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성화
Park Sung-hwa개인정보 | |||||||||||||||||||||||||
---|---|---|---|---|---|---|---|---|---|---|---|---|---|---|---|---|---|---|---|---|---|---|---|---|---|
풀네임 | 박성화 | ||||||||||||||||||||||||
출생의 날짜. | ) 1955년 5월 7일 ) | ||||||||||||||||||||||||
출생지 | 대한민국 울산시 | ||||||||||||||||||||||||
높이 | 1.78m(5ft 10인치) | ||||||||||||||||||||||||
포지션 | 센터백 | ||||||||||||||||||||||||
대학진로 | |||||||||||||||||||||||||
몇 해 | 팀 | Apps | (Gls) | ||||||||||||||||||||||
1974–1977 | 고려대학교 | ||||||||||||||||||||||||
시니어 커리어* | |||||||||||||||||||||||||
몇 해 | 팀 | Apps | (Gls) | ||||||||||||||||||||||
1978–1979 | 포항제철소 | ||||||||||||||||||||||||
1980–1981 | 대한민국 육군(대령) | ||||||||||||||||||||||||
1982–1985 | 할렐루야 FC | 37 | (9) | ||||||||||||||||||||||
1986–1987 | 포스코 애터즈 | 32 | (0) | ||||||||||||||||||||||
국가대표팀 | |||||||||||||||||||||||||
1975 | 대한민국 U20 | ||||||||||||||||||||||||
1975–1984 | 대한민국. | 107 | (26) | ||||||||||||||||||||||
팀 관리 | |||||||||||||||||||||||||
1992–1994 | 우콩 코끼리 | ||||||||||||||||||||||||
1996–2000 | 포항 스틸러스 | ||||||||||||||||||||||||
2001–2005 | 대한민국 U20 | ||||||||||||||||||||||||
2004 | 대한민국(담배) | ||||||||||||||||||||||||
2007 | 부산 아이파크 | ||||||||||||||||||||||||
2007–2008 | 대한민국 U23 | ||||||||||||||||||||||||
2010–2011 | 다롄 시데 | ||||||||||||||||||||||||
2011–2013 | 미얀마 | ||||||||||||||||||||||||
2012–2013 | 미얀마 U23 | ||||||||||||||||||||||||
2015 | 경남 FC | ||||||||||||||||||||||||
명예
| |||||||||||||||||||||||||
* 시니어 클럽의 등장과 골은 국내 리그에만 반영됨 |
박성화 | |
한글 | 박성화 |
---|---|
한자 | 朴成華 |
수정 로마자 표기법 | 박성화 |
매쿠네-라이샤워 | 박성화 |
박성화(Hanul: :박성; 1955년 5월 7일생)는 대한민국의 축구 감독이자 은퇴한 축구 선수다.
경영 경력
박태환은 선수 생활에 이어 감독이 되었고, 2003년과 2005년 FIFA 세계청소년선수권대회까지 20세 이하 한국팀을 이끌었다.[1]
박태환은 23세 이하 미얀마와 미얀마의 사령탑을 맡아 계약기간이 끝나기 2주 전인 2013년 12월 16일 해임되기 전까지 감독직을 수행했다.그의 해임은 2013년 동남아시아 경기 조별리그에서 미얀마 23세 이하 팀이 인도네시아에 1-0으로 패하면서 개최국이 탈락한 데 따른 것이다.[2][3][4]
경력통계
국제적 목표
- 결과에는 한국의 골 득실이 가장 먼저 기록된다.
날짜 | 장소 | 상대 | 점수 | 결과 | 경쟁 |
---|---|---|---|---|---|
1975년 7월 29일 | 쿠알라룸푸르 | ![]() | 1골 | 3–1 | 1975년 메르데카컵 |
1975년 7월 31일 | 쿠알라룸푸르 | ![]() | 1골 | 5–1 | 1975년 메르데카컵 |
1975년 8월 10일 | 쿠알라룸푸르 | ![]() | 2골 | 4–0 | 1975년 메르데카컵 |
1976년 12월 17일 | 방콕 | ![]() | 3골 | 4–0 | 1976년 킹스컵 |
1978년 7월 12일 | 쿠알라룸푸르 | ![]() | 1골 | 4–0 | 1978년 메르데카컵 |
1978년 7월 26일 | 쿠알라룸푸르 | ![]() | 2골 | 2–0 | 1978년 메르데카컵 |
1978년 12월 14일 | 방콕 | ![]() | 1골 | 3–1 | 1978년 아시안 게임 |
1978년 12월 27일 | 마닐라 | ![]() | 1골 | 5–0 | 1980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979년 6월 16일 | 서울 | ![]() | 3골 | 4–1 | 한일 연례 경기 |
1979년 9월 8일 | 서울 | ![]() | 2골 | 8–0 | 1979년 코리아컵 |
1979년 9월 14일 | 서울 | ![]() | 1골 | 5–1 | 1979년 코리아컵 |
1979년 9월 16일 | 인천 | ![]() | 2골 | 9–0 | 1979년 코리아컵 |
1984년 10월 10일 | 캘커타 | ![]() | 4골 | 6–0 | 198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1984년 10월 13일 | 캘커타 | ![]() | 2골 | 6–0 | 1984년 AFC 아시안컵 예선 |
명예
플레이어
고려대학교
대한민국 육군
할렐루야 FC
포스코 애터즈
대한민국.
개인의
- 대한민국 전국선수권 최우수선수: 1976[10]
- 한국 FA 베스트 XI: 1976, 1977, 1978, 1979, 1981, 1983, 1984[11][12][13][14][15][16][17]
- 한국 프레지던트컵 득점왕: 1977년[18]
- 한국 FA 올해의 선수: 1979[14]
- K리그1 최우수선수: 1983[19]
- K리그1 베스트 XI: 1983, 1984[20][21]
관리자
우콩 코끼리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U20
- AFC 청소년 축구 선수권 대회: 2002, 2004[23]
개인의
참고 항목
참조
- ^ Kang, Seung-woo (8 March 2007). "Park Seong-hwa New Skipper for Olympic Football team". Korea Times. Retrieved 31 August 2009.
- ^ "SEA Games: Myanmar fans riot after footballers knocked out". CNA. 17 December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December 2013. Retrieved 22 December 2013.
- ^ "A Korean soap opera in Burmese football". Democratic Voice of Burma. 18 December 2013.
- ^ "Myanmar football coach axed after SEA Games exit". The Star. 17 December 2013.
- ^ a b c Lee, Seung-soo; Schöggl, Hans; Trevena, Mark (13 May 2020). "South Korea - List of Champions". RSSSF. Retrieved 2 September 2020.
- ^ a b c d Lee, Seung-soo; Trevena, Mark (8 April 2020). "South Korea - List of Cup Winners". RSSSF. Retrieved 2 September 2020.
- ^ 실업축구 충의·서울시청 공동우승 (in Korean). Dong-A Ilbo. 24 March 1980. Retrieved 25 September 2019.
- ^ 大統領杯 전국축구 延大 강호忠義꺾고 우승 (in Korean). Dong-A Ilbo. 15 May 1980. Retrieved 25 September 2019.
- ^ Garin, Erik; Stokkermans, Karel (1 March 2018). "Asian Games 1978". RSSSF. Retrieved 2 January 2020.
- ^ 蹴球 선수권 高大,2년만에 霸權. Naver.com (in Korean). Kyunghyang. 10 November 1976. Retrieved 9 April 2020.
- ^ 76年最優秀選手에 蹴球崔鍾德을選定 體育記者團. Naver.com (in Korean). Dong-A Ilbo. 8 February 1977. Retrieved 3 November 2019.
- ^ 趙榮增 최우수選手로 新聞·通信 蹴球기자 선정. Naver.com (in Korean). Kyunghyang. 26 December 1977. Retrieved 3 November 2019.
- ^ 최우수선수 金在漢 蹴球베스트11 선정. Naver.com (in Korean). Kyunghyang. 16 January 1979. Retrieved 3 November 2019.
- ^ a b 최우수選手 朴成華 체육기자단 蹴球11. Naver.com (in Korean). Kyunghyang. 26 December 1979. Retrieved 11 November 2019.
- ^ 축구 최우수선수 趙廣來 뽑혀. Naver.com (in Korean). Kyunghyang. 8 January 1982.
- ^ 축구「베스트11」선정 축구 記者團. Naver.com (in Korean). Dong-A Ilbo. 17 January 1984. Retrieved 22 January 2020.
- ^ 축구 베스트11 선정 許丁茂 MVP 뽑혀. Naver.com (in Korean). Kyunghyang. 17 January 1985. Retrieved 22 January 2020.
- ^ 漢陽大,企銀꺾고 첫優勝 全國 蹴球. Naver.com (in Korean). Dong-A Ilbo. 23 May 1977. Retrieved 9 April 2020.
- ^ 축구 할렐루야 슈퍼리그元年 王座에. Naver.com (in Korean). Kyunghyang. 26 September 1983. Retrieved 9 April 2020.
- ^ 축구記者團 GK 趙炳得등 베스트11 선정 (in Korean). Kyunghyang. 26 September 1983.
- ^ 슈퍼리그 84大長征 회심의 골인「대우王冠」빛나다 (in Korean). Dong-A Ilbo. 12 November 1984.
- ^ Fujioka, Atsushi; Halchuk, Stephen; Stokkermans, Karel (25 March 2020). "Asian Champions' Cup". RSSSF. Retrieved 2 September 2020.
- ^ Di Maggio, Roberto; Garin, Erik; Jönsson, Mikael; Morrison, Neil; Stokkermans, Karel (22 November 2018). "Asian U-19/U-20 Championship". RSSSF. Retrieved 4 September 2020.
- ^ "Super Sami strikes gold". AF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May 1998.
- ^ "Nakayama's unstoppable". AF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February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