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드로 게바라
Pedro Guevara![]() |
![]() |
페드로 게바라 | |
---|---|
![]() | |
제4대 필리핀 상원의원 | |
재직중 1916–1923 라파엘 팔마(1916–1922) 및 에밀리아노 트리아 티로나(1922–1923)와 함께 근무 | |
선행자 | 게시 생성 |
성공자 | 라몬 페르난데스 |
필리핀 군도 주재 미국 하원의장 | |
재직중 1923년 3월 4일 – 1936년 2월 14일 | |
선행자 | 제이미 C. 드 베이라 |
성공자 | 퀸틴 파레데스 |
라구나 제2구역 출신 필리핀 국회의원 | |
재직중 1909–1916 | |
선행자 | 크리스핀 오벤 |
성공자 | 크리스탄토 귀사이코 |
개인내역 | |
태어난 | 산타크루즈, 라구나, 필리핀 선장 | )1879년 2월 23일
죽은 | 1938년 1월 19일 필리핀 영연방 마닐라 | (58세)
휴게소 | 필리핀 마리키나 로욜라 기념공원 |
정당 | 나시오날리스타 |
배우자 | 이시드라 발도메로 |
아이들. | 1 |
모교 | 아테네오 시립 드 마닐라 |
페드로 게바라(Pedro Guevara, 1879년 2월 23일 ~ 1938년 1월 19일)는 필리핀의 군인, 변호사, 입법자, 스페인 작가로서 미국 식민지 시대에 필리핀의 상주 위원이 되었다.
초년기
1879년 2월 23일 필리핀 라구나의 산타크루즈에서 미겔 게바라와 마리아 발렌주엘라 사이에서 태어났다.
교육
페드로 게바라 기념 국립 고등학교에 다녔으며, 1896년 마닐라 주 콜리오 데 산 후안 데 레트란을 졸업했다.
필리핀 혁명
필리핀 혁명 당시 필리핀군에 가담하여 1897년 불라칸 산미구엘에서 비아크나 바토의 평화협정 추진을 도왔다. 이후 혁명이 진행되는 동안 필리핀군에 재입대했으며, 스페인-미국 전쟁과 필리핀-미국 전쟁 기간 내내 중령 계급에 올랐다. 그는 후안 카일 장군의 보좌관이자 개인 비서였다.
정치 경력
이후 스페인어 신문인 술레니아 나시오날과 비다스 필리피나스의 기자가 되었고, 1907년 리잘의 산펠리페 네리 시의원이 되었다. 그는 라 쥬리스프루덴시아에서 법학을 공부했고 개인 변호사도 되었다. 그의 정치 생활은 1909년부터 1912년까지 필리핀 중의원 의원, 1916년부터 1922년까지 필리핀 상원 의원이 되면서 시작되었다. 1921년 구에바라는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극동지방변호사회의에 참석한 필리핀 대표단의 의장직을 맡았다. 이후 그는 미국 제68대 의회 하원의 국민당 주민위원으로 선출되어 3년 임기와 3년 연속 4년(1923년 3월 4일 ~ 1936년 2월 14일)의 연임을 받았다. 이 기간 동안, 게바라는 필리핀 영연방을 설립하고 결국 10년 만에 독립하게 될 타이딩스-맥두피 법의 승인을 위해 지칠 줄 모르고 일했다. 이후 1935년 필리핀 헌법을 모티브로 한 1934년 제헌협약 때 라구나 대표를 지냈다. 그의 임기는 1936년 2월 14일, 새로 설립된 필리핀 영연방에 따라 자격을 갖춘 후임자가 선정되면서 끝났다.
죽음
페드로 게바라는 은퇴 후 그의 법률 관행을 재개했다. 1938년 1월 19일 마닐라에서 심장마비로 사망하였고, 마닐라 북쪽 묘지에 안장되었다. 1993년 그의 유해는 마리키나의 로욜라 기념 공원으로 옮겨졌다.
갤러리
참고 항목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페드로 게바라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United States Congress. "Pedro Guevara (id: G000518)". Biographical Directory of the United States Cong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