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너병

Panner disease
패너병

판너병팔꿈치 갑상선골수화증이다.[1]판너병은 주로 5세에서 10세 사이의 소년들에게서 발견된다.[2]패너병은 발거스 스트레스로 인해 무리한 투구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그 질병은 영향을 받은 팔꿈치에 고통뻣뻣함을 유발하고 확장을 제한할 수 있다; 영향을 받은 팔꿈치는 보통 아이가 사용하는 우세한 팔에 있다.[3]그 질병은 투구 및 운동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방사선 사진의 경우 방사선 영역과 함께 카피텔룸이 불규칙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치료는 증상으로 예후가 좋다.치료는 미미하며 팔꿈치가 치유되고 통증이 완화될 수 있도록 운동 활동을 제한하는 것을 포함한다.[4]이 병의 이름은 덴마크의 방사선 전문의 한스 제센 파너(1871~1930)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증상

패너병에 걸린 사람은 가장 흔히 갑상선 근처에서 팔꿈치 통증을 경험한다.[2]그 밖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이러한 증상은 예를 들어 을 던지거나 체조를 하는 등의 신체 활동으로 악화된다.증상은 예상외로 시작되어 며칠이나 몇 주 동안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증상은 더욱 오래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2]

원인들

극히 희귀한 질병인 만큼 정확히 무엇이 파너병을 유발하는지 알 수 없다.팔꿈치를 지속적으로 과다하게 사용함으로써 발병할 수 있으며, 뼈의 성장이 빠른 시기에는 팔꿈치에 압력을 가하기도 하고 어린이들의 팔꿈치에 무리를 주기도 한다고 여겨진다.팔꿈치를 과도하게 사용하는 것은 야구, 핸드볼, 체조 등 이러한 스포츠가 관절을 던지거나 많이 압박하는 스포츠에 관여하기 때문일 수 있다.[2][5]이러한 반복적인 활동은 미세외상을 유발하며, 영향을 받은 팔꿈치가 붓고, 자극되며, 통증을 유발한다.판너병은 갑골에 대한 혈액 공급이 차질을 일으켜 갑골의 성장판 내 세포가 죽고 주변 뼈의 연화·붕괴로 인해 평탄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citation needed]

메커니즘

카피텔룸(Capitellum)은 유머러스 끝에 있는 둥근 손잡이로, 반지름으로 고정되어 있다.

판너병은 의 팔꿈치에 영향을 미친다.팔꿈치에서 유머러스척골과 반경을 만난다.상완골은 어깨에서 팔꿈치로 이어지는 긴 뼈로, 척골과 반경은 팔뚝을 이루는 두 뼈다.[6]카피텔룸은 유머러스 끝에 있는 둥근 손잡이로, 반지름의 컵 모양 때문에 반지름으로 고정된다.판너병은 골수화증이라고 알려진 뼈 발달 질환의 일부분이다.[6][7]골연화증에서, 지배적인 팔꿈치에서 뼈가 발달한 부위로의 혈액 공급은 아직 잘 이해되지 않은 무언가에 의해 일시적으로 중단된다.[6]따라서 뼈의 조직들은 충분한 혈액을 얻지 못하고 괴사를 겪기 시작하며 죽기 시작한다.보통 뼈는 성장판의 팽창과 결합에 의해 자라나지만 골수화증은 이 과정을 방해하고 그 결과는 세포사멸과 새로 형성된 조직의 상실이다.조직의 죽음은 결국 뼈의 성장판을 악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뼈의 성장판은 연골세포가 뼈세포로 변하는 발달뼈 끝부분의 부위로 정의된다.[6]뼈조직은 재생되지만 괴사는 격렬한 팔과 팔꿈치 활동이 일정 기간 현저하게 감소하거나 정지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환부에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6]

판너병은 카피텔럼(OCD)의 골수전염 디세컨즈라고 불리는 비슷한 질환의 전조라고 여겨진다.[6]OCD는 더 나이가 많은 아이들에게서 OCD가 발생하며 성장판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Panner병과는 다르다. 왜냐하면 OCD가 발생할 무렵에는 성장판이 이미 융접하고 골격은 성장을 끝냈기 때문이다.[citation needed]

진단

증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면서 아이는 소아과 의사나 가정의사를 찾아가 아이의 판너병 여부를 확인할 예정이다.아이가 의사를 방문하면 의사는 아이의 나이, 스포츠 참여, 활동 수준, 아이의 우세한 팔이 무엇인지 등에 대한 정보를 구하게 된다.영향을 받은 팔꿈치는 건강한 팔꿈치와 비교될 것이며 두 팔꿈치 사이의 어떤 차이도 주목할 것이다.[5]팔꿈치에 통증이 있는 위치, 아이의 운동 범위와 연장 범위도 파악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예정이다.어린이의 운동 범위와 신장 제한을 점검하기 위해 어린이에게 영향을 받은 팔꿈치의 팔을 다양한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요청한다.팔을 여러 방향으로 움직이면 의사는 아이가 팔을 얼마나 잘 움직일 수 있는지 결론을 내릴 수 있고 의사는 여러 방향으로 인한 통증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5]

진단을 확인하기 위해 X선 촬영이나 MRI 촬영을 한다.방사선사진은 의사가 불규칙한 부분을 시각화하고 갑상선 모양을 볼 수 있게 하며 성장판도 시각화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판너병에서, 카피텔룸은 평평하게 보일 수 있고 뼈 성장판은 불규칙하고 조각난 것처럼 보일 것이다.골절이 발생한 부위도 방사선 촬영에 시각화할 수 있다.[2]환자가 MRI 검사를 받을 때 카피텔럼의 모든 불규칙한 부분을 시각화할 수 있고, 뼈가 부은 정도를 결정하기 위해 더 자세히 시각화할 수 있을 것이다.패너 질환에 대한 MRI 결과에서 T1 시리즈에서는 카피텔럼의 신호 강도가 감소하고 T2 시리즈에서는 신호 강도가 증가할 것이다.[2][5]

예방

패너 질환의 미래 예방을 위해, 아이는 증상이[citation needed] 완화될 때까지 영향을 받은 팔꿈치의 사용을 포함하는 모든 신체 및 스포츠 활동을 중지하도록 지시 받는다.

치료

판너병 치료의 목표는 통증을 완화하는 것이다.판너병에 대한 치료는 매우 미미하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아이들에게 뼈는 혈액 공급을 회복하고 스스로 재건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것은 성장판의 재건과 카피텔럼의 정상적 형상으로 돌아가게 한다.[6]재건과 재생 기간은 아이마다 다르며 일주일에서 몇 달 사이 어디에서나 지속될 수 있다.통증을 완화하기 위해, 아이는 팔꿈치가 치유될 때까지 스포츠와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제한하고, 또한 영향을 받은 팔꿈치를 쉬게 한다.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완화되고 팔꿈치가 완전히 움직일 수 있다.또한 통증과 부기를 완화하기 위해 아이들에게는 아이스팩이나 열을 팔꿈치에 가하는 것이 권장될 수 있다.아이가 팔을 구부리고 곧게 펴는 데 큰 어려움을 겪는 경우 물리치료도 권장할 수 있다.때로는 통증이나 부기를 줄이기 위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s)아세타미노펜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4]

예후

치료를 위해, 판너병은 휴식과 신체 활동과 스포츠의 제약을 받은 아이들에게서 잘 치유된다.예후는 치료에도 좋고 환부된 카피텔룸을 리모델링한다.카피텔럼과 주변 팔꿈치 부위의 불규칙성은 방사선 촬영과 MRI로 볼 수 있다.치료가 효과적이면 납작해지고 파편화된 카피텔룸을 완전히 개조해 정상 원형 모양으로 되돌리고, MRI T2 시리즈의 고강도 신호도 사라진다.[5]이러한 결과는 카피텔룸이 완전히 개조되어 아이가 정상적인 신체 및 스포츠 활동으로 돌아갈 수 있음을 나타낸다.[citation needed]

리서치

판너병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 연구에서 잦은 던지기나 다른 운동 활동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4]다양한 골수성 질환을 이야기하는 같은 글에서 판너병은 방사선 촬영으로 시각화할 수 있는 카피텔럼의 변형이 항상 수반된다는 지적이 나온다.다른 연구 기사에서 연구팀은 판너병 진단과 치료에 이용 가능한 최선의 증거를 요약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기사에서 판너병 환자들이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팔꿈치 뻣뻣함붓기, 운동범위 제한, 팔꿈치 확장 제한 등의 증상으로 나타났다.[2]앞서 언급한 기사에 맞춰 연구팀은 판너병이 갑상선 불규칙성을 수반한다는 결론도 내렸는데, 특히 갑상선 불규칙성이 납작해진 것처럼 보인다는 결론을 내렸다.판너병은 골수염 디세컨(OCD)으로 오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글에서는 두 질환의 차이를 연령 차이와 방사선 소견으로 구분한다.[2]앞서 논의한 두 기사와 일치하여, 판너병의 3가지 사례 연구에 관한 다른 기사에 따르면 판너병에 사용되는 1차 치료는 휴식이고 상지의 사용을 수반하는 모든 신체적, 운동적 활동에 대한 제한이며, 그 활동은 그 때까지 중지할 것을 제안한다.증상이 [5]완화되다

참조

  1. ^ RESERVED, INSERM US14 -- ALL RIGHTS. "Orphanet: Panner disease". www.orpha.net. Retrieved 15 September 2017.
  2. ^ a b c d e f g h Claessen, Femke M. A. P.; Louwerens, Jan K. G.; Doornberg, Job N.; van Dijk, C. Niek; Eygendaal, Denise; van den Bekerom, Michel P. J. (2015-02-01). "Panner's disease: literature review and treatment recommendations". Journal of Children's Orthopaedics. 9 (1): 9–17. doi:10.1007/s11832-015-0635-2. ISSN 1863-2521. PMC 4340849. PMID 25663360.
  3. ^ "Panner disease Lurie Children's, Chicago". www.luriechildrens.org. Retrieved 2017-11-07.
  4. ^ a b c Atanda, Alfred; Shah, Suken A.; O'Brien, Kathleen (2011-02-01). "Osteochondrosis: common causes of pain in growing bones". American Family Physician. 83 (3): 285–291. ISSN 1532-0650. PMID 21302869.
  5. ^ a b c d e f Sakata, Ryosuke; Fujioka, Hiroyuki; Tomatsuri, Masaki; Kokubu, Takeshi; Mifune, Yutaka; Inui, Atsuyuki; Kurosaka, Masahiro (2015-04-22). "Treatment and Diagnosis of Panner's Disease. A Report of Three Cases". The Kobe Journal of Medical Sciences. 61 (2): E36–39. ISSN 1883-0498. PMID 26628012.
  6. ^ a b c d e f g "Panner's Disease". kidshealth.org. Retrieved 2017-11-07.
  7. ^ Wróblewski, Robert; Urban, Mariusz; Michalik, Dariusz; Zakrzewski, Piotr; Langner, Maciej; Pomianowski, Stanisław (January 2014). "Osteochondrosis of the capitellum of the humerus (Panner's disease, Osteochondritis Dissecans). Case study". Ortopedia, Traumatologia, Rehabilitacja. 16 (1): 79–90. doi:10.5604/15093492.1097492. ISSN 2084-4336. PMID 2472879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