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

Pak Kyongni
박경리
Park Kyung-ni.jpg
한국이름
한글
박경리
한자
朴景利
수정 로마자 표기법박경리
매쿠네-라이샤워박경리
출생명
한글
박금이
한자
朴今伊
수정 로마자 표기법박금이
매쿠네-라이샤워박코미

박경리[a](1926년 12월 2일 ~ 2008년 5월 5일)는 대한민국의 저명한 소설가였다.[2]그녀는 조센주 게이쇼난도에이(오늘날 경상남도 통영시)에서 태어났고, 이후 강원도 원주에서 살았다.박씨는 1955년 계산(,, Calculation)으로 문단에 데뷔했다.그러나 그녀는 19, 20세기 한국의 파란만장한 역사를 배경으로 한 서사시인 16권짜리 이야기 토지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그것은 나중에 영화, 텔레비전 시리즈, 오페라로 각색되었다.[3][4]

박경리는 2008년[3] 5월 5일 81세의 나이로 폐암으로 세상을 떠났고, 많은 문학작가들은 박경리를 문학작품과 작가로서의 삶의 길잡이로 회상했다.[5]그녀는 한국 예술을 홍보한 공로로 새로 창설된 한국 문화부로부터 한국의 최고 훈장을 추서받았다.[6][7]

인생

박경리는 1926년 게이쇼난도에이에서 중산층 집안의 장녀로 태어났다.그녀의 출생명은 박금이(朴金i)이다.[8]그녀의 부모님은 그녀의 어머니가 열여덟 살 때, 그리고 그녀의 아버지인 박수영(박수영)이 열네 살 때 결혼했다.부모와의 관계가 잘 풀리지 않아 그녀의 삶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그녀의 문제는 그녀의 아버지가 태어난 직후 그녀의 어머니를 떠났을 때 시작되었다.나중에 그녀는 어머니에 대한 동정심과 경멸감, 그러나 아버지에 대한 증오를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그녀의 반응은 책을 중심으로 한 상상의 세계에 자신을 고립시키는 것이었다.[8]

진주여자고등학교[ko]를 졸업한 지 1년 만인 1946년, 독과점 사무소(전전부, 지금의 한국담배인삼공사)의 서기관 김행도(金行道)와 결혼했다.그러나 그녀의 문제는 결혼으로 끝나지 않았다.그녀의 남편은 공산주의자로 기소되었다가 한국전쟁 에 실종되었고 결국 서대문 형무소에서 죽었다.[9]그녀는 같은 해에 3살짜리 아들을 잃었다.미망인으로서, 그녀는 딸과 어머니를 위한 유일한 재정적 지원을 했다.

1955년 소설가 겸 시인 김통리(金通里)의 추천을 받아 전문 작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그녀는 1960년대 유방암 수술을 받았고, 1970년대 사위이자 시인인 김치하(金治河)가 공산주의자라는 이유로 체포된 뒤 손자 원보를 키워야 했다.[8]그녀는 후에 폐암으로 고생했다.[3]

데뷔 당시 "내가 행복했다면 글쓰기를 시작하지 않았을 것"[9]이라고 했다.그녀는 또 나중에 "모녀와 함께 살면서 혼자 경제적으로 부양해야 했다.역경에서 벗어나고 싶다는 희망이 생겼기 때문에 글을 쓰기 시작했다고 말했다.그녀의 어려운 사생활은 분명히 인간의 존엄성을 강조한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그녀는 《계산》( (계, 계산)이라는 소설로 작가 생활을 시작했으며, 초기 작품은 그녀의 개인적인 사정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불신의 시간, 불신의 시간, 어둠의 시간 같은 그녀의 소설에 나오는 서술자들은 종종 남편과 아들을 잃은 어머니와 함께 사는 여성들이다.그녀의 후기 작품인 '약사의 딸들'에서 그녀는 어려움을 극복하는 캐릭터를 강조한다.[10]나중에, 그녀의 관점은 그녀의 허구적인 설정이 한국 전쟁 기간에서 일상생활로 옮겨갔다는 점에서 더 객관적이 되었고, 더 다양한 스타일과 주제를 채택했다.

토지 (토지)

토지는 그녀의 소설 중에서 가장 유명하다.서사소설은 1969년 9월 현대문학[] 9월호에서 연재물로 시작되었다.[11]그녀가 글을 쓰는 데 25년이 걸렸다.[11][12]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까지 일제강점기를 거쳐 분단까지 이어지는 조선민족이 일본 제국주의에 맞서고 한반도 전역에 걸쳐 수백 명의 문자를 가지고 있는 20세기전환기의 난기류를 테마로하고 있다.이 소설의 주인공인 김길상(金吉相)과 최서희(崔西熙)는 다른 소설 속 주인공들처럼 한국 역사상 가장 격동적인 시기에 자신의 존엄성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토착민속어와 다양한 캐릭터 묘사를 채용해 광활한 '마더 어스'의 사랑을 통해 한국의 현대사를 그린다.

그것은 TV 시리즈, 영화, 오페라로 만들어졌다.또한 유네스코 대표 작품집에 수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일본어 등 여러 언어로 번역되었다.[11][13][14]

그녀는 1999년 강원 원주 원주 본가 터에 '토지문화원'을 개원해 신진작가 양성을 도왔다.1996년 설립된 「토지문화재단[ko]」의 이사회 의장을 역임하기도 했다.[4]

작동하다

한국어로

  • 1955년 계산(계,, 계산)[15][16]
  • 1956년 흑백 백백(白白白) (白흑, 흑흑흑흑백백)
  • 1957년 불신시대(佛神時代, 불신시대)
  • 1957년 미션
  • 1958년 사랑의 노래 (연歌, 연가 )
  • 1958년 벽지(벽지)
  • 1958년 어둠의 시간(암시대대, 암흑시대)
  • 1959 Pyoryudo (표류도)
  • 1962년 약사 김씨의 딸들(金y國ui, Kimyakkuui Ttaldeul)
  • 1963 Pasi (파시)
  • 1965년 시장과 전쟁 분야(시장 전장, 시장과전장)
  • 1965년 녹지대(녹지대, 녹지대)
  • 1969-1994년 토지(토지 더 랜드)
  • My Mind is Lake (내 마음은 호수)
  • Blue Galaxy (푸른 은하)

번역하면

  • Land 1 (토지 1)
  • Markt und Krieg (시장과 전장)
  • Land 2 (토지 2)
  • Land 3 (토지 3)
  • Land 4 (토지 4)
  • Дочери аптекаря Кима (김약국의 딸들)
  • 김씨의 딸들의 저주(金 ()
  • 土地 第1部 第1卷 (토지 1)
  • 金药局家的女儿们 (김약국의 딸들)
  • 土地 第一部 第三卷 (토지 3)
  • 라테르 (1987년)
  • Les filles du Pharmician Kim (Les filles du Pharmician Kim (Les fill

수상

메모들

  1. ^ 이는 저자가 선호하는 LTI코리아당 로마자 표기법이다.[1]

참조

  1. ^ "Author Database". LTI Korea Library. Retrieved 25 June 2015.
  2. ^ LTI 한국도서관 저자 데이터베이스: http://library.klti.or.kr/node/133
  3. ^ a b c "Pak Kyongni, 81, author of Korean saga". International Herald Tribune. 2008-05-06. Retrieved 2008-05-12.
  4. ^ a b c d 박경리: 대한민국 소설가 – 서사시 소설 토지가 한국 문학에 가장 공헌하나로 손꼽히는 작가 – The Times(2008년 6월 8일) (2008년 7월 10일 회수)
  5. ^ Park Soo-mee; Lee Min-a (2008-05-08). "The loss of a literary luminary". JoonAng Daily. Retrieved 2008-07-12.
  6. ^ a b "박경리 82세로 사망"코리아 타임즈 (05-05-2008) (2008년 5월 12일 철회)
  7. ^ "박경리 朴景利 a(1926.10.28 ~ 2008.5.5)" (in Korean). Doosan Encycloped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5-09-14. Retrieved 2008-07-12.
  8. ^ a b c Kim Bo-gyeong (김보경) (2008-05-06). 아, 박경리‥한국문학 산맥이 무너졌다. (in Korean). Sisa Hankook.[영구적 데드링크]
  9. ^ a b Choi Jae-bong (최재봉) (2008-05-05). 박경리 타계…수난의 민족사 품은 ‘한국문학 어머니’ (in Korean). 한겨레.
  10. ^ 박경리 朴景利 (in Korean). Empas / EncyKorea. Retrieved 2008-07-12.
  11. ^ a b c 정아영: 박경리코리아 타임즈 (05-05-2008) (2008년 7월 10일 철회)
  12. ^ 코리아 타임즈 05.07.2008
  13. ^ 윤소정: 원로 소설가의 삶과 작품Korea.net (2008년 7월 9일 회수)
  14. ^ 천경자: 박경리 검토, 웨이백머신 - 한국학 리뷰 1998, 3호 (2008년 7월 10일 회수)
  15. ^ Kim Gyu-hwan (김규환) (2008-05-06). "Novelist Pak Kyongni died: The work world (소설가 박경리 타계: 작품 세계)" (in Korean). Seoul Shinmun.
  16. ^ JOINS 아시아 첫 인터넷 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