세습 왕으로 받아들였다.[8]

시칠리아의 황금 불

오토카르는 보헤미아의 새로운 공작인 데폴트 3세의 제국주의 선언에 의해 재빨리 필립의 진영으로 되돌아갔다.[7] 공작으로 인정받은 오토카르는 이혼한 아내를 보헤미아로 돌려보내는 것을 허락해야 했다.[7] 이 조건을 완성한 그는 다시 필립의 빨치산들 사이에 끼여들었고, 이후에도 젊은 프레데릭 2세의 지지자들 사이에 끼여 있었다. 1212년 프레데릭은 시칠리아의 황금 황소를 보헤미아에게 승인했다. 이 문서는 오토카르와 그의 후계자들을 보헤미아의 왕으로 인정했다.[4] 왕은 더 이상 황제의 임명 대상이 아니었고 보헤미안 국경과 가까운 디테이트에만 참석하도록 되어 있었다. 보헤미안 왕은 신성로마제국의 주제가 되기는 했지만, 신성로마제국의 대표적인 선거왕자가 되어 대관식을 위해 로마에 갈 때 300명의 기사들로 구성된 경호원을 모든 황제에게 제공하도록 되어 있었다.

오토카르의 치세는 독일 보헤미아로의 이민이 시작되었고 그 때까지 삼림지대가 되었던 도시들이 성장했다는 점에서도 두드러졌다. 1226년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6세 공작이 프레드릭 2세의 아들 헨리 2세와 결혼한 오토카르의 딸(보헤미아의 세인트 아그네스)을 볼 수 있는 계약을 파기하자 오토카르는 오스트리아의 레오폴트 6세와 전쟁을 치렀다. 그 후 오토카르는 같은 딸을 영국의 헨리 3세와 결혼시킬 계획을 세웠으나, 이는 헨리를 알고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적수로 알고 있던 황제에 의해 거부권을 행사하게 되었다. 과부가 된 황제 자신은 아그네스와 결혼하고 싶었지만, 그때쯤 그녀는 중매결혼의 역할을 하고 싶지 않았다. 교황의 도움으로 그녀는 수녀원에 들어갔다.

가족

Ottokar와 Constance, Landgrafenspsalter (1211–13) 출신

오토카르는 1178년 메이센의 아델헤이드(후 1160년 - 1211년 2월 2일)[9]와 결혼하여 다음과 같은 자녀를 낳았다.

1199년 헝가리의 콘스탄스(1181년 – 12월 6일)[9]와 두 번째로 결혼하여 다음과 같은 자녀를 낳았다.

참조

  1. ^ Sommer, Třshtik & Ojemlichka 2009, 페이지 209.
  2. ^ 2006년 프랑스 페이지 233.
  3. ^ 위호다 2015, 페이지 298.
  4. ^ a b 메린스키 & 메즈닉 1998, 페이지 51.
  5. ^ a b 라이온 2013 페이지 146.
  6. ^ 리옹 2013, 146-147페이지.
  7. ^ a b c Berrend, Urbańczyk & Wiszewski 2013, 페이지 410.
  8. ^ 브래드베리 2004, 페이지 70.
  9. ^ a b c d e f g h 와이호다 2015, 페이지 299.
  10. ^ Loud & Scenk 2017, p. xxxii.
  11. ^ 클라니차이 2000, 페이지 204.

원천

  • Berend, Nora; Urbańczyk, Przemysław; Wiszewski, Przemysław (2013). Central Europe in the High Middle Ages: Bohemia, Hungary and Poland, c.900–c.1300.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radbury, Jim (2004). The Routledge Companion to Medieval Warfare. Routledge.
  • France, John (2006). The Crusades and the Expansion of Catholic Christendom, 1000–1714. Routledge. ISBN 978-1134196180.
  • Klaniczay, Gábor (2000). Holy Rulers and Blessed Princesses: Dynastic Cults in Medieval Central Europe. Translated by Palmai, Eva.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oud, Graham A.; Schenk, Jochen, eds. (2017). The Origins of the German Principalities, 1100-1350: Essays by German Historians. Taylor & Francis.
  • Lyon, Jonathan R. (2013). Princely Brothers and Sisters: The Sibling Bond in German Politics, 1100-1250. Cornell University Press.
  • Merinsky, Zdenek; Meznik, Jaroslav (1998). "The making of the Czech state: Bohemia and Moravia from the tenth to the fourteenth centuries". In Teich, Mikulas (ed.). Bohemia i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ommer, Petr; Třeštík, Dušan; Žemlička, Josef (2009). Přemyslovci Budování českého státu (in Czech). Praha: Nakladatelství Lidové noviny. ISBN 978-80-7106-352-0.
  • Wihoda, Martin (2015). Vladislaus Henry: The Formation of Moravian Identity. BRILL. ISBN 978-9004303836.


외부 링크

이 글에는 현재 공개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가 통합되어 있다.

선행자 보헤미아 공작
1192–1193
성공자
선행자 보헤미아 공작
1197–1198
왕위 계승
비어 있음
마지막으로 보유하는 제목
블라디슬라우스 2세
보헤미아의 왕
1198–1230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