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허스트 플레이스

Penshurst Place
펜허스트 플레이스의 개인 출입구

Penshurst Place는 영국 런던 남동쪽 32마일(51km) 떨어진 켄트주 톤브리지 근처에 있는 역사적인 건물이다.이곳은 시드니 가문의 조상의 고향이며 엘리자베스 시대의 위대한 시인, 신하, 군인 필립 시드니 경의 출생지였습니다.원래의 중세 가옥은 14세기 영국 국내 건축의 가장 완벽한 사례 중 하나이다.그 집의 일부와 정원은 일반에게 공개되어 있다.많은 TV 쇼와 영화가 펜허스트에서 촬영되었다.

역사

1915년경 펜허스트 플레이스의 그레이트 홀

Penshurst Place는 1341년 런던 [citation needed]상인이자 런던에서 쉬운 거리에 있는 시골 거주지를 원했던 네 이나 런던 시장이었던[1] John de Pulteney 경을 위해 지어졌다.이것은 그러한 재산들이 성에서 사라졌을 때였다:[citation needed] 그것들은 비상시에 방어할 수 있는 더 많은 주택들이었다.헨리 4세의 셋째 아들인 베드포드 공작 존이 펜허스트를 점령했을 때, 버킹엄 빌딩으로 알려진 두 번째 홀이 지어졌는데, 이것은 그 이후의 소유주인 버킹엄 공작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버킹엄의 제3대 공작 에드워드 스태포드는 헨리 8세에 의해 1521년 헨리에게 경의를 표하기 위해 펜허스트 플레이스에서 열린 호화로운 잔치에 이어 처형되었다; 그리고 나서 헨리가 펜허스트 플레이스를 사냥 오두막으로 사용하고 그의 궁정 브랜든을 방문했다는 증거와 함께, 헨리 8세의 통치 기간 동안 왕실에 머물렀다.헨리의 두 번째 부인볼린의 어린 시절 집인 헤버성에서 불과 몇 마일 떨어진 곳에 있는 RTY.

1550년 헨리 8세의 아들인 에드워드 6세가 서머셋 보호자의 지지자인 랄프 페인 경에게 집과 부동산을 내줬지만, 2년 후 랄프 경이 반역죄로 처형된 후 몰수되었다.

시드니 가족

펜허스트 플레이스는 1552년 에드워드 6세가 왕의 아버지 헨리 8세의 신하였던 윌리엄 시드니 경 (1482–1554)에게 집을 내준 후에 확장되었다.윌리엄 경의 아들 헨리 (1529–1586)는 메리 더들리 부인과 결혼했는데, 헨리 자신은 그러한 암시를 피했지만 그의 가족은 제인 그레이 부인과 연루되었다.그는 생전에 펜허스트에 아파트와 "킹스 타워"를 증축했다.그는 홀과 [2]갤러리를 위해 판넬링을 제공하고 표범의 머리를 포함한 장식품을 조각하기 위해 조이너 에반 루카스를 고용했습니다.헨리 시드니는 또한 1346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기록과 함께 현재 영국에서 가장 오래된 개인 정원 중 하나를 만들었습니다.

헨리의 아들인 필립 시드니 (1554–1586)는 1554년 펜허스트 플레이스에서 태어났다.시인이자 신하였던 그는 주트펜 전투에서 허벅지에 총상을 입고 25일 만에 런던 올드 세인트 대성당에 묻혔지만 1666년 런던 대화재로 무덤이 소실됐다.

필립의 동생 로버트 시드니는 펜허스트를 상속받았다.그가 그곳에서 보낸 시간은 인상적인 "롱 갤러리"를 포함하여 스테이트 룸에 더 많은 것을 추가하는 결과를 낳았다.그는 또한 레스터 백작 작위를 물려받았고, 그의 후손들은 다음 7대 동안 그 저택에서 계속 살았다.

19세기에 이르러 건물은 황폐해졌지만, 1818년에 새로운 거주자인 존 셸리 시드니 경과 그의 아들 필립이 건물을 복원하기 시작했다.후자는 1835년에 제1대 드 리즐 남작과 더들리 남작이 되었다.제6대 윌리엄 시드니 남작(1909-1991)은 빅토리아 십자훈장가터 훈장을 모두 가진 단 두 명 중 한 명으로 1956년 제1대 리즐 자작 작위를 받았습니다.그와 그의 아들 2대 자작에게 펜허스트의 현대적 복구의 대부분은 제1차 세계대전 중 방치된 집에도 불구하고 예정돼 있다.오늘날, 이 집과 정원은 일반에게 개방되고 있다.

가족의 많은 구성원들은 펜허스트 세례자 세인트 존의 시드니 예배당에 묻히거나 기념된다.

집의 주요 특징

펜허스트 플레이스의 플래그 가든

이 집에서는 670년의 역사를 통해 점유의 증거를 볼 수 있다.

  • 시드니 가문이 소장한 소장품들로 가득 찬 스테이트 룸입니다.
  • 중세 건물의 일부인 웨스트 솔라 또는 스테이트 다이닝 룸에는 가족 초상화, 가구, 도자기의 컬렉션이 있습니다.
  • 엘리자베스 1세 여왕의 이름을 딴 퀸엘리자베스 룸. 초기 인테리어 가구들이 전시되어 있다.
  • 태피스트리 룸
  • 왕실과 가족 초상화가 가득한 롱 갤러리
  • 네덜란드 갤러리: 다양한 무기와 갑옷이 구비되어 있습니다.
  • 장난감 박물관 – 인형, 인형 하우스, 테드, 장난감 군인, 기계 완구 및 일반 놀이 용품을 포함한 시드니 가족의 여러 세대의 장난감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 빅토리아 여왕의 의자: 집의 가장 작은 방 중 하나에 녹색 의자가 전시되어 있습니다.빅토리아 여왕은 1876년 인도의 황후로 선포되었을 때 이 의자에 앉았습니다.

문화 레퍼런스

펜허스트 플레이스로 가는 2급 게이트하우스
  • 그 집은 영화 '천일[3]앤'에 등장한다.
  • 그 집과 그 소유주는 벤 존슨의 17세기 시 '펜허스트에게'에서 공물을 바쳤다.
  • 북쪽 공원 땅뿐만 아니라 남쪽을 향한 정원은 1971년 BBC 시리즈 엘리자베스 [4]R에 사용되었다.
  • 그레이트 홀과 다른 실내 방들은 1992년 텔레비전 시리즈인 코빙턴 [5]크로스의 내부 세트로 사용되었다.
  • 남작홀은 할리우드 영화 The Other Bollyn Girl의 세트로 사용되었다
  • 남작 홀은 영화 프린세스 [7]브라이드 촬영장으로 사용되었다.
  • 남작 홀은 BBC TV 멀린의 [8]초기 에피소드에서 '연회장'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 남작관은 셰익스피어[9] 희곡 헨리 5세를 각색한 에피소드에서 BBC의 할로우 크라운 촬영에 다시 사용되었다.
  • 롱 갤러리, 태피스트리 룸, 퀸 엘리자베스 룸은 BBC의 2015년 미니시리즈 울프 [10]홀에서 사용되었다.
  • 런던 초크 팜에는 펜허스트라고 불리는 지방 당국의 주택 단지가 있다.
  • 베벌리 힐빌리즈 TV 쇼는 "제드가 성을 상속하다" 에피소드에서 펜허스트 플레이스를 "클램펫 성"으로 사용했다.
  • 펜허스트 플레이스는 BBC의 "중세 영국을 찾아서"의 세 번째 에피소드에 등장한다.
  • Penhurst Place는 쇼타임 시리즈 The Tudors의 시즌 1 에피소드 2에서 버킹엄의 제3대 공작 Edward Stafford의 고향으로 보여집니다(위 참조).

레퍼런스

  1. ^ Hasted, Edward (1798). "Parishes". The History and Topographical Survey of the County of Kent. Institute of Historical Research. 6: 499–531. Retrieved 10 March 2014.
  2. ^ 펜허스트 플레이스의 드 리즐 & 더들리 경의 필사본에 관한 HMC 보고서, vol.1 (런던, 1925), 페이지 260-1.
  3.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Anne of the Thousand Days (1969)". Retrieved 23 September 2018.
  4.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Elizabeth R (1971)".
  5.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Covington Cross (1992)".
  6.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The Other Boleyn Girl Film Focus".
  7.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The Princess Bride (1987)". Retrieved 23 September 2018.
  8.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Merlin Film Focus".
  9.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Henry V – The Hollow Crown Film Focus".
  10. ^ Kent Film Office. "Kent Film Office Wolf Hall (2015)".

외부 링크

좌표:51°10′29″n 0°11°02°E/51.1747°N 0.1838°E/ 51.1747; 0.1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