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저항 복종, 묵종

Passive obedience

수동적 복종은 종교적이고 정치적인 교리로서, 사람들은 법을 따라야 할 도덕적 의무가 있으며, 특히 이 복종의 일부로 처벌을 받아들인다.

조지 버클리

이 교리를 묘사한 가장 주목할 만한 출판물은 조지 버클리 주교의 '수동복종에 관한 담론'(1712년)이다.[1] 이 기관은 버클리의 도덕적, 정치적 철학에 대한 주요한 공헌으로 여겨진다.

버클리는 '수동복종에 관한 [2]담론'에서 사람들이 "처벌의 집행을 거부하지 않을 의무 등 법의 부정적 교훈(금지)을 준수할 도덕적 의무가 있다"[3]는 논제를 옹호하고 있다. 그러나 버클리는 이 광범위한 도덕적 진술에 예외를 두는데, 이는 우리가 "우려하는 자나 심지어 미친 자들"[4]의 계율을 지킬 필요가 없으며, 최고 권위에 대한 주장이 둘 이상일 경우 사람들이 다른 최고 권위에 복종할 수 있다는 것이다(제52조). 반면에 버클리는 또한 폭군의 도덕법 위반이 반역보다 더 나쁜 위반일 때에도 폭군에 대한 불복종은 여전히 잘못된 것으로 남아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한 비도덕적인 폭정이 참을 수 없게 되고, 폭군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을 때, 반란은 예측가능하며, 폭군의 권리를 침해할 수는 없지만, 여전히 도덕법(44조)을 위반할 수 있다. 어떤 곳에서는 사실상의 권위에 대한 맹목적인 복종에 대한 버클리의 주장은, 비록 버클리가 궁극적으로 도덕적, 정치적 의무가 재조명한다는 홉스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지만, 반란이 최악의 폭정(제16조, 47조, 51조)보다 더 심한 무정부적 폭력과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로, 리바이어던에서의 토마스 홉스의 주장과 닮아 있다.자기반복의 법칙에 관한 sts (제33조)

기타 보기

칼뱅주의에서 구원은 그리스도의 적극적인 복종, 하나님 아버지의 법과 명령에 순종, 그리고 수동적인 순종에 달려 있는데, 십자가에 못박힌 형벌이 죄에 대한 인간으로 인해 정당한 벌을 모두 받는 것을 견디는 것이다. 두 사람은 뚜렷하지만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스스로 수동적인 복종은 가을 이전의 아담 상태로만 사람을 데려다 줄 뿐이다.[5][6] 개혁신학자인 루이 버크호프는 "그의 적극적인 복종은 죄인을 대신하여 법을 준수하고 영생을 얻는 조건으로 삼은 것, 그리고 죄의 형벌을 지불하고 모든 백성의 빚을 갚는 과정에서 겪은 모든 것에 대한 그의 소극적인 복종이 있다"고 힘주어 썼다(기독교 교리 215)

스코틀랜드의 신학자캐머런이 17세기 초 수동적 복종을 지지한 것은 1622년 글래스고 대학의 교장으로 1년도 채 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했다.

인간 차원에서도 신의 법칙이나 자연의 법칙과 충돌할 때에도 사실상의 권력과 법칙에 적극적으로 복종하는 것과, 능동적으로 복종하지 않는 것에 대한 처벌에 있어서는 소극적으로 복종하는 것(저항하지 않는 것)과 유사한 대조를 이루었다.

보통 17세기 영국 교회와 17~18세기의 스코틀랜드 성공회 교회와 관련되었으며, 토리당야코비트의 이데올로기의 중심이었다. 그것은 가장 일반적으로 영국 왕위 계승에 대한 의회의 결정과 제임스 2세의 소망을 본 영광스러운 혁명에 대한 토리당의 반대와 관련하여 보인다.

소극적 복종은 빅토르 위고레미제라블에서 두 번 등장하고, 처음에는 주교가 발장을 접대할 때 '수동적 복종의 영웅주의'를 표제하는 장면으로, 나중에는 1823년 스페인에서 프랑스의 개입을 묘사할 때 군대의 영향에 관한 본문에서 등장한다.

1851년 12월 2일의 쿠데타 동안, 당시 프랑스 대통령 루이 나폴레온 보나파르트는 장교와 병사들에게 개별적으로 프랑스 국민과 후세에 책임이 있었기 때문에 정부 수반으로서의 그의 명령에 대한 그들의 서약과 소극적인 복종 의무를 상기시켰다.

메모들

  1. ^ http://berkeleystudies.philosophy.fsu.edu/sites/g/files/imported/storage/original/application/29d48ec3e2853030d73755568998bf61.pdf
  2. ^ Passive obedience: Or, the Christian doctrine of not resisting the supreme power, proved and vindicated ... In a discourse deliver'd at the College-chapel. By George Berkeley, M.A. Fellow of Trinity-College, Dublin. January 2007.
  3. ^ 헤이리, 마티 "수동적 복종과 버클리의 도덕철학" 버클리 연구 23(2012): 3-13. 웹(http://berkeleystudies.philosophy.fsu.edu/content/download/95864/978821/file/BS_023 _Hayry_Institution.pdf)
  4. ^ 버클리, 조지 수동적 복종: 혹은, 최고 권력에 저항하지 않는다는 기독교의 교리, 증명되고 정당화 된... 대학 예배당의 담화 전달식에서. 조지 버클리, 더블린 트리니티 컬리지의 M.A. 펠로우. 런던: 1712년 H. Clements용 인쇄물. 인쇄하다
  5.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7-21. Retrieved 2007-01-02.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6.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2-16. Retrieved 2007-01-02.CS1 maint: 제목으로 보관된 복사본(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