펨베 마르마라
Pembe Marmara펨베 마르마라(Pembe Marmara, 1925년 12월 25일 ~ 1984년[1] 1월 31일)는 터키의 키프로스 시인이다. 그녀는 1940년대의[2] 가장 중요한 터키 키프로스 시인 중 한 사람이었고 터키의 가장 초기 여성 키프로스 시인 중 한 명이었다. 그녀의 시는 터키의 가립 운동의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자유시절로 풍자의 작품을 썼다. 그녀의 시는 또한 그녀 시대의 터키 키프로스 시를 특징짓는 민족주의적인 특징과도 구별되며, 그 대신 터키 키프로스로서의 경험에 더욱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인생
마르마라는 "사르스"라고 불리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는데, 그들은 1571년 오스만이 키프로스를 정복할 당시 아나톨리아로 혈통을 거슬러 올라간다. 그녀의 아버지 유수프 사라스 후세인씨는 "그로서 하산"으로 알려져 있다. 마마라는 예니카미 프리 스쿨에서 교육 생활을 시작했고, 그 후 아야소피아 여자 초등학교와 빅토리아 여자 고등학교에 입학했다. 그 후 그녀는 교사 사관학교에서 공부했고, 아야소피아 초등학교에서 일하는 초등학교 교사가 되었다.[3]
그녀는 처음에는 네빈 네일, 귈렌 게이, 라파잔 메술("알 수 없는 수다쟁이"), 펀다, 푸르드르트나 등과 같은 가명으로 글을 썼고, 심지어 박해에 대한 큰 두려움을 경험했다. 이는 그녀의 아버지와 가부장적 사회가 당시 여성의 시를 추잡하고 난잡하게 보았고, 영국 식민지 정부가 글로 된 작품을 출판하는 공무원에 대한 금지로 그녀의 직업을 잃게 했기 때문이었다. 언니에 따르면, 마마라 씨가 가명으로 쓴 시 중 하나를 신문에서 읽은 아버지는 "여성들에게 수치심이 남아 있지 않다"면서 "하늘이 그들의 머리에 떨어질 것"이라며 분통을 터뜨렸다.[3]
그녀의 시는 I. VE II 저널에 게재된 그녀의 시로 키프로스와 터키에서 점차 잘 알려지게 되었다. 키프로스의 데메트 체이르 세스킨러리와 터키의 예디귄.[3] 그러나 그녀의 시 대부분은 1944년에서 1958년 사이에 터키의 키프로스 신문에 실렸다.[4] 그녀는 1940년대 터키 키프로스 사회에서 몇 안 되는 저명한 여성들 중 하나였으며, 다른 이들은 시인 우르키예 마인 발만, 음악가 캄란 아지즈와 튀르칸 아지즈, 사업가 비디아 바루트였다.[5]
그녀는 곧 터키의 시인들과 펜팔 친구가 되었다. 이러한 펜팔 친구 중 한 명인 뷔미트 야샤르 오우즈칸과 함께 그녀는 각자 시를 통해 표현하는 낭만적인 관계를 발전시켰다. 그 후 그들은 오우즈칸이 그녀에게 보낸 책에 숨겨 보낸 반지를 통해 약혼했다. 마르마라 씨의 아버지는 이런 전망에 격분했지만 딸이 식사를 중단하자 양보해야만 했고, 오우즈칸을 보기 위해 오빠를 이스탄불로 보냈다. 그러나 그녀의 오빠는 오우즈칸이 "힘이 많고 말을 더듬는 사람"이라며 전도를 완강히 거절했다. 이것은 심리학적으로 마르마라를 황폐화시켰고 그녀의 시에 영향을 주었다.[3]
그녀는 나중에 정신과 의사인 Sedat Baker와 결혼했고, 그들은 얼마간 이스탄불로 이사했다.[3] 1960년, 그녀의 아들 울러스 베이커가 태어났고, 나중에 유명한 사회학자가 될 것이다. 그 후 부부는 헤어졌고 베이커는 금지된 연애 때문에 키레니아에서 살해되었다. 마음이 상한 마르마라는 아들과 함께 이스탄불로 다시 이사했다.[6][7] 그녀는 나중에 암 진단을 받고 키프로스로 돌아왔다.[3] 그녀는 니코시아의 성벽으로 둘러싸인 도시인 압디 차부아 거리의 한 집에서 살았고,[8] 1984년 1월 31일 그곳에서 사망했다.[3]
시
펨베 마르마라는 터키 키프로스 문학의 "40년대 시"에 속했다.[3] 전통적으로 그녀의 다른 터키계 키프로스 시인과 "로맨틱 헤체시" ("로맨틱한 음절주의자")로 함께 묶이면서, 그녀는 오르한 벨리 칸스크가 이끄는 터키의 시인들의 가립 운동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마르마라는 시에서 자유시를 널리 사용했다.[9] 마르마라(Marmara)를 "당대 최고의 자격을 갖춘 시인 중 한 명"이라고 부르는 타머 외쿨(Tamer Encul)에 따르면, 마르마라는 민족주의 간행물 çğ(Ch wrote)에 쓴 다른 "로맨틱 헤실러"와 당대의 저명한 터키계 키프로스 시인들을 멀리하고, 자유 시로 사회 문제에 관한 아이러니컬하고 풍자적인 시를 썼으며, 영감의 증거로 삼았다. 가립 운동과 Nazmm Hikmet 은쿨은 마르마라 자신의 시는 '우월주의'나 '민족주의 설교'를 위한 도구가 아니며, 시의 주제는 자신의 터키계 키프로스 민족이라는 점에서 '정체성 문제를 풀었던 씨'라고 쓰고 있다. 그러나, 그녀의 문학 활동 후반기에, 글쓰기에서 잠시 휴식을 취한 후, 그녀의 문체는 그녀가 멀리했던 "헤이실러"와 더 닮았다.[10] 탈라트 표트 할만은 마르마라 문예지에서 이스탄불의 문학잡지에 더욱 입맛을 돋울 만한 사상행렬인 "주변"과 그녀의 키프로스 고향과 그것과 연관된 뚜렷한 사상행렬인 "메트로폴리스" 사이의 갈등을 지적한다.[11] 네리만 카히트는 펨베 마르마라, 우르키예 마인 발만, 네클라 살리 수피, 엔긴 괴눌(에미네 옥탄) 등으로 구성된 당대 여성 작가들의 쟁쟁한 4중주 가운데 마르마라를 자신의 작품에서 '사이프로티스의 양이 가장 많은 시인'이라고 부른다. 카히트에 따르면 마르마라는 터키 최초의 키프로스 시인으로 개인적, 공동체적 시각에 모두 관심을 갖고 풍자를 썼다고 한다. 카히트는 더 나아가 그녀의 시는 때로 사랑, 두려움, 고통뿐만 아니라 '깊은 감수성'을 지니고 있으며, 시간이 흐르면서 사회적 기대와 전통적 가치에 압도되면서 공동체에서 개인적인 것으로 초점을 옮겼다고 쓰고 있다. 그녀의 시는 그녀의 삶의 진보를 잘 반영하고 있다. 그녀의 시 몇 편이 오우즈칸과의 연애에 관한 것이다.[3]
일크누르 외놀 야자르는 마르마라가 자신의 1951년 시 '욜쿨루크'("Journey")에서 "이 세상을 뛰어넘는 여정이 있을 것"이라는 대목에서 증명된 단테 알리기에리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한다.[12] 1952년 터키의 키프로스 시에 게재된 히크메트 디즈다로슬루의 비판적 기사는 마르마라가 언어를 "무법하게" 사용하며, 마르마라 시에 있는 엥긴 괴눌의 시에 "완벽하게 들어맞는다"는 어느 정도 "알리엔테이션"을 보여주는 단어들을 사용한다고 명시했다. 기사는 마르마라 작품을 할리데 누스레 조루투나의 '꿈에 찬 서정성'에 비유하면서 그녀의 시 '바하르'가 조루투나의 시 '깃 바하르!'[13]와 닮았다고 밝혔다.
마르마라에는 여동생이 1986년에 사후에 출판한 1945년 이후 그녀의 시 모음집인 Pembe Marmara – Diirler가 한 권밖에 없다. 마르마라의 작품은 터키 문학사 니하트 사미 바나를레흐에게 찬사를 받아왔다. 시에 대해 마마라 자신은 "시란 의미와 감정의 비를 맞으며 우리의 영혼을 씻을 때 시일 뿐, 운과 자유시가 있는 시를 구분하지 않지만 나는 좀 보수적이다. 나는 시에서 감정, 의미, 감각, 음악을 찾는다."[14]
참조
- ^ "Pembe (Yusuf) Marmara" (PDF). Turkish Ministry of Culture. Retrieved 4 June 2016.
- ^ "Neriman Cahit'in "Tarihsel Süreçte Kadın Şair ve Yazarlarımız" kitabı yayınlandı". Kıbrıs. 23 May 2007. Retrieved 4 June 2016.
- ^ a b c d e f g h i Cahit, Neriman (2010). "Yaşamın taaa İçindeki Kadın: Pembe Marmara". Journal for Women's Studies. 11 (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7-12-24. Retrieved 2016-06-04.
- ^ Özay, Fahriye (17 October 2010). "Pembe Marmara'nın şiiri Merdivenler". Star Kıbrıs. Retrieved 4 June 2016.
- ^ Azgın, Fatma (8 March 2013). "Vedia Barut". Yeni Düzen. Retrieved 4 June 2016.
- ^ Tolgay, Ahmet (23 July 2014). "Ulus Baker'e saygı duruşu..." Kıbrıs. Retrieved 4 June 2016.
- ^ Azgın, Fatma (18 February 2016). "Arkadaş Ölümü". Yeni Düzen. Retrieved 4 June 2016.
- ^ "Sanatçı ve Yazarlar Birliği'nden üç şaire vefa..." Kıbrıs Postası. Retrieved 4 June 2016.
- ^ Turan, Metin. "Çağdaş Kıbrıs Türk Şiirinde Eğilimler/ Yönelimler" (PDF). Çukurova University Journal of Turkish Studies. Retrieved 4 June 2016.
- ^ Öncül, Tamer. "KIBRIS TÜRK SIIRI". Cyprus Homepage. Retrieved 4 June 2016.
- ^ Halman, Talât Sait (2006). Türk Edebiyatı Tarihi, Cilt 4. Turkish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p. 661.
- ^ Önol Yaşar, İlknur (2009). "Kıbrıs Türk edebiyatında İtalyan şairi Dante" (PDF). Turkish Studies. 4 (8): 1933–1945. Retrieved 4 June 2016.
- ^ "Kıbrıslı Şairler" (PDF). Bozkurt. 16 May 1952. p. 3.
- ^ "Pembe Marmara". Cypnet. Retrieved 4 June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