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시 에른스트 슈람

Percy Ernst Schramm
퍼시 에른스트 슈람
Percy Ernst Schramm.png
태어난(1894-10-14)14 1894년 10월
죽은1970년 11월 21일(1970-11-21) (76세)
괴팅겐, 독일
국적독일어
수상메라이트(1958)
학력
모교
어드바이저카를 함프
학술사업
규율
하위 수양
기관
저명한 학생
주목할 만한 작품
  • 카이저, 운트 리노바티오(1930년)
  • Herrschaftszeichen und Staatssymbolik (1954년-1978년)
영향받은

퍼시 에른스트 슈람(Percy Ernst Schramm, 1894년 10월 14일 ~ 1970년 11월 21일)은 독일역사가로서 미술사중세사를 전문으로 하였다.슈람은 1929년부터 1963년까지 괴팅겐 대학교의 석좌 겸 역사학 교수였다.

조기생활과 교육

슈람은 함부르크의 부유하고 국제적인 가정에서 태어났으며, 한민족 가문의 계급에 속한다.그의 아버지인 막스 슈람은 1925년부터 1928년까지 변호사, 상원의원, 제2의 시장(부시장)을 지냈다.그의 할아버지 에른스트 슈람(1812–1882)은 함부르크와 브라질의 주요 설탕 상인이었다.윌리엄 헨리 오스왈드의 할머니인 그의 어머니 올가 오스왈드도 유명한 한민족 출신이었다.[1]

젊은 퍼시는 제1차 세계대전 당시 독일군에서 복무했으며 함부르크, 뮌헨, 하이델베르크 등 독일의 몇몇 엘리트 대학에서 역사와 미술사를 공부했다.1922년 중세 역사학자 칼 햄프(Karl Hampe) 휘하의 하이델베르크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마쳤다.그는 하이델베르크에 2년 더 머물며 10세기와 11세기 독일 제국주의 이념을 주제로 하빌레세츠슈리프트를 썼고, 특히 중세 신성로마제국의 황제들이 어떻게 고대 로마제국의 이미지와 역사를 자신들의 통치에 전용했는지에 대해 썼다.1929년 카이저로 출판된 롬 und 리노바티오: Studien und Texte jur Geschichte des römischen Erneuerunggedankens는 Ende des Karolingischen Reiches bizzum Investiturstreit("엠페러, 로마, 리노베이션타티오:'캐롤링거 제국 말기부터 투자 논쟁에 이르기까지의 로마 이데올로기 갱신에 관한 연구와 문헌'), 슈람의 논문은 중세 역사학자들이 정치 이데올로기의 주제에 접근하는 방식을 변화시킨 매우 독창적이고 학제적인 학문의 획기적인 작품이었다.그는 당시 주로 딜레마나 신사학자들에게만 해당되는 학문 분야였던 미술사가 역사, 문학 분야와 함께 진지한 학문적 탐구 속에 자리를 잡을 만하다는 것을 증명했다.슈람의 작품은 또한 정치적 이데올로기를 표현하고 규정하는 데 있어서 상징과 의식의 중심성을 강조했다.

슈람은 당시 대부분의 독일 중세학자들이 요구하는 통과의례에서 교수직을 제의받기 전 2년간 모모레마 게르마니아 역사관에서 일했다.1929년 독일의 명문 대학 중 하나인 괴팅겐 대학에서 역사학 석좌를 받았다.괴팅겐의 그의 제자들은 베렌트 슈바이네코퍼, 미국 독일사 교수, 도널드 데트윌러, 헝가리 중세학자 야노스 박을 포함했다.Schramm은 1963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 남아있었다.

1932년 봄 슈람은 [2]탈부르크에서 아돌프 히틀러에 대항하여 바이마르 공화국 대통령직에 도전하고 있던 파울 힌덴부르크의 재선을 대표하여 공개적으로 연설하였다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면서 슈람은 1933년 학년 동안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가르치는 초대를 받았다. 힌덴부르크가 히틀러를 독일 총리로 임명한 후, 같은 해에 괴팅겐으로 돌아왔다.[2]

제2차 세계 대전

슈람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다시 베흐마흐트에서 봉사를 자원했고 소령 계급까지 부여받아 독일 고등사령부 작전참모(Wehrmachtfürungsstab)의 공식 참모 사학자, 즉 일리리스트로 발탁될 때까지 여러 참모직을 역임했으며, 마틴 보먼이 제거 작업을 지휘한 헬무트 그리너(Helmuth Greiner나치의 우두머리인 Ann.[2]슈람의 임무는 독일 육군의 최고 군사 야전 지휘관들을 포함한 총참모부의 일상적인 활동과 결정에 대한 상세한 기록을 유지하는 것이었다.이로 인해 슈람은 독일군의 최고위층 인사들과 내부 업무에 전례 없이 접근할 수 있게 되었다.

1944년 슈람의 처제는 나치 정권에 대한 적극적인 반대 때문에 처형되었고, 슈람 자신에 대한 비난은 그의 신뢰성을 의심하며 히틀러의 본부에 알려지게 되었다.그러나 이러한 것들은 슈람의 상관인 알프레드 조들 장군에 의해 무시되었고, 역사학자는 전쟁 일변도자로서의 역할을 계속할 수 있었다.[2]

슈람은 고등사령부에 대한 지식 때문에 전쟁이 끝난 후 뉘른베르크 재판의 핵심 증인으로 불려가 조들을 대신하여 증언했다.슈람은 충성스런 군인이었던 조들(Jodl)은 이념적 나치가 아니며 어떤 전쟁범죄에도 가담하지 않았다고 주장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조들은 1946년에 유죄판결을 받고 교수형에 처해졌다.[notes 1]

슈람은 전쟁이 끝난 후 여러 해 동안 독일군의 역사에 관한 책과 더불어 군령 내부에서 본 제3제국의 절박한 마지막 날들에 대한 심도 있는 설명을 저술하였다.슈람의 이 분야 작품, 특히 그가 쓴 고등사령부 공식일기 다권판은 여전히 군 역사학자들에게 높이 평가되고 있다.Schramm은 그의 전 제자들 중 세 명, 그 당시 교수들과 함께 히틀러의 초토질서를 무시하고 그가 저장한 복사본으로부터 일기를 다시 조립할 수 있었는데, 그것은 그의 전임자였던 Greiner가 전쟁 일지론자로써 구했던 초기 시절의 일기의 복사본과 결합되었다.[notes 2][2]

1962년 슈람은 아돌프 히틀러에 대한 군사 지휘관(히틀러 알스 민병대 총통)의 연구 결과를 일부 논란에 실었다.슈람은 임무 수행 중에 히틀러를 관찰할 수 있었고, 그는 자신이 몸담았던 장군들의 애국심과 전문성을 히틀러의 비합리성과 전쟁 상황이 악화됨에 따라 점점 커져가는 편집증과 대조했다.

슈람은 또한 1963년에 헨리 피커히트글러스 티슈즈프라체(히틀러 테이블토크)의 "독재자의 해부학"이라는 제목의 서론을 발표했는데, 히틀러처럼 군사 지도자로서 히틀러에 관한 초기 에세이와 함께 나중에 영어로 발표되었다. 더 맨과 군 지도자

그의 다른 작품의 장점이 무엇이든 간에, 히틀러의 성격에 관한 에세이는 당시 독일 언론에서 약간의 비판을 불러일으켰는데, 슈람은 이 때 슈람이 국가 사회주의에 대한 사과론자라는 비난을 받았다.1년 후인 1964년 여름, 뮌헨 대학에서 열린 일련의 강연에서, 역사 철학자 에릭 보겔린은 이러한 혐의를 부인했다; 그 강의는 나중에 히틀러와 독일인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고 출판되었다.보겔린은 슈람의 원문을 면밀히 읽어 알란 불록의 분석과 불리하게 비교한 결과 슈람이 '히틀러의 문제'에 대한 통찰력을 주지 않았으며, 이것이 어떤 경우에도 실제 문제에 대한 '알리비'라고 주장하였다.보겔린은 플라톤에서 셸링에 이르는 고전 사상가들과 칼 아메리 카피툴레이션과 같은 현대 독일 작가들에게서 진정한 문제를 끄집어내면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독일 가톨릭교로버트 무실 우둔함대한 교훈)은 독일의 안스탠트 부르주아 도덕이 영적으로 맹목적이고 효과적으로 어리석게 많은 독일 인구를 만들었던 방법이지만 전부는 아니었다는 것이 오늘날까지 지속되도록 허용되어 온 국면이었다.슈람 자신, 보겔린은 꽤 조심스럽게 주장했는데, 비슷한 의미로는 어리석었다.[3]

전후 경력

슈람은 나치당원이었고 전쟁 중 군대에서 비교적 높은 지위에 있었기 때문에 대학직에서 제명되었다.그러나 1940년대 후반에 폄훼가 약화되면서 그는 갱생하여 괴팅겐에서 교수직에 복귀하였다.1954년과 1956년 사이에, 그는 Herrschaftszeichen und Staatssymbolik (권위와 국가의 상징성)이라는 제목의 카이저 운트 리노바티오 다음으로 두 번째로 중요한 작품을 제작했다.헤르샤프트셰이헨은 중세 통치자들의 대표적인 예술이나 그들의 힘의 상징에 대한 주요 조사로서, 그들의 왕국, 도장, 군비, 옷, 그리고 다른 사물들을 포함한다.슈람이 저명한 미술사학자 플로렌타인 뷔테리히, 덴크말 데르 도이체첸 쾨니지 und 카이저와 함께 저술한 책("독일 왕과 황제의 기념물", 1962년)에 이러한 유물들과 그들의 역사가 더 상세하게 목록화되었다.

슈람의 업적이 이들과 수많은 다른 연구와 기사에서 지속된 유산은 정치 역사의 중요한 원천으로서 상징, 소송 의식, 몸짓과 이미지의 중요성을 증명하는 것이었다.슈람은 동시대인 에른스트 H. 칸토로비치, 칼 에르드만과 함께 문화사의 중요한 요소를 (특히 독일에서) 주로 제도와 그들의 문헌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는 분야에 소개했다.

1958년 슈람은 독일의 예술과 과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하는 상인 오더 푸 르 메라이트(Order Pour le Mérite)에 추대되었다.1964년 슈람을 기리는 페스트슈리프트가 출간되었다.[4]

1970년 괴팅겐에서 사망하였다.

선택한 작품

  • 1928. 다이제이트제네시첸 빌드니스세 칼스그로스엔라이프치히.
  • 1928. 빌딘 아이러 자이트의 독일인 카이저와 쾨니지, 751–1190.베를린
  • 1930. 카이저, 운트 리노바티오.라이프치히.
  • 1937. Geschichte des Englischen Königtums im Lichte der Krönung.바이마르영어로 번역된 내용:
  • 1937년. 영국 대관식의 역사, tr.레오폴트 G.위컴 레그.옥스퍼드
  • 1939. 데르 쾨니히프랑크라이치: 다스 베센모나크리는 9. zum 16을 토한다. 자흐룬더트다름슈타트
  • 1949. 카우플뢰트하우스 und über 참조. 함부르미슈 제우그니스세 17, 18, 18, 19 자힌덜츠함부르크 호프만과 캠페
  • 1954–1978.다른 사람들과 함께.Herrschaftszeichen und Staatssymbolik: Beitrége zu ihrer Geschichte는 dritten bis zum schzehnten Jahrundert를 토한다.슈투트가르트.
  • 1962년 히틀러 알스 민병대 총통 Erkenntntnisse und Erfahrungen aus dem Kriegstagebuch des Oberkommandos der Wehrmacht.프랑크푸르트 암 메인 / 본
  • 1962–1978.플로렌타인 뷔테리히와 함께.Denkmale der Deutschen Könige und Kaiser: ein Beitrague jur Herrschergeschichte.뮌헨
  • 1963/4. Neun Generationen: Dreihundert Jahre deutscher "Kulturgeschichte" im Lichte der Schicksale einer Hamburgh Bürgerfamilie (1648–1948년)괴팅겐.2권, 1148쪽.
  • 1968–71.카이저, 쾨네게와 엡스테는 다음과 같다. 게삼멜테 아우프세주르 게시히테미텔랄터스 4권슈투트가르트에서

장식 및 시상

참조

주석

  1. ^ Jodl은 1953년 독일의 폄하 재판소에 의해 사후에 무죄 판결을 받았다.
  2. ^ 슈람의 전학생 3명은 한스-아돌프 제이콥센 교수, 안드레아스 힐그루버 교수, 발터 후바츠치 교수였다.Detwiler, Donald S. (1978) 슈람에게 보내는 "소개" 퍼시 에른스트 히틀러: 남자와 군 지도자.플로리다 주 말라바르: 로버트 E. 크라이거 출판사. 페이지 6 ISBN0-89874-962-X

인용구

  1. ^ "O'Swald - Deutsche Biographie".
  2. ^ a b c d e Detwiler, Donald S. (1978) 슈람에게 보내는 "소개" 퍼시 에른스트 히틀러: 남자와 군 지도자.플로리다주 말라바르: 로버트 E. 크라이거 출판사. pp.4–6 ISBN 0-89874-962-X
  3. ^ Voegelin, Eric (1999). Clemens & Purcell (ed.). Hitler and the Germans. Collected Works of Eric Voegelin, Volume 31 (Hardback ed.). Columbia and London: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pp. 53–63, 110–54.
  4. ^ Classen, P와 Scheibert, P (1964) Festschrift Percy Ernst Schramm, 밴드 I와 II, Franz Steiner Verlag.

참고 문헌 목록

  • 아메리, 칼(1967) 모피툴레이션: 에드워드 퀸이 번역한 독일 가톨릭의 교훈.뉴욕: 허더와 허더.원래 독일어로 출판된 함부르크: 로울트, 1963년
  • 박, 야노스 (1955) "페르시 에른스트 슈람", 중세 장학금. 규율 형성에 관한 전기적 연구, ed.헬렌 다미코 & 조셉 B. 자바딜.뉴욕 & 런던: 갈랜드 프레스 247–62페이지.
  • 불록, 앨런 (1971) 히틀러: 폭정에 관한 연구: 펭귄
  • 칸토어, 노먼 F. (1991) "나치 쌍둥이: 중세 발명가의 페르시 에른스트 슈람과 에른스트 하트비히 칸토로비치"뉴욕: 퀼 페이지 79–117.ISBN 0-688-12302-3
  • Historicum.net, "Percy Ernst Schramm" (슈람의 작품과 그에 관한 기사에 대한 광범위한 참고 문헌을 수록하고 있다.
  • 캄프, 노르베르트 (1987년) "Göttingen의 Geschichtswissenschaft에 있는 Percy Ernst Schramm und die Mittelalterforschung"하르트무트 부크만 & 헤르만 웰렌뢰더.괴팅겐: 반덴호크 & 루프레흐트. 페이지 344–63.
  • 무실, 로버트 (1990) Precision and Soul의 "The Stupidity": Essays and Addresss, trans. and Ed.버튼 파이크와 데이비드 루프트.시카고:시카고 대학 출판부.원래 1937년 비엔나에서 강의로 행해졌다.
  • Picker, Henry (1963) Hitlers Tischgespréche im Führerhauptquartier 1941–1942, 편집 및 P의 소개와 함께.슈람.슈투트가르트:시월드 베를라크.원래 1951년 발행된 G. 리터가 편집한 것이다.Trevor, Robert, H. R. (1953) Hitler's Table Talk, 1941–1944에 의해 편집된 첫 영어 번역본.런던:웨이든펠드 & 니콜슨.
  • 리터, 아넬리스 (1960) 베로펜틀리쿤겐 교수 필 퍼시 에른스트 슈람, 괴팅겐.무언극으로 묘사되었다.괴팅겐.
  • Voegelin, Eric (1999) 수집된 작품 vol. 31 히틀러와 독일인, D에 의해 편집되고 번역되었다.클레멘스와 B.퍼셀.미주리 주 컬럼비아:미주리 대학교 출판부. 특히 110-24 페이지 참조

추가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