팜스, 로스앤젤레스
Palms, Los Angeles이 글은 검증을 위해 인용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 · · 책 · · (2010년 3월) (이 |
손바닥 | |
---|---|
![]() 전형적인 팜스 아파트-지구 거리 | |
![]() 로스엔젤레스 타임즈의 "매핑 LA" 프로젝트에 표시된 손바닥 경계 | |
좌표: 34°01′23″N 118°24′18″w / 34.023°N 118.405°W좌표: 34°01′23″N 118°24′18″W / 34.023°N 118.405°W/ | |
나라 | 미국 |
주 | 캘리포니아 |
카운티 | 로스앤젤레스의 군 |
도시 | 로스앤젤레스의 도시 |
정부 | |
• 시의회 | 폴 코레츠 |
• 주 의회 | 시드니 캄라거(D) |
• 주 상원 | 홀리 미첼 (D) |
• 미국 하원 | 카렌 베이스 (D) |
면적 | |
• 합계 | 1.9 sq mi(5km2) |
인구 (2000)[1] | |
• 합계 | 42,545 |
• 밀도 | 21,983/sq mi(8,488/km2) |
우편번호 | 90034, 90232 |
지역 번호 | 310/424 |
야자수(원래 "야자수")는 1886년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웨스트사이드 지역에 있는 매우 다양하고 인구가[1] 조밀한 공동체로, 이 도시에 부속된 가장 오래된 동네인 1915년이다. 1886년도는 농업 및 휴가 공동체로서 판매되었다.[2] 오늘날 이곳은 주로 주거지역으로 많은 아파트 건물과 상업지역 리본, 북서쪽 모퉁이에 단독주택지가 있다.
역사
1887년 이전
란초라발로나
스페인, 멕시코 시대에 나중에 팜스가 된 지역은 1819년 아구스틴과 예나시오 마차도, 펠리페 탈라만테스와 그의 아들 토마스와 함께 14,000에이커(57km2)의 땅에 대한 방목권을 획득한 란초 라 발로나의 일부였다. 당시는 소와 양의 방목지로 이용되었다.[3] Culver City History에 따르면, Culver City Unified School District에 출판된 Julie Lugo Cerra의 2001년 작품:
이 가문의 전설은 아구스틴이 그의 가장 빠른 기수를 타고 새벽부터 해질 때까지, 플레이아 델 레이 언덕 기슭에서 시작하여 란초 라 발로나, 즉 파소 데 라스 카레타스를 주장하기 위해 마부로서의 능력으로 선택되었다고 한다. 그것은 피코 대로(란초 산비센테 이 산타 모니카를 따라)와 우리가 알고 있는 인스 대로로 뻗어 있었는데, 그곳에서 란초 린콘 데 로스 부에예스가 시작되었다.
아구스틴 마차도는 1865년에 사망했는데, 같은 해 발로나 학군 내의 모든 초등학교 연령의 어린이들을 위해 라 발로나 학교가 건설되었다.[4] 1871년 예나시오 생즈는 건널목에 종합상점을 설립하였고, 이후 워싱턴 대로와 오버랜드 애비뉴가 되었다. (그 교차로의 세 모퉁이는 컬버 시티에 있고 하나는 팜스에 있다.)[5] 로스앤젤레스와 바다를 잇는 군도로의 길목이기도 했던 이 가게에는 이 지역의 첫 우체국도 들어 있었다.[6]
1882년까지 팜스를 섬기는 이 카운티의 선거구는 라 발로나 학교에서 투표와 함께 발로나로 알려져 있었다.[7]
토지 러시와 토지 분할
Tierra Properties의 부동산 투자 전문가인 Deke Keasbey는 다음과 같은 점에 주목했다.
"남태평양은 1883년에 로스엔젤레스 항로를 완공했고, 겨우 3년 후에 산타페는 로스엔젤레스 항로를 완공했다. 새로운 해안에서 코스트로의 철도 노선과 로스앤젤레스의 대규모 토지 보유에 막대한 투자를 하면서, 철도업계는 장기적인 성장 계획을 세웠다. 남부 캘리포니아 감귤 농장이 탄생했다. '관광과 마을 건설'은 투자자를 유치하고, 토지 가치를 높이고, 철도 수송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추진되었다.[8]
La Ballona Valley는 그 육지 러시의 일부였다. 1882년 몇몇 중서부의 가정들은 개조된 화물차를 전세내고 계곡에 정착하기 위해 아이오와주 르 마르스에 있는 그들의 집을 떠났다.[9] 그들은 워싱턴 대로의 옛 라 발로나 학교에서 첫 주일학교를 열었고, 1883년 가을에는 11명의 신도가 있는 연합 브레스렌 교회를 조직하였다.[10]
그 무렵 계곡은 조셉 커티스, 에드워드 H 등 세 명의 투기꾼들의 관심을 끌었다. 스위처 앤 C.J. 해리슨 그들은 500에이커(2.0km2)에 4만 달러를 지불했다. 그들은 자기들의 땅을 조사해서 잘라서 새로 들어온 사람들에게 팔았다. 그들은 등급이 매겨진 13km의 거리를 따라 5,000그루의 나무를 심었다. 그들은 야자수를 들여와 기차역 근처에 심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The Palms라고 이름 지었다.[11] 그들의 첫 번째 트랙 지도는 1886년 12월 26일로 현재 팜의 탄생일로 간주되고 있다.
부지는 로스앤젤레스와 독립철도(현재의 E라인 경전철 노선)의 로스앤젤레스와 산타모니카 사이의 중간 지점이었다. 로스엔젤레스 수로에서 발생한 대규모 도시 성장 이전에 팜스는 농경지와 목축 지역 내에 위치해 있었다.[citation needed]
1886년 이후

부배당원들은 연합 브레스렌 교회에 2필지와 현금 200달러를 주었다. 1887년에 교회 건물이 완공되었고, 1889년에 파소나주가 세워졌다. 1908년 옛 예배당은 부지의 뒤쪽으로 옮겨졌고 새로운 성소가 지어졌다. 1916년에 그 오래된 목조주택이 팔렸고 새로운 목조주택이 지어졌다. 나중에 방갈로는 주일학교가 되기 위해 옆집에 추가되었다.[12]
정확한 위치는 분실됐지만 적어도 1890년부터[13] 1904년까지 팜 빌라, 팜 빌라 또는 빌라 호텔의 존재를 현대 소식통에 알린다.[14] 당시 빌라 애비뉴로 알려진 타보르 거리에 서 있었을지도 모른다.[15]
병합
로스앤젤레스 시 경계선 서쪽의 광대한 지역에 대한 주거 개발은 시에 합병 압력을 가져왔다. 특히 주목할 점은 첫째, L.A.가 이 지역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새로운 하수도 건설과 둘째, 도시 엔지니어가 라씨네가 지역에 대한 홍수 방지 프로젝트를 위한 계획이었다. 합병을 위한 소동은 팜스 주민들에 의해 시작되었지만, 그 도달 범위는 나중에 시군이 합병될 수 있도록 당시 분리된 소텔 한계선까지 서쪽으로 확장되었다.[16]
두 번의 병합 선거가 있었다. 둘 다 힘든 싸움을 했다. 첫 번째 것은 1914년 4월 28일 LA 타임스에 따르면 "교외 지역 주민들은 권력구조가 최후의 지렛대인 지방채 열풍을 두려워하고 있고, 추가적인 높은 세금에 대한 위협적인 부담을 두려워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찬성 387표, 반대 264표, 찬성 3분의 2 표가 필요해서 찬성 47표로 부끄럼을 탔다.[17]
거의 즉시 새로운 청원이 제출되어 합병에 반대표를 던졌던 모든 지역이 제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컬버시티의 설립자인 해리 컬버는 새로운 계획을 제리맨더라고 비난하며 반대했다.[18] 그러나 더 타임즈는 다음과 같이 썼다.
"이 지역은 도시와 바다 사이의 가장 부유한 나라로 구성되어 있으며 서쪽으로 주거지가 확장되는 바로 그 길목에 있다. 합병 찬성론자들은 "성장은 불가피하고 곧 인구가 크게 늘어날 것이 확실하기 때문에 적절하고 영구적인 물권 확보의 필요성이 시급하다고 보고 필요한 3분의 2의 표 확보에 힘쓰고 있다"고 말했다.[19]
1914년 6월 1일 합병이 342 대 136의 투표로 성공하였고,[20] 1915년 5월 4일 LA 유권자들은 팜스 지구와 광대한 산 페르난도 계곡의 합병을 승인하였다.[21] 팜스와 밸리는 모두 1915년 5월 22일 로스앤젤레스에 입성했다.
이름 지정
그 여행의 핸드 북 남부 캘리포니아, 1904년에 출판되는 것"그 종려 나무"과 "로스 앤젤레스와 태평양 도로가 개축된 그 야자수 나무와 오션 파크 산타 모니카에 가는 것을 통해, 여섯째의 수비 자세의 선은 벨트를 만들고[ 와]다"그 지역에 큰 야자의 숫자에서 남 태평양 근처에 꽤 먼 거리에 창고라는 이름의"[22] 있다고 진술했다.앙 m각 무릎마다 일소 이상씩."[23]
20세기 전환 이후 수십 년에 걸쳐, 그 확실한 기사는 그 장소 이름에서 삭제되었다. 1920년대까지, 그 이름은 단순히 지역 교통[24] 지도에 "Palms"가 되었다.
지리
팜스는 공식적인 경계는 없지만 로스앤젤레스 타임즈의 "매핑 LA" 참고문헌은 그것을 1.95 평방 마일로 측정하고 그것을 Culver City의 북서쪽, Cheviot Hills와 Beverlywood의 남쪽, Rancho Park의 남동쪽, Mid-City의 서쪽, Mar Vista의 북동쪽에 배치한다.[25] 로스엔젤레스 카운티에 제출된 1886년 분단 지도에는 Palms가 북동쪽으로 경계를 이루며 Manning Avenue가 될 것으로 나타났다.
1915년 팜스가 로스앤젤레스 시에 합병되었을 때, 경계는 남동쪽의 알링턴 애비뉴와 북동쪽의 림파우 대로와 윌셔 대로에서 북서쪽의 피코와 엑스포 대로까지 서쪽으로 확장되었다. 오버랜드 가의 서쪽은 1927년까지 합병되지 않았다.[26]
오버랜드, 세풀베다, 내셔널, 샤녹 로드가 둘러싸인 팜의 부분은 제2차 세계대전 직전에 웨스트사이드 빌리지로 개발되었다. 로스앤젤레스 시는 웨스트사이드 빌리지에 공식 근린 표지를 붙이고 있으며, 웨스트사이드 빌리지 소유주 협회인 웨스트사이드 빌리지가 있다.[27]
팜스 근린 의회 경계는 시가 웨스트사이드 마을(이미 마 비스타 주민협의회가 주장한 것)과 웨스트사이드 근린협의회로 가는 내셔널 대로의 북쪽과 동쪽 지역을 생략하도록 규정했다. 두 지역 모두 경계 조정 청원이 통과됐다.[28]
HideClimate 데이터 for Palms, Los Angeles | |||||||||||||
---|---|---|---|---|---|---|---|---|---|---|---|---|---|
월 | 얀 | 2월 | 3월 | 4월 | 5월 | 준 | 줄리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도 |
평균 높은 °F(°C) | 67 (19) | 68 (20) | 69 (21) | 72 (22) | 72 (22) | 76 (24) | 80 (27) | 81 (27) | 80 (27) | 77 (25) | 72 (22) | 68 (20) | 74 (23) |
평균 낮은 °F(°C) | 48 (9) | 49 (9) | 50 (10) | 53 (12) | 56 (13) | 59 (15) | 62 (17) | 63 (17) | 62 (17) | 58 (14) | 52 (11) | 48 (9) | 55 (13) |
평균 강수량 인치(mm) | 3.36 (85) | 3.62 (92) | 2.92 (74) | 0.65 (17) | 0.28 (7.1) | 0.07 (1.8) | 0.02 (0.51) | 0.10 (2.5) | 0.17 (4.3) | 0.41 (10) | 1.07 (27) | 2.00 (51) | 14.65 (372) |
출처: |
인구
2000년 인구조사 기준 팜스 인구는 42,545명이고, 시는 2008년에 팜스 인구는 45,475명으로 추정했다. 1평방마일당 인구밀도가 21,983명으로 로스앤젤레스의 인구밀도가 가장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손바닥은 로스앤젤레스에서 가장 다양한 지역들 중 하나이다. 거주자는 백인 38.3%, 아시아인 20.2%, 아프리카계 미국인 12.2%, 라틴계 23.4%, 기타 인종 5.9% 순이었다. 중위 가구 소득은 50,684달러로 시의 평균 수준이었다.[1]
주민 절반 가까이(45.9%)은 4년제 학위가 있어 도시 전체와 비교했을 때 높은 수치였다. 19세에서 34세 사이의 주민 비율은 군에서 가장 높았다.[1]
조상은 멕시코인(13.1%)과 아일랜드인(4.3%)이 가장 많았고, 약 40.4%가 외국인(도시의 평균)이었다. 외국 출생지는 멕시코(17.3%)와 한국(5.9%)이 가장 많았다.[1]
주택
1960년대 초까지만 해도 팜스(Pals)의 대부분은 단독주택과[30] 소형 2중주 및 3중주(Triplex)로, 대부분 20세기 1분기 남부 캘리포니아를 지배했던 장인과 스페인 식민지 양식으로 지어졌다.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라는 압력에 로스앤젤레스 시는 그 지역의 대부분을 대규모 다세대주택으로 재조정했다. 이로 인해 팜스 사의 역사적인 주택 주식 대부분이 파괴되었고 2층(또는 더 큰) 아파트로 대체되었다. 원래의 주택은 거의 남아 있지 않으며, 그 중 많은 주택은 한때 뒷마당이었던 곳에 추가 주택이 지어진 부지에 있다. 손바닥은 현재 로스앤젤레스에서 가장 인구가 조밀한 지역들 중 하나이다. 저렴한 주택을 공급하기 위한 용도변경 계획의 목표는 성공적임이 입증되었다. 이 동네는 현재 서부 로스앤젤레스에서 가장 큰 규모의 비교적 저렴한 임대주택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0년 기준 인근 단독주택의 중위 매매가는 모두 100만 달러 이상이고 팜스 아파트는 월 1500달러만 내면 찾을 수 있다.[1]
Palms의 주택재고는 현재 거의 완전히 아파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의 92%가 임대업자다. 2000년 팜스 근교의 전체 임대료는 점유 주거지의 87%에 달했는데, 이는 자가 거주 가구의 13%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1] 고급 웨스트사이드 빌리지구는 자가주택 단독주택이 많이 남아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2차 세계대전 직전에 개발자 프리츠 번즈가 조립 라인 스타일로 주로 건설한 반면, 이 집들의 대부분은 이후 수십 년 동안 확장되거나 철거되었으며, 오늘날 이 동네는 원래 계획된 공동체와 거의 유사하지 않은 다양한 건축 양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UCLA 가족 및 대학원생 주거단지 2곳을 포함한 아파트 건물들이 웨스트사이드 빌리지의 주요 건물들에 늘어서 있다.
2000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이것은 로스엔젤레스 카운티의 인구 밀도가 가장 높은 10개 지역 또는 도시였으며, 평방 마일 당 인구는 다음과 같다.[31]
- 로스앤젤레스 코리아타운, 42,611
- 웨스트레이크, 로스앤젤레스, 38,214
- 이스트 할리우드, 로스앤젤레스, 31,095
- 피코-유니온, 로스앤젤레스, 25,352
- 캘리포니아 메이우드, 23,638
- 하버드 하이츠, 로스앤젤레스, 23,473
- 할리우드, 로스앤젤레스, 22,193
- 캘리포니아 호두공원, 22,028
- 팜스, 로스앤젤레스, 21,870
- 애덤스-노먼디, 로스앤젤레스, 21,848
교통
고속도로
팜스는 405번 도로(샌디에이고)와 10번 도로(샌타 모니카[로사 파크스])가 운행한다.
레일
손바닥은 메트로 E 라인에 의해 제공되며, 1875년부터 1953년까지 운영되었던 퍼시픽 전기 승객 서비스를 다시 활성화한다. 서비스는 2012년에 재개되었으며, 서부 종착역은 베니스와 로버트슨 대로의 교차점 근처에 위치해 있다. 이 노선은 현재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과 산타 모니카 사이를 운행하고 있으며, 2016년 5월 20일에 개통된 팜스 역에서 정차한다.[32]
자전거타기
손바닥은 로스앤젤레스의 많은 다른 도시 지역보다 자전거[citation needed] 친화적이며, 자전거 타기는 동네의 밀도[citation needed], 젊은 인구, 주차의[citation needed] 부족 때문에 매우 인기가[citation needed] 있다. 베니스 대로와 모터 에비뉴는 이웃에 있는 두 개의 주요 상업 회랑으로, 둘 다 전용 자전거 도로를 특징으로 한다.[citation needed] 메트로 E 라인의 건설에는 엑스포 대로를 따라 선로에 인접한 A급 자전거 도로가 함께 운행되어 자전거 이용자와 조깅하는 사람들이 즐겨 이용하는 것은 물론 팜스 역까지 자전거로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산타모니카와 태평양으로 연결하기 위해 E라인에 이어 약속된 경로에 큰 간극(팜스 대로에서 오버랜드 애비뉴로 가는 스턴치)이 있어 논란이 일었다.[citation needed][citation needed]
LAnow
손바닥은 LAnow가 새로운 온 디맨드 공유 라이드 서비스를 제공한다. 2019년 5월부터 시작된 서브는 LAnow 스마트폰 앱, 온라인 또는 전화로 예약할 수 있다. 예약 후 사용자는 예정된 LAnow 픽업/드롭 오프 지점에서 셔틀을 만날 수 있다. 서비스 구역 내에서, 픽업/드롭 포인트는 결코 몇 블록(1/4마일) 이상 떨어져 있지 않다.
랜드마크 및 명소
손바닥의 다양성은 그 랜드마크에 반영된다. 종교 유적지로는 왓세카 에비뉴의 크리슈나 의식을 위한 국제 협회(International Society for Crishna Ab뉴)와 모터 에비뉴의 이란계 미국인 무슬림 협회(IMAN)가 있다.
팜에는 인도네시아, 인도, 파키스탄의 많은 식당과 업소가 있다. 또한 LA에 있는 브라질 공동체의 중심지 중 하나로 브라질 중심의 레스토랑과 상점들이 다수 있으며, 나이트클럽도 1곳이다. 1979년 맥쿤 애비뉴의 오버랜드 가 3739번지에 있는 치펜데일레스의 에로틱한 남성 댄스 클럽은 벵골 이민자 스티브 배너지가[33] 나이트클럽 디스코인 데스티니 2세를 남성 스트리퍼들의 공연장으로 만들면서 시작되었다.[34]
이 지역에는 특이한 박물관인 쥬라기 테크놀로지 박물관과 연구소인 토지 이용 해석 센터가 있다. 이 곳에는 팀 로빈스가 이끄는 배우 갱의 본거지인 아이비 변전소가 있다. 아이비변전소는 컬버시티에 장기 임대된 미디어파크 내에 있다.
정부 및 인프라
근린협의회
손바닥은 로스엔젤레스 시에서 인증한 인근 지역 협의회에서 제공되며, 그 관리 기구는 대표 의회라고 불린다.[35]
의회는 2004년 12월 14일 시 정부의 일부로 인증되었다. 창설된 대통령은 Len Nguyen으로, 그는 새로 선출된 시의회의원 빌 로젠달의 일을 위해 취임 직후 사임했다. 토드 로빈슨은 두 번째 대통령으로 성공했지만, 몇 달 후에 사임했다. 2006년 3월, Pauline Stout 부통령이 대통령이 되기 위해 승진했다. 조지 가리지스(2008-09년), 디 올로마제예(2009-12년), 일라이 립멘(2012년–14년), 마리사 스튜어트(2014–16년), 닉 그리프(2016~2018년), 앨리슨 리건(2018~2019년)이 뒤를 이었다.
Palms의 모든 이해당사자들은 동네의회 의원들이다. 이해당사자에는 구에 거주하거나, 일하거나, 재산을 소유하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팜스 조직을 대신하여 다른 종류의 활동을 통해 제휴를 주장할 수 있는 광범위한 범주가 포함된다. 2005년 봄, 지역 전체에서 선출된 장교와 지역으로부터 선출된 대표들로 구성된 13명으로 구성된 통치 기구인 대의원에 3명이 선출되었다. 지난 10년간 PNC는 다음을 위해 노력했다.
- 팜의 삶의 질 향상
- 우리 이웃에게 지역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에 대해 발언권을 주도록 하라.
- 당사의 지역에 대한 도시 서비스 제공 개선
- 시 공무원과 부서가 지역사회의 요구와 우려에 대해 보다 책임감 있게 대응
- 손바닥의 다양한 사람들을 대표한다. 임대인, 주택 소유자, 직원, 상인, 기타[36] 지역 문화, 교육 및 종교 단체와 제휴한 사람들
공안
로스엔젤레스 소방국은 란초 파크와 시보트 힐즈 일부도 운행하는 43번 스테이션을 운영하고 있다.
로스앤젤레스 경찰국은 컬버 대로 12312번지에 퍼시픽 커뮤니티 경찰서를 운영하고 있다.[37]
카운티 대표성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보건부 SPA 5 West Area Health Office는 팜스를 제공한다.[38]
우체국
미국우편국 팜스 우체국은 3751 Motor Avenue에 위치해 있다.[39]
교육
25세 이상 팜스 거주자의 거의 절반은 2000년까지 4년제 학위를 취득했으며 이는 시와 군 모두에게 높은 수치였다. 군에서는 학사 학위나 석사 학위를 소지한 그 나이의 주민 비율도 높은 것으로 간주되었다.[1]
팜스 내의 학교는 다음과 같다.[40]
- 리셉터 침례 초등학교, 사립, 10792 국립 대로
- LAUSD, 11020 Clover Avenue 초등학교
- 르 리세 드 로스엔젤레스, 일병, 3261 오버랜드 가
- LAUSD, 팜스 초등학교 3520번지 모터애버뉴
- LAUSD, 팜스 중학교 우드바인 가 10680번지
- 목련과학아카데미 6호 헌장, 3754 던 드라이브
- 세인트 어거스틴 초등학교, 사립 3819 클레링턴 가
- 차녹로11133번길
- 신대륙 몬테소리 학교, 사립 K-6, 10520 리젠트 스트리트[41]
알렉산더 해밀턴 고등학교(로스앤젤레스), LAUSD, 2955 S. 로버트슨 대로가 팜스 공립 고등학교로 봉사하고 있다.
공원 및 레크리에이션
팜스파크와 팜스 레크리에이션 센터는 팜스파크에 있다.[42] 레크리에이션 센터에는 강당, 바비큐 구덩이, 불이 켜진 야외 농구장, 어린이 놀이방, 커뮤니티 룸, 피크닉 테이블 등이 있다.[43] 팜스파크 어린이집은 공원과 인접해 있다. 유치원은 3~5세 아동에게 제공된다. 센터에는 밀폐된 놀이 공간이 있다.[44]
우드바인 공원도 팜스에 위치해 있다. 피크닉 테이블과 농구장, 어린이 놀이공간이 있는 작은 포켓파크다.[45] 래퍼 스눕독이 갱단 멤버 필립 월드마리암 총격 사망 사건에 연루됐다는 주장이 제기된 이 공원이다.[46]
참고 항목
각주
-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Palms Profile – Mapping LA". Los Angeles Times. Retrieved 2010-05-09.
- ^ 가교, 뒷면 커버
- ^ 인거솔의 세기 역사, 산타모니카 베이 시티
- ^ Cerra, 타임라인 섹션 1페이지
- ^ 로스엔젤레스 카운티 토마스 가이드 672페이지
- ^ David Worsfold 기사, Los Angeles Times, 1960년 4월 28일, 섹션 E, 페이지 1.
- ^ 1882년 10월 29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 ^ 로스엔젤레스 부동산의 짧은 역사
- ^ Brightwell, Eric (2013-01-30). "Exploring the Course of the Future Metro Expo Line: Phase 2". KCET. Retrieved 2020-09-05.
- ^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958년 5월 1일, 섹션 B, 페이지 1
- ^ "전날 이 신문의 현지인은 산타모니카에서 5마일 정도 떨어진 S. P. 길의 초창기 마을인 '팜스'를 살펴보았다. 업주들이 창고 근처에 두 개의 큰 손바닥을 심었고 160여 개의 식물들을 다양한 자동차 도로 위에 심었기 때문에 더 이상 잘못된 명칭이 아니다. 한 부대가 거리를 채점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것이 다양한 종류의 그늘진 나무로 모든 길목을 심으려는 의도라고 들었다." — [1] 산타 모니카 베이 시티의 인거솔 세기사에서 인용한 신문 기사 353페이지.
- ^ 1958년 5월 1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섹션 B, 페이지 1.
- ^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886–1922) 1890년 3월 21일: 5
- ^ 조지 와튼 제임스 남부 캘리포니아로 가는 여행자 안내서. GWJ, 패서디나: 1904, 페이지 314
- ^ 산본 손바닥 지도, 1910 페이지 3
- ^ 1914년 3월 15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부 페이지 12.
- ^ 1914년 4월 29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2부 1면
- ^ "합병 반대" 1914년 5월 30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부 페이지 10.
- ^ 1914년 5월 24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제2부 1페이지.
- ^ 1914년 6월 2일, 2부, 페이지 1의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Palms District Boards to Annex to City".
- ^ 1915년 5월 5일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1부 6일자 "시티 어츠 어츠 어츠 어츠 어츠 어츠 어즈 어즈 어즈 어즈 어즈 어즈 광대하고 리치 리치.
- ^ [2] 페이지 314
- ^ [3] 페이지 178
- ^ [4] 태평양전기지도
- ^ 화관, 11페이지
- ^ 15페이지와 54페이지.
- ^ [5]
- ^ 123페이지의 가교.
- ^ "Zipcode 90034". www.plantmaps.com. Retrieved March 23, 2021.
- ^ http://www.palmsvillagesun.info/Maps/WPA_Map.html palmsvillagesun.info
- ^ "Population Density". Los Angeles Times. Mapping L.A. Retrieved June 12, 2016.
- ^ 박람회 경전철
- ^ http://www.diasporic.com/articles/steve_banerjee/ diasporic.com
- ^ http://www.discomusic.com/clubs-more/10583_0_6_0_C/ discomusic.com
- ^ PNC(Palms Neighborhood Council) 웹사이트
- ^ http://palmsla.org/about/
- ^ http://www.lapdonline.org/pacific_community_police_station lapdonline.org
- ^ "우리들에 대해." 로스앤젤레스 카운티 보건부 2010년 3월 18일에 검색됨.
- ^ "우체국 위치 – 손바닥" 미국 우체국. 2008년 12월 6일에 회수되었다.
- ^ [6] "팔렘스 스쿨", LA 타임즈 지도 제작
- ^ [7] Trulia.com
- ^ "팔렘스 박." 로스앤젤레스의 도시 2010년 3월 23일에 검색됨.
- ^ "팔렘스 레크리에이션 센터." 로스앤젤레스의 도시 2010년 3월 23일에 검색됨.
- ^ "팜스파크 보육원." 로스앤젤레스의 도시 2010년 3월 23일에 검색됨.
- ^ "[8]." 로스앤젤레스의 도시 2013년 1월 30일에 검색됨.
- ^ "[9]."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2013년 1월 30일에 검색됨.
참조
- Garrigues, George, Los Angeles's The Palms Neighborn, Arcadia Publishing, Charleston, South Carolina, Charleston, 2009년 ISBN 978-0-7385-6993-2 OCLC 677925321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로스엔젤레스의 팜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