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달람 왕조
Pandalam dynasty![]() | 이 글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이 문제를 개선하거나 대화 페이지에서 토의하십시오. (이러한 템플릿 메시지를 제거하는 방법 및 시기 알아보기)
|
판달람 왕국 പന്തളം രാജവംശം | |
---|---|
c. 903 CE(79 ME)–[1]1820 CE(995 ME)[1] | |
2층 판달람 발리야코이크칼 궁전의 정면도 | |
자본 | 코니 (약 100년) 판달람(최대 1820 CE) |
공용어 | 타밀 말라얄람 |
종교 | 힌두교 |
정부 | 군주제 |
• 콜람 시대의 시작 | 라자 라자세크하라 베르마 (아야파의 양아버지) |
역사시대 | 콜람 시대 |
• 확립됨 | c. 903 CE(79 ME)[1] |
• 설정되지 않음 | 1820 CE(995 ME)[1] |
오늘의 일부 | 인도 파나마티타 구 |
판달람 왕조(말라얄람:പന്തംം)))))) 판디야 왕국의 한 분파에서 왕조가 나타났다.[2] 콜람 시대 케랄라에 존재했던 것. 그들은 지배자의 폭행을 두려워하여 케랄라로 왔다. 케랄라에서는 닐람부르 코빌라캄의 카이푸자 탐판(쿤주니 바르마 탐판)으로부터 땅과 지위를 부여받았는데, 닐람부르 코빌라캄의 아만튀르 궁전에서 살던 지주였다. 오늘날 판달람은 인도 케랄라의 파나마티타의 일부분이다.
초기 역사
타밀라캄의 판디야 왕국은 칼지 왕조 알라우딘 칼지의 총사령관 말리크 카푸르의 공격을 받은 적이 있다. 판디야 라하스가 실패하자 이 왕조의 두 지파가 서쪽(케랄라)을 향해 도망쳐 공격으로부터 몸을 사렸다. 한 갈래는 서부 가트 산맥 지역을 거쳐 코타야암의 푸온자르에 정착하여 푸온자 왕국을 세웠다. 다른 지부(Chembazhannur)는 몇 군데의 가쓰들을 헤맸고 많은 어려움에 직면해 마침내 판달람에 정착했다.[3] 도망쳐 나온 젬바잔누르 지부는 처음에 발리유르(티루넬벨리 인근)에 정착하여 사회에서 특권적인 지위를 누렸다.[4] 이후 침략의 위협으로 왕실은 텐카시로 옮겨갔다. 마두라이의 유명한 통치자인 티루말라이 사부리 나유누 아유루가 나이두는 젬바잔누르 가문의 왕자와 딸의 결혼을 보고 싶어했다. 그러나 결혼 청혼이 거절되자 나약도 판디야스의 적이 되었다. 그는 강한 마라바파다(육군)로 텐카시에서 막대한 피해를 입었다. 텐카시에서 평화로운 생활을 계속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가족들은 엘라토오르 마니얌이라는 곳으로 이주하여 풀리얀쿠디 인근 산악지대를 조달했다. 그러나 나야크는 아찬코빌, 아리안카부, 쿨라투푸샤 등의 곳을 거쳐 서쪽(케랄라)으로 진격하도록 강요한 왕실을 계속 고문하여 c. 79 ME까지 곤니에 정착시켰는데, 이는 베나드 라자가 발행한 코퍼 증서에 따른 것이었다. 이 가족은 곤니(Muringamangalam Sreemahadevar 사원)에 시바 영주를 위한 사당을 건립하여 매일 예배를 드렸다. 이 절은 케랄라에 있는 젬바자누르 가문의 가장 유명한 공헌 중 하나이다.[5] 무츠, 마나스, 코이칼도 그 가족에 의해 건설되었다. 도둑들의 활동에 진저리가 난 지역 주민들은 그 가족을 '첨바잔지 코빌라콤'이라는 이름의 지배계급으로 받아들였다. Challas에 의한 Travancore에 대한 공격으로 가족들은 Konni를 탈출한 다음 그들의 영구적인 수도가 된 Pandalam에 정착해야 했다. 카이푸자에 있는 아만튀르 코빌라캄의 쿤주니 바르마 탐판(카이푸자 탐판)으로부터 땅을 얻어 370 ME(1194 CE) 무렵에 본격적인 왕국이 세워졌다. 베네드 통치자는 또한 이 왕국을 세우는 데 큰 역할을 했다.[6] 사람들은 판달람 통치하에서 평화로운 분위기와 이상적인 삶을 즐겼다. 트라반코어 주 매뉴얼을 기준으로 판달람 왕국은 트라반코어의 라하스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했다. 트라반코어의 카이푸자 탐판과 마하라자의 관계는 매우 우호적이었다. 판달람 라자는 트라반코어의 마하라자의 조언자 쿤주니 바르마 탐판을 통해 트라반코어의 마하라지와 좋은 관계를 맺었다.
판달람 왕국의 영토는 코니, 아칸코빌, 텐카시의 일부와 아야예파의 거주지인 사바리말라의 숲 지역을 덮은 1,000제곱마일(2,600km2)의 지역까지 확장되었다. 345 ME 동안, 베나드 통치자 아드히차바르만은 이 왕국에 상당한 양의 땅을 주었다. 유명한 베나드 통치자이자 트라반코어 왕국의 설립자인 마르탄다 바르마는 그의 합병 정책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중앙 트라반코르에서의 정복에서 판달람은 독립된 채로 남겨졌고 그의 영토에 합병되지 않았다. 이는 주로 트라반코르가 판달람과 맺은 우호적인 관계와 카얌쿨람 바르마 정복에서 왕실의 도움이 있었기 때문이었다. 판달람은 965 ME 기간 동안 말라바르 해안에서 티푸스가 정복한 후 전쟁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 트라반코어 정부에 많은 Rs2,20,001을 지불할 수 밖에 없었다. 그 금액은 다양한 할부로 지불되었다. 969 ME 기간 동안, 사바리말라 사원의 수입은 판달람의 통치자에 의해 분할납부하는 데 사용되었다. 995 ME에 의해 트라반코어의 라자는 판달람 왕과 계약을 맺고 판달람으로부터 수입을 거두는 것이 허락되면 왕실의 모든 일원을 지원하겠다고 약속하였다. 이 제의를 받아들이자 판달람 왕국은 트라반코르와 합병되어 각 왕족에게 매월 연금이 지급되었다. 왕국 구내에 있는 사바리말라 등 사원의 행정권은 트라반코어 정부로, 이후 트라반코어 데바스톰 이사회로 이관되었다. 파나마티타 구가 형성되기 전 판달람은 알라푸자 지구의 마벨리카라 탈룩의 일부였다.
아야파와의 관계에 대한 전설
판달람 왕가는 바르가바 고트라에 속하고, 케랄라의 다른 왕실은 비스와미트라 고트라에 속한다고 여겨진다. 이 왕국은 하리하라(시바와 비슈누의 융합)의 아들인 아야파와의 친족관계로 유명하다. 사냥 원정 때 이 왕조의 왕 라자 라자세크하라가 팸바 둑 근처에서 아기의 울음소리를 들었다. 라자는 목에 구슬을 차고 후광으로 둘러싸인 찬란하게 생긴 유아를 발견했다. 아이가 없는 라자는 아이를 데리고 가야 할지 의심스러웠다. 그러나 세이지 아가스티야는 그곳에 도착하여, 그 아이가 신으로부터 온 부귀라고 말해 의심을 풀었고, 그를 받아들이라고 충고했다. 그는 마니칸타(마니는 구슬을 의미하고 칸타는 목이라는 뜻이다. 그는 구루쿨람에서 적절한 교육을 받았다. 후에 라니는 아들을 낳았지만 라자는 마니칸타를 그의 장남으로 여기고 그를 판달람의 유바라자로 왕위에 앉히기로 결정했다.[7]
마니칸타는 악을 분쇄할 운명인 만큼 왕위에 오르려 하지 않았다. 궁중의 탐욕스러운 목사가 궁중의 라니(Rani)를 오도하고 마니칸타(Manikanta)에 대한 계략에 가담했다. 목사의 말에 따라 라니안은 심한 복통을 앓는 시늉을 했다. 뇌물을 받은 왕실 주치의는 타이거의 젖을 이 고통의 유일한 치료법으로 처방했다. 왕은 왕실 신하들 중 어느 누구도 호랑이에게서 젖을 얻는 임무를 완수할 수 없다는 것을 꽤 확신하고 있었지만, 마니칸타는 그것을 가져오기 위해 숲속 깊숙이 들어가기로 동의했다. 숲 속에서 마니칸타는 마히시라는 악마를 물리치기 위해 싸우러 오곤 했다. 바로 다음 날, 그는 호랑이를 타고 한 무리의 새끼들을 따라 궁전에 도착했다. 마니칸타가 평범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깨달은 궁내 단원들은 그를 아야네와 아파네라고 부르며 칭찬하기 시작했는데, 여기서 '아야파'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마히시 여인을 살해하는 사명을 완수하자 마니칸타는 라자에게 사바리말라에 사당을 짓도록 지시하기 전에 궁전을 떠나야 한다고 결심했다. 그곳에서 수천 명의 신자들에게 복을 빌어 줄 사바리말라에 사당을 짓도록 라자에게 지시하기 전에는 아니었다. 그는 일단 이 일이 끝나고 영원히 사라진 모든 사람들을 축복했다.[8]
പാണ്ഡ്യേശ വംശതിലകം
കേരള കേളിവിഗ്രഹം
ആർത്തത്രാണപരം ദേവം
ശാസ്താരം പ്രണമാമ്യഹം
위의 구절들은 아야파 경과 판디야 왕국의 관계를 보여준다. 판디야 뱀사의 틸락(이마의 자국)과 케랄라나두의 사랑받는 신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다.[9]
팰리스 콤플렉스
판달람 궁전
판디얀 / 판달람 궁전 | |
---|---|
பாண்டிய அரண்மனை / പന്തളം കൊട്ടാരം | |
일반 정보 | |
상태 | 유적지 |
유형 | 왕궁 |
건축양식 | 케랄라 전통 건축 |
위치 | 케랄라 |
읍 또는 시 | 판달람 |
나라 | 인도 |
좌표 | 9°19˚N 76°44°E / 9.32°N 76.73°E |
소속 | 판달람 왕조 |
기술적 세부사항 | |
재료 | 나무, 대나무, 진흙, 돌 |
설계 및 시공 | |
개발자. | 판달람 라하스 |
(말레이알람: പന്തംംംം)))는 아찬코빌 강둑에 위치한 판달람의 왕궁으로 왕족들의 거주지였다.[10] 판다야스와 케랄 사람 모두의 건축 혼합물은 궁전의 어느 구석에서나 볼 수 있다. 진흙, 대나무, 돌, 목재는 오래된 구조물에서 주로 사용된다. 아야파 경이 어린 시절을 보낸 곳은 이 궁전이었다. 시간이 흐르면서, 궁전의 많은 부분들은 사소한 충돌과 홍수에 의해 빼앗겼다. 그러나 발레야코이칼 사원, 카이푸자 사원, 테바라푸라 같은 꽤 많은 구조물들이 고대의 역사와 고고학적 중요성을 묘사하고 있다.[11]
발리야코익칼 사원
아찬코빌 강변에 위치한 사원은 케랄라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판달람 왕국의 가족 사원이었다. 사바리말라에서 돌아온 라자세크하라 라자가 아야파 일상예배를 위해 지은 것이다. 그 사당은 궁궐 안에 있다. 여기에 아이돌 대신 살라그램암(신성한 돌)이 설치돼 있다. 사바리말라로의 성스러운 십루바바라 행렬은 매년 이 절에서 마카람 달에 개최되는 마카라빌락쿠 축제가 열리기 전, 다뉴 28일에 시작된다.[12]
카이푸자 사원
이 단지에는 주로 두 개의 사당이 있는데, 하나는 트라반코르 데바스톰 이사회가 관리하는 크리슈나를 위한 궁전 행정하의 시바를 위한 것이다. 나바그라하(성스러운 행성 9개) 조각상은 크리슈나의 사당에서 묘사된다. 한때 나라심하 머시의 우상이 신전에 설치되었던 적이 있는데, 그 신전은 매우 강력했다. 그러나 궁중의 불행한 사건들로 인해 우상은 점성술사와 사제들의 지시에 따라 산타나 고팔람 프라티슈타로 대체되었다.[13]
테바라푸스 (기도실)
나무로 우아하게 구조된 바닥케코타람과 날루켓투 궁전의 기도실이나 테바랍투라스는 여전히 28명의 신과 여신들의 우상을 숭배하는 흠잡을 데 없는 상태에 있다. 판달람 왕국의 판디얀 관계는 미낙시 암만 아이돌의 존재로 쉽게 알 수 있다.[14]
스램피컬 궁전
궁전은 발리야코이칼 신전의 북쪽에 위치한다. 이곳에는 아야파 경의 십수바라남(신성한 장식물)이 보관되어 있다. 순례자들은 만다라 - 마카라빌라쿠 시대에 이 장신구들을 숭배하고 성스러운 가마들을 볼 수 있는 기회를 갖는다. 이 장신구들은 28일 아침에 꺼내어 신전으로 옮기고 이후 성스러운 행렬을 이루어 사바리말라 사원으로 옮겨진다.
푸텐코이칼
이 건물은 연못 근처에 있다. 그 연못은 한때 궁중의 숙녀들의 목욕 용도를 위한 것이었다. 신성한 장식을 들고 사바리말라로 가던 라자는 발리야 탐부라티(가장 나이가 많은 여성 회원)의 비브후티와 축복을 받기 위해 이 궁전에 멈추곤 했다.
궁중의 풍습과 신앙
궁전 자체는 여러 가지 다양한 풍습과 신념을 신성시 하고 있다. 왕실은 발리야코익칼과 사바리말라 사원에서 다양한 제례를 행할 수 있는 특권을 가지고 있었다. 신자들은 종종 비브후티(신성한 재)의 형태로 축복을 얻기 위해 라자를 방문한다.
몇 가지 중요한 관습
- 발리야 탐푸란의 대표는 마카라빌라쿠의 날에 사바리말라 신사에서 마지막으로 기도하는 특권을 가진다.
- 남자아이(우파냐나 이전)와 여자회원(10~50세)은 성지순례를 할 수 없다.
- 왕족들은 사바리말라 순례길에 이루무디케투(여행 도구)를 함께 들고 다닐 필요가 없다.
- 발리야코익칼 신전은 궁중의 어떤 가족도 사망하면 12일간 폐쇄될 것이다.[15]
주목할 만한 인물들
판달람 왕족에는 저명한 예술가, 학자, 문인들이 있다.
- 판달람 케랄라 바르마는 작가다. 그는 많은 서사시, 번역서, 어린이 시, 그리고 두 마하카바를 썼다. 그는 최초의 말레이지아 정기 간행물인 "카바나 카우무디"의 편집장을 지냈다.[16]
- V.S. Valiathan (Vataparambil Sankaran Valiathan)은 판달람 왕가에서 레바티날 라비 바람 라자와 토틸 마드하비 암마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라자 라비 바르마의 스타일을 따랐던 케랄라 출신의 유명한 예술가 중 한 명이다.[17]
참고 항목
참조
- ^ a b "Royal Family Of Pandalam - Website Of Lord Ayyappa And Royal Family Of Pandalan". www.ayyappa.com.
- ^ "Connecting the past and present of Kerala's royalty". The New Indian Express. Retrieved 5 March 2021.
- ^ "ധര്മ്മ ശാസ്താവും അയ്യപ്പനും ഒരു വിമര്ശന പഠനം". vrittantham.blogspot.com. 4 January 2015.
- ^ "Pandalalm Raja - thatvamsiorg". sites.google.com.
- ^ "മുരിംങ്ങമംഗലം ക്ഷേത്ര ഉല്പത്തി". murungamangalam.blogspot.in. 13 December 2009.
- ^ "Pandalam the holy town". pandalamonline.blogspot.in. 17 June 2009. Retrieved 9 October 2016.
- ^ V, Ramakumar (September 2002). "പന്തളം രാജവംശം". In Paramasivan Nair (ed.). Sree Ayyappan (1st ed.). Thiruvananthapuram: Siso books. pp. 55–56. ISBN 81-7797-033-X.
- ^ "J Y O T H I". earnhapply.blogspot.com.
- ^ "പന്തളത്തു തമ്പുരാന്റെ ഭജനം". www.janmabhumidaily.com.
- ^ "Heavy rush for Thiruvabharanam darshan at Pandalam Palac". Retrieved 3 March 2014.
- ^ "Royal family of Pandalam". sabarimalayatraa.blogspot.com.
- ^ "Hundreds throng Pandalam to worship Thiruvabharanam". The Hindu. 10 January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anuary 2011. Retrieved 27 December 2013.
- ^ "Kaipuzha Shiva temple in Pandalam India". www.india9.com.
- ^ "Historical Pandalam Palace and Its Importance". www.keralahoneymoonpackage.com.
- ^ "Customs - Pandalam royal family". www.ayyappa.com.
- ^ Nair, Mohanakshan. "Mahakavyas of Pandalam Kerala Varma: a study (പന്തളം കേരളവര്മ്മയുടെ മഹാകാവ്യങ്ങള് - ഒരു പഠനം )". Shodhana. Mahatma Gandhi University. Retrieved 3 December 2018.
- ^ "Raja Ravi Varma Prize for Valiathan". The Hindu. 11 May 2006. Retrieved 3 December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