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트레차이나
Paratrechina파라트레차이나 | |
---|---|
![]() | |
파라트레차이나 긴꼬리코니스(긴 뿔개미) 일꾼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애니멀리아 |
망울: | 절지동물 |
클래스: | 살충제 |
순서: | 히메놉테라속 |
패밀리: | 포미키과 |
하위 패밀리: | 포미시네아과 |
부족: | 라시니 |
속: | 파라트레차이나 모츠철스키, 1863년 |
종류종 | |
파라트레차이나 컬렌 모츠쿨스키, 1863년 | |
다양성[1] | |
6종 |
파라트레차이나는 포미시나에(tribe Lasiini) 하위과에 속하는 포미시나과에 속하는 포뮬러피스 속(Franolepis, Nylanderia, Paraparatrechina, Parronolepis, Parronolis, Prasolasius, Zatania)의 7개미속 중 하나이다.파라트레차이나에는 6종이 포함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인 긴 뿔개미(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는 널리 퍼져 있는 아열대성 해충이다.[2]
종
- 파라트레차이나 앙카라나 2014년 라폴라 & 피셔
- 파라트레차이나 개미핥기 2014년 라폴라 & 피셔
- 파라트레차이나 콜리 (1916년 1월)
- 파라트레차이나 긴코르니스 (라트레이유, 1802)
- 파라트레차이나 움브라 (저우 & 정, 1998)
- 파라트레차이나 잔젠시스 라폴라, 호크스 & 피셔, 2013년
분배
파라트레차이나 종은 대부분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마다가스카르가 원산지지만,[3] 파라트레차이나 탯트라 한 종은 중국 남부에서만 발견돼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다.[4]이들 지역 밖에서 발견된 유일한 종은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로, 지구 전역의 열대 지역에 인간이 유입된 종이다.[5]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의 원산지는 현재 알려져 있지 않지만 아프리카나 아시아에서 유래된 것으로 생각된다.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는 동남아시아의 방해받지 않는 서식지에서 발견되었지만,[5] 아프리카는 파라트레차이나 다양성의 중심이다.[3]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니스의 자매종인 파라트레차이나 잔젠시스는 특히 아프리카 중부와 동부(앙골라, 잠비아, 탄자니아, 모잠비크 등)의 미움보 삼림지에서 발견되며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니스도 산림 전문가로 꼽힌다.[2]
분류학
2010년, 파라트레차이나속은 하위유전성인 나이란데리아에 대해 파라프레차이나속(Paratrechina)이 포물선(paraphylotic)인 것으로 밝혀져 완전한 일반적 지위로 격상되었다.[6]이러한 분류학적 변화는 파라트레차이나가 유일한 종으로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를 가지고 단일형이 되는 결과를 낳았다.2013년 파라트레차이나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결과 파라트레차이나 잔젠시스라고 불리는 아프리카에서 온 또 다른 종에 대한 묘사가 나왔으며, 2014년 중앙 아프리카 종 파라트레차이나 콜리가 포르노레피스에서 옮겨졌고 마다가스카르에서 온 두 가지 새로운 종, 즉 파라트레차이나 앙카라나와 파라트레차이나 개미들이 더 설명되었다.[2][3]마지막으로 분류학적으로 속종이 바뀐 것은 2016년 동남아시아 종 파라트레차이나 움브라가 포레올레피스로부터 옮겨져 파라트레차이나를 총 6종의 개수로 끌어올린 때였다.여기에는 흔히 "설탕 개미" 또는 "콘크리트 개미"로 알려진 개미가 포함된다.도로개미와 혼동하지 않기 위해, 이것들은 개미의 별도 종이기 때문이다.[4]
형태학
노동자들
파라트레차이나 종은 긴 편경사경(첫 번째 더듬이 부분), 머리, 경골, 중종 등으로 인해 은혜로운 모습으로 가장 쉽게 인식된다.그들은 또한 프로노텀과 메소노텀에 매크로세테를 세웠지만 프로포데움은 세우지 않았다.[2][3]중수종과 전수종 봉합은 항상 깊고 완전하며, 신체의 그 부분들을 구별되는 부분으로 나눈다.이 봉합은 파라파라트레차이나, 포레놀레피스, 자타니아 등 세 개의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 개의 다른 일반과 구별하는데 유용하다.[4]유프라놀레피스, 닐란데리아, 프루톨라시우스도 이와 같이 깊고 완전한 봉합을 가지고 있으며 파라트레차이나와 함께 쇄골을 형성하고 있다.[6]파라트레차이나 종은 닐란데리아 종과 외관상으로는 매우 유사하지만, 복합눈이 머리에 배치됨으로써 구별될 수도 있다.나이란데리아는 항상 머리의 중간선 앞쪽에 눈을 두고, 파라트레차이나 종(역시 앞쪽에 눈이 있는 파라트레차이나 움브라는 제외)의 눈은 중간선 뒤쪽에 약간 위치한다.[4]나이란데리아는 또한 맨들리블의 매스틱한 여백에 항상 6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대부분의 파라트레차이나 종은 5개의 이빨을 가지고 있다; 예외로 8개의 파라트레차이나 콜리와 6개의 파라트레차이나 움브라는 예외로 한다.[3][4][7]
리프로덕티브
파라트레차이나 여왕개미와 수컷은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에서만 알려져 있으며, 속 내의 다른 종에 대해서는 설명되지 않았다.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니스의 수컷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생식기와는 상당히 구별된다.Franolepis와 Zatania의 수컷과 비교하면, Paratrechina longicornis의 수컷은 훨씬 더 짧고 더 튼튼한 파라메어를 가지고 있다.파라메레스는 등쪽 방향과 곡률도 높아 특히 태음속(Carnolepis)군 수컷들 사이에서 독특하다.[2][3]
애벌레
나이란데리아 종의 유충과 비교해 보면, 해당 인자에 속하는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의 유충은 일반적으로 전체 체구가 작은 것으로 보인다.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른 유충은 또한 하악 모양의 변화가 거의 없고 머리 세팅 패턴의 변화가 높다.[8]
생식생물학
대부분의 개미종이 디플로이드, 수정란이 암컷(일하는 사람 또는 여왕)이 되고 무정란인 하플로이드 난자가 수컷이 되는 아르헤노톡성 처녀생식을 보이는 반면,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니스는 또한 원시종이라고 알려진 여러 개미종 중 하나이며, 여왕개미는 암컷 자손을 추가로 낳을 수 있다.[9]결과적으로, 형제 교미는 해로운 동질성을 증가시키지 않고 알레의 재조합을 가능하게 하고, 집단 내에서 여왕과 수컷의 게놈은 연관되지 않기 때문에 교배의 단점을 우회한다.[10]
공생
참고 항목:미르메코필리
상호주의
파라트레차이나의 일부 종은 금속 표식 나비인 에우리비아 엘비나의 애벌레와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개미는 애벌레의 촉수즙 기관에 이끌려 당분과 아미노산이 풍부한 배출을 만들어 낸다.[11]개미들은 이 영양 공급원의 대가로 천적으로부터 애벌레들을 보호해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그러나 이러한 관찰은 2010년 주요 분류학에서 속(속)으로 바뀌기 훨씬 전인 1987년에 이루어졌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이러한 상호주의적인 행동을 기술한 출판물은 어떤 파라트레차이나 종들이 이런 행동에 관여했는가를 명시하지 않고 있으며, 현재 멕시코에서 알려진 유일한 파라트레차이나 종은 이국적인 해충, 즉 뿔뿔이 미친개미(Paratrechina longicornis)이다.본 간행(1987년) 당시 파라트레차이나로 생각되었던 멕시코의 다른 모든 종은 현재 닐란데리아 종으로 분류된다.[6]에우리비아 엘비나를 치료하는 종 중 적어도 한 종은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였을 가능성이 있지만, 이것은 원작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11]
악티노미케토타 27종은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 식민지와 그들의 둥지를 둘러싸고 있는 토양과 연관지어 발견되었다.이러한 미생물은 종종 병원균으로부터 곤충들을 보호함으로써 곤충들에게 혜택을 준다.[12]
클렙토파라시즘
미르메코필루스 아메리카누스 종의 미르메코파라스틱 개미 귀뚜라미는 전 세계 열대 지방의 파라트레차이나 긴코르니스 둥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개미 귀뚜라미는 개미 둥지 안에 살면서 일개미와의 영양을 통해 식자원을 훔치는 것으로 추정된다.이 개미 크리켓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진 모든 개미의 사례는 한 마리만 제외하고 파라트레차이나 긴코르니스를 숙주 개미종으로 포함한다.미르메코필루스 아메리카누스의 몸은 전체적인 크기와 모양이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니스 여왕의 게스터와 비슷해, 이것이 군체 내에서 크리켓이 탐지될 가능성을 감소시키는 모방의 한 형태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13]
대중문화에서
이 긴 뿔개미(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스)는 마블 영화 '앤트맨'(2015)에서 극성스러운 슈퍼히어로의 반려동물 중 하나로 등장했다.[14]비록 영화는 이 종을 파라트레차이나 롱기코르니라고 부르지만, CGI가 낳은 개미들과 영화 속 그들의 행동은 거의 틀림없이 라스베리/태니 미친개미와 더 닮았다.[15][16]
참고 항목
참조
- ^ Bolton, B. (2014). "Paratrechina". AntCat. Retrieved 10 September 2014.
- ^ a b c d e LaPolla, John S.; Hawkes, Peter; Fisher, Jonathan N. (2013-10-25). "Taxonomic review of the ant genus Paratrechina, with a description of a new species from Africa". Journal of Hymenoptera Research. 35: 71–82. doi:10.3897/jhr.35.5628. ISSN 1314-2607.
- ^ a b c d e f LaPolla, John S.; Fisher, Brian (2014-06-30). "Then there were five: a reexamination of the ant genus Paratrechina (Hymenoptera, Formicidae)". ZooKeys (422): 35–48. doi:10.3897/zookeys.422.7779. ISSN 1313-2970. PMC 4109445. PMID 25061388.
- ^ a b c d e Williams, Jason L.; LaPolla, John S. (2016-11-29). "Taxonomic revision and phylogeny of the ant genus Prenolepis (Hymenoptera: Formicidae)". Zootaxa. 4200 (2): 201–258. doi:10.11646/zootaxa.4200.2.1. ISSN 1175-5334. PMID 27988617.
- ^ a b Wetterer, James K. (2008). "Worldwide spread of the longhorn crazy ant, Paratrechina longicornis (Hymenoptera: Formicidae)" (PDF). Myrmecological News. 11: 137–149.
- ^ a b c LaPolla, John S.; Brady, Seán G.; Shattuck, Steven O. (2010). "Phylogeny and taxonomy of the Prenolepis genus-group of ants (Hymenoptera: Formicidae)". Systematic Entomology. 35 (1): 118–131. doi:10.1111/j.1365-3113.2009.00492.x. ISSN 1365-3113. S2CID 86659687.
- ^ LaPolla, John S.; Brady, Seán G.; Shattuck, Steven O. (2011-11-25). "Monograph of Nylanderia (Hymenoptera: Formicidae) of the World: An introduction to the systematics and biology of the genus". Zootaxa. 3110 (1): 01–09. doi:10.11646/zootaxa.3110.1.1. ISSN 1175-5334.
- ^ Rossi, Mônica Lanzoni; Yabuki, Antonio Teniyoshi; Bueno, Odair Correa; Jesus, Carlos Massuretti De; Solis, Daniel Russ; Fox, Eduardo Gonçalves Paterson (2007-06-11). "On the immature stages of the crazy ant Paratrechina longicornis (Latreille 1802) (Hymenoptera: Formicidae)" (PDF). Zootaxa. 1503 (1): 1–11. doi:10.11646/zootaxa.1503.1.1. hdl:11449/69716. ISSN 1175-5334.
- ^ Wenseleers, Tom; Van Oystaeyen, Annette (December 2011). "Unusual modes of reproduction in social insects: shedding light on the evolutionary paradox of sex". BioEssays. 33 (12): 927–937. doi:10.1002/bies.201100096. ISSN 1521-1878. PMID 21997278. S2CID 6246968.
- ^ Pearcy, Morgan; Goodisman, Michael A. D.; Keller, Laurent (2011). "Sib mating without inbreeding in the longhorn crazy ant". Proceedings of the Royal Society B. 278 (1718): 2677–2681. doi:10.1098/rspb.2010.2562. PMC 3136830. PMID 21288949.
- ^ a b Harvey, Donald J.; Turnbull, Christine; Horvitz, Carol C. (1987-07-01). "Biology of Immature Eurybia elvina (Lepidoptera: Riodinidae), a Myrmecophilous Metalmark Butterfly". Annals of the Entomological Society of America. 80 (4): 513–519. doi:10.1093/aesa/80.4.513. ISSN 0013-8746.
- ^ Reyes, Ruth D. Hernández; Cafaro, Matías J. (2015). "Paratrechina longicornis ants in a tropical dry forest harbor specific Actinobacteria diversity". Journal of Basic Microbiology. 55 (1): 11–21. doi:10.1002/jobm.201300785. ISSN 1521-4028. PMID 24771570. S2CID 206135197.
- ^ Wetterer, James K.; Hugel, Sylvain (2008). "Worldwide Spread of the Ant Cricket Myrmecophilus americanus, a Symbiont of the Longhorn Crazy Ant, Paratrechina longicornis". Sociobiology. 52: 157–165.
- ^ editor, J. G. S. (2017-08-28). "Ants in the Ant-Man movie, with biological notes". Journal of Geek Studies. Retrieved 2019-02-06.
{{cite web}}
:last=
일반 이름 포함(도움말) - ^ Cambridge, John. "An Entomologist's Scientific Review of 'Ant-Man'". Inverse. Retrieved 2019-02-06.
- ^ Lobato, Carlos (2016-02-24). "LA CIENCIA DE LA VIDA: Las hormigas de Ant-Man". LA CIENCIA DE LA VIDA. Retrieved 2019-02-06.
외부 링크
위키피디아 파라트레차이나 관련 데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