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시 카자로프

Paisi Kaysarov
파이시 카자로프
KaisarovPS.jpg
조지 다웨의 초상화
태어난(1783-05-23)23년 5월 1783년 5월
모르산스크 우예즈드, 탐보프 주, 러시아 제국
죽은1844년 2월 27일(1844-02-27) (60세)
니스, 프랑스 왕국
파묻힌
얼리전스러시아 러시아 제국(1791 – 1842년)
근속년수1791 - 1842
순위일반
전투/와이어제3차 연합 전쟁
러-터키 전쟁
프랑스의 러시아 침공
제6차 연합 전쟁
11월 봉기
수상성 훈장알렉산더 넵스키
성 훈장 안나, 1교시
성 훈장 조지 3반
비투티 민타리, 2등석
레드 이글 훈장, 2등석[clarification needed]
마리아 테레사 3등 훈장
검의 훈장
성 훈장 블라디미르, 일등석
용맹을 위한 금검(2)
막스 요셉 군단

파이시 세르게이비치 카이사로프(Paisi Sergeevich Kaisarov; 러시아어: Kilasebast ийййй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ч;;;;;;;;;, 1783년 5월 23일 ~ 1844년 2월 27일)는 나폴레옹 전쟁복무한 러시아의 장군이었다.

전기

초년기

카이사로프는 탐보프 주(州)의 소부(小部)인 무르한스크 우예즈드([1]Morshansk Uyezd)에서 태어났다.그는 늙었지만 가난한 귀족 가문의 후손이었으며, 그 조상은 15세기 중반에 황금 호르드에서 기원하여 모스크바에 도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그는 과외 교사들에게 교육을 받았다.1791년 5월 2일 하사 계급의 프레오브라젠스키 연대에 입대하였고, 1797년 2월 2일 야로슬라블 머스킷총병 연대에 닻을 내렸다.1805년 초에는 군에서 물러나 상무부의 관리가 되었으나, 그해 8월 14일에 돌아와 26일 이숨스크 후사르 연대의 참모 로트미스터(Rotmister) 직위를 받았다.그는 러시아 시인 안드레이 카이사로프의 형제였으며, 이후 알렉산더 란스코이의 조카인 바르바라 야코블레브나 란스카야와 결혼했다.[2]

나폴레옹 전쟁

카이사로프는 1805년 제3연방전쟁에 참전했고, 아우스터리츠 전투에서 중상을 입었다.1806년 2월 11일, 세메놉스키 연대 소위의 계급이 주어졌다.다누비아 총통으로 파견되어 러-투르크 전쟁에 참가하여 육군본부에서 근무하였다.1811년 10월 17일, 그는 대령으로 진급했다.[3]

1812년 6월 19일부터 8월 20일까지는 세바스토폴 보병 연대장으로 있다가 미하일 쿠투조프 장군과 보조가 되어 보로디노 전투에 남아 있었다.[4]10월부터는 마트베이 플라토프의 돈 코삭스 군단의 선봉장을 지휘했다.1813년 3월 14일 그는 소장으로 진급했으며, 연공서열은 9월 7일이었다.제6차 연합전에서는 하나우 전투아르키수르-아우브 전투에 참가한 기병 분대를 지휘했다.[5]

만년

전쟁이 끝나면서 그는 군대에 남아 있었다.1817년 8월 10일 23사단 제2여단의 지휘를 받았다.1819년 8월 18일 제1보병단 참모총장이 되었다.1821년 10월 2일 14사단의 지휘를 받았으며, 1826년 1월 13일 중장으로 진급했다.1829년 3월 1군단 참모총장이 되었다.[6]1830년과 1831년에 그는 폴란드 반란의 진압에 참여했고, 그의 군대는 자모치 요새를 포위하고 결국 점령했다.1831년 3월 25일 제3보병단(후속하여 제5보병단) 사령관으로 부임하였다.1833년 12월 18일 보병대장으로 진급하였다.1835년 제4보병단 사령부로 전보되었다.1842년 11월 5일, 건강이 좋지 않아 군대에서 은퇴하여 러시아 제국의 통치 원로원 의원으로 남은 여생을 보냈다.는 니스에서 죽었다.[7]그는 키예프 페체르스크 라브라 극동굴 근처에 있는 성모순례교회 공동묘지에 안장되어 있다.[8]

카이사로프는 레오 톨스토이전쟁과 평화에 잠깐 출연한다.그의 외동딸은 구스타브로망 남작과 결혼했다.

참조

  1. ^ 유. A. 쿠렐레프.Vydaiushchiesia Liudi Tambovskogo Kraia : Biograpicheski Spravochnik.탐보프스키 오브라조바니(1995년).OCLC 38113619. 페이지 34.
  2. ^ 발레리 페도르첸코.임페라테스키 돔올마 프레스(2003년). ISBN9785 224041886. 페이지 515.
  3. ^ 알렉산더 미카베리제.혁명나폴레옹 전쟁에서의 러시아 장교 군단: 1792-1815.스펠마운트(2005년).ISBN 9781862272699 페이지 174-175.
  4. ^ 조지 나프지거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Presidio Press(1998년).ISBN 978-0891416616. 페이지 533.
  5. ^ 파이시 카자로프. hrono.ru
  6. ^ 파이시 카자로프. museum.ru
  7. ^ 빅토르 베조토시니Otechestvennaja vojna 1812 goda : ėciklopedia.로스펜(2004년).ISBN 9785824303247. 페이지 326.
  8. ^ 수도원신사들. lavra.u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