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 천문대

Perth Observatory
퍼스 천문대
Perth Observatory-dome.jpg
비클리에 있는 퍼스 천문대의 61 센티미터 망원경 돔
전망대 코드 319 Edit this on Wikidata
위치오스트레일리아 서부 비클리, 호주 퍼스 주 엘리사칼라문다
좌표32°00′28″s 116°08′09″E / 32.00781°S 116.13579°E / -32.00781; 116.13579좌표: 32°00′28″S 116°08′09″E / 32.00781°S 116.13579°E / -32.00781; 116.13579
고도428m(1,404ft)
확립된1900 Wikidata에서 편집
웹사이트www.perthobservatory.com.au Edit this at Wikidata
Perth Observatory is located in Australia
Perth Observatory
퍼스 천문대의 위치
Wikimedia Commons의 관련 미디어
유형주 등록 플레이스
지정된2005년 7월 19일
참조번호10551
퍼스 천문대의 원위치 및 현재 위치

퍼스 천문대서호주(WA)에 위치한 천문관측소 2곳의 명칭이다. 1896년 퍼스(Obs. code 319) 시가 내려다보이는 엘리사 산의 웨스트 퍼스(West Perth)에 원래의 전망대가 세워졌다. 도시의 확장으로 1965년 전망대는 비클리로 이전했다. 새로운 퍼스 천문대는 때때로 비클리 천문대(obs. code 322, 323)라고 불린다.[1]

역사

엘리자 산의 옛 퍼스 천문대. 이제 내셔널 트러스트의 WA 지부의 본거지.
천문대 직원, 1900. 최초의 정부 천문학자 W. 어니스트 쿡이 왼쪽에 앉아 있다. 그의 후계자 해럴드 컬레위스가 연한 색깔의 정장을 입고 서 있다.

퍼스 천문대

원래의 퍼스 천문대는 1896년에 건설되었고 1900년에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의 초대 수상인 존 포레스트에 의해 공식적으로 개관되었다. 그 전망대는 퍼스 시가 내려다보이는 엘리사 산에 위치해 있었다. 그것의 주요 역할은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표준시와 기상 데이터 수집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전망대 돔은 도시 전망대가 다른 곳으로 이전된 후, 뒤마 하우스를 위한 길을 만들기 위해 1960년대에 철거되었다. 옛 천문대 수석 천문학자의 집은 오늘날에도 남아 있는데, 현재의 세입자는 내셔널 트러스트다.[2]

WA 정부 천문학자

윌리엄 어니스트 쿡

윌리엄 어니스트 쿡아델라이드 천문대에 비슷한 을 올린 후 1896년 최초의 서부 오스트레일리아 정부 천문학자로 임명되었다. 퍼스에 도착하자마자, 그의 첫 번째 임무는 식민지의 정확한 위도와 경도를 결정하는 것이었다. 그는 또한 더 정확하게 하루의 시간을 결정할 수 있었다. 그가 도착하기 전에 시계는 30분까지 달라질 수 있었다.시간은 아직도 그라운드에 남아 있는 대포에 의해 매일 발표되었다. 디자인은 정부 건축가인 조지 템플-풀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과감한 스타일의 조합이 특징이다.

해럴드 번햄 컬레위스

쿡의 정부 천문학자로서의 후계자는 1929년에 다음과 같은 글을 쓴 해롤드 컬레위스였다.

킹스파크의 거대한 범위 상공에 부는 바람 때문에, 다른 관측소에서도 흔히 볼 수 있듯이, 천문학적 작업에 대한 우수성은 도시와의 근접성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다. ...퍼스의 멋진 전경을 볼 수 있는 탑에서 바라본다면, 도시의 어떤 성장도 관측 조건에[3]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컬레위스와 WA 국경

1920년과 1921년, Curlewis는 서호주 디킨남호주 국경과 지상에서 서호주 국경 표시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결정에서 남호주 도드웰의 정부 천문학자(Dodwell)와 관련되었다. 1921년 주 선박인 MV 밤브라에서 윈덤으로 이동한 데킨 결정에서 같은 조로 M.P. 듀랙의 안내를 받아 동경 129도 부근의 아르기일 다운스 부근 로즈우드 역에 있는 지점으로 이동했다().129° east 그들은 비교적 새로운 기술, 무선 라디오 시간 신호, 그리고 다른 방법들을 사용하여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와의 북방 영토 국경의 위치를 고정시켰다.[4]

이러한 초기 결정은 1968년 평가관 장군 모서리 형성에 대한 합의로 이어졌다.

WA 경계선은 직선이 아니다(서호주 경계 참조). 26도선 남쪽()26° south에는 동서 방향으로 흐르는/NT경계의 약 127m(417ft) "측도" 구간이 있다.[4]

하이먼 솔로몬 스피글

1940년부터 1962년 사이에 정부 천문학자로서 Curlewis의 후계자는 Hyman Solomon Spigl이었다. 측량 경력이 있는 스피글은 시간 서비스, 지진학 서비스, 아스트로그래픽 카탈로그를 완성하여 전후 황폐화된 천문대 재건을 진행하였고, 마코위츠 문 카메라를 설치하여 국제 지구물리학 해를 맞이하고 왕립천문학회를 위한 간행물을 다시 시작했다.또한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 of America)의 보조금을 통해 그는 자오선 관측을 재개하기 위해 150밀리미터(6인치)의 자오선 통과 원을 재정비하는 과정에 있었다. 그가 죽기 전에는 결코 이것을 성취하지 못했고, 그것은 다시는 사용되지 않았지만, 이 악기는 현재 완전히 새롭게 단장된 퍼스 천문대의 포이어에 놓여 있다.

1958년 Spigl은 Western Australia University로부터 Gledden Traveling 펠로우쉽을 받았다; Spigl은 미국, 영국, 유럽을 여행하는데 12개월을 보냈다. 스피글은 1955년 스티븐슨-헵번 보고서 시행의 결과로 이전하기로 결정한 결과 퍼스 천문대의 새로운 부지를 적극적으로 찾고 있었다. 스피글은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에서 여러 해 동안 조사 강의를 했으며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천문 협회에 참여했다.

존 버트런드 해리스

1962년 8월 20일 스피글이 사망하자 1957년부터 스피글의 조수였던 존 베르트랑 해리스는 1962년부터 1974년 말까지 퍼스 천문대의 네 번째 정부 천문학자가 되었다.[5] 해리스는 퍼스 천문대가 퍼스 시의 원래 위치에서 동쪽으로 약 24km(15mi) 떨어진 비클리의 달링 레인지에 있는 새로운 부지로 이동하던 시기에 정부 천문학자 자리에 발을 들여놓아야 했다. 1964년 2월 비클리의 주 포레스트에 있는 땅을 개간하기 시작했으며, 발굴은 1964년 5월에 시작되었고 건물 공사는 1965년까지 계속되었으며, 직원들은 1965년 12월 19일에 입주했다.

새로운 빅켈리 유적지가 완성되면서, 1967년 해리스는 독일 함부르크 천문대 소속 천문학자들의 탐험의 일환으로 천문대에 자오선 원 망원경의 설치를 감독했다. 이 탐험은 국제남반구 참조 별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는데, 그 결과 남반구의 자오선 목록인 Perth 70 자오선 카탈로그가 수정되고, 더 크고, 더 정확해졌다. 1970년에 해리스는 독일 원정을 돕기 위해 전담 퍼스 천문대 메리디안 구역을 구성하는 데 성공했다. 독일 원정이 1971년/72년 크리스마스/새해 동안 떠난 후, 해리스는 함부르크 망원경의 무기한 대여 협상을 성공시켰고, 서호주 정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아 Meridian 직원 수를 늘렸다. 이 퍼스 천문대 메리디안 팀은 독일 원정 작업을 계속하여 확장하여 퍼스 75 자오선 카탈로그를 만들었다.

1967년 해리스는 서부호주대학과 협력하여 서부호주대학 직원과 학생, 퍼스 천문대 천문학자들이 건설하고 사용한 전망대에 410밀리미터(16인치)의 망원경을 설치했다.

그 후 해리스는 1963년 8월부터 보관 중이던 우주 망원경을 새로 단장하고 새로운 장소로 옮겼다; 이 망원경은 1968년 3월 29일에 관찰을 재개하여 적절한 움직임 연구를 위한 2기 사진판을 찍었다.

1968년 미국 플래그스태프 애리조나 로웰 천문대는 국제 행성 순찰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퍼스 천문대에 610밀리미터(24인치) 볼러와 치븐스 망원경을 배치했다. 이 프로그램은 주로 화성, 목성, 금성과 같은 태양계 행성의 대기 및 표면 특징에 대한 35mm 형식의 사진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설계되었다. 해리스는 정상적인 주간 정부 천문학자 역할 외에 정기적으로 관찰할 예정이었다.

해리스가 새로운 빅리 퍼스 천문대의 기술 및 천문학적 직원 수를 늘리는 데는 성공했지만, 해리스 역시 1966년 10월 23일 공공투어를 재개하고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에 대한 정보 서비스 제공을 유지했다. 해리스는 또한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에 대한 시간조수 서비스를 계속했지만 1908년 기상학에서 그랬던 것처럼 이번 조치는 지진 감시 활동이 영연방 정부의 통제 하에 먼더링으로 이전되는 것을 보았다.

해리스는 1973년 8월 퍼스에서 열린 "Astrometry의 새로운 문제들"에 관한 IAU 심포지엄 제61호를 담당했다.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49세의 어린 나이에 세상을 떠났지만, 퍼스 천문대의 위상을 호주 내, 그리고 국제적으로 존경받는 과학 기관으로 끌어올린 바 있다.[citation needed]

이완 박사(이반) 니콜로프

1974년 12월 23일 해리스가 사망함에 따라 니콜로프는 퍼스 천문대의 정부 천문학자 역할을 수행하게 되어, 그가 공식적으로 퍼스 천문대의 다섯 번째 정부 천문학자가 되었다.

1964년 호주에 도착한 후, 그는 1964년 5월 1일 퍼스 천문대에서 천문학자 2급으로 시작하여 천문대의 우주탐지기를 연구했다. 그의 이전의 경험은 또한 그가 최근에 획득한 Zeiss 판 측정기를 설치하고 교정하는 것을 보았다. 퍼스에서 비클리로 퍼스 천문대가 이전하면서 니콜로프의 측량 기술은 1965년 당시 새로운 천문대를 세우는 데 널리 사용되었다.

니콜로프는 1969년부터 1971년까지 독일 함부르크 천문대 자오선 원 망원경 탐험대에서 1969년부터 1971년까지 일했으며, 탐험 천문학자들이 크리스마스에 독일로 돌아왔다.

1971년 서호주 정부의 자금 지원과 함부르크 망원경 대여 협상으로 니콜로프는 새로 형성된 퍼스 천문대 메르디안 구간을 담당하게 되었다. 니콜로프 박사는 2549개의 별들로 이루어진 퍼스 75 카탈로그를 만들 수 있는 FK4와 FK4 보조 별들의 새로운 관찰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이 카탈로그는 존경받는 퍼스 70의 카탈로그를 확장했을 뿐만 아니라, 국제 천문학계가 추구하는 새로운 FK5 기준 프레임의 구축을 위해 귀중한 남반구 정보를 제공했다.

정부 천문학자로서 니콜로프는 Meridian 부분을 D로 넘겼다. 하우드는 그러나 그 후의 퍼스 83 자오선 목록 작성에 예리한 관여를 계속했다. 매일의 행정 업무로 바쁘게 지내는 동안 니콜로프는 야간과 주말에도 천문대의 모든 망원경을 계속 관찰했다.

니콜로프는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대학과 좋은 관계를 유지했으며, 재단 회원이자 오스트레일리아 천문 학회의 펠로였으며,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천문 협회의 종신 회원이었으며, IAU의 원래 위원회 8(Astrometry)와 I(기초 천문학)의 회원이었으며, 관찰자(Orivator)도 계속하였다.y의 공공 정보 서비스 및 투어 1985년 1월 4일 은퇴한 뒤 2015년 4월 8일 별세했다.

퍼스 천문대 이사

당시 퍼스 천문대의 관리기구였던 I 니콜로프 박사가 은퇴하자 과학기술부(호주)는 이전에 정부 천문학자로 불리던 일차적 명칭을 퍼스 천문대 국장으로 바꾸었다. 주어진 이유는 정부 천문학자라는 호칭이 "...그들에게 오래된 것"이라는 것이었고,[6] 그것은 또한 대학과 합쳐진 천문학적 기관들과 함께 전 세계적으로 유사한 변화를 반영했다.

마이클 필립 캔디

니콜로프 박사가 은퇴한 후, 강제 정년 연령이 아직 남아 있는 가운데, 마이클 필립 캔디는 퍼스 천문대의 초대 국장이 되었다.

1969년 캔디는 영국천문협회 이사직을 제안받았으나 그해 호주로 이민을 갈 계획으로 인해 거절당했다.

1969년 5월 12일 호주에 도착한 후, 그는 퍼스 천문대에서 천문학자 2급으로 시작하였고, 1969년 11월 닥터 I 니콜로프로부터 퍼스 천문대 아스트로그래픽 망원경의 운용을 인계받았다.

HM Nautical Almanac Office에 근무하면서 얻은 그의 수적 능력은 혜성에 대한 그의 관심처럼 퍼스 천문대의 천체계에 있어서 큰 자산이 될 것이었다.

캔디가 퍼스 천문대를 남쪽 천체 관측소의 선두에 위치시키는 데는 거의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1972년까지 퍼스 천문대는 세계에서 9번째로 금성의 위치를 생산했다. 이에 만족하지 않고 캔디는 당시 달성 가능한 물체의 제한 크기를 14일에서 19일로 늘리기 위해 새로운 사진 유리판 처리 관행을 도입했다. 새로운 과정은 5개의 혜성이 회복되고 천문대가 1973년부터 1977년 사이 2위, 1978년부터 1984년 사이 4위로 자리 잡으면서 1975년 영국천문협회의 권위 있는 멀린 메달을 수상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의 지시에 따라 퍼스 천문대는 100개 이상의 새로운 소행성을 발견했으며, 소행성 센터에 상당한 수의 관측을 제공했다.

그는 1986년 통신 번호 2, 3, 4번과 마지막, 통신 번호 5번과 함께 B 해리스 씨가 시작한 혜성과 소좌에 관한 퍼스 천문대의 첫 번째 간행물을 계속했다.

1979년까지 그의 천체능력과 공헌이 널리 인정되었고 그는 1982년 3년 임기의 대통령으로 선출될 때까지 재직했던 국제천체연맹의 부회장인 위원회 6가 되었다. 이와 동시에 1988년까지 국제천문연맹 20위원회 - 소행성, 위성, 혜성의 위치와 움직임의 실무 위원이 되었다.

퍼스 천문대는 1986/1987년에 핼리 혜성에 잘 배치되었고 퍼스 천문대는 캔디 아래에서 혜성에 대한 지구 기반 천문학적 위치의 10%를 생산하여 세계에서 가장 큰 기여를 했다.

캔디는 1988년부터 1990년까지 오스트레일리아 천문 협회의 참의원, 1988년부터 1990년 사이에 서호주 왕립 협회의 참의원, 1989년에 서호주 왕립 협회의 회장이었다.

그는 정부가 1987년에 50%의 직원을 재배치하고 한 구역 전체가 폐쇄하면서 가장 급격한 천문대 직원 감축을 보았다.[6]

강제 정년은 전임자와 달리 더 이상 제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캔디는 퍼스 천문대에서 혜성 사냥꾼 망원경 혜성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새로운 이론, 길레 혜성의 분석, 그리고 남호주 혜성의 비교를 포함한 프로젝트들을 계속 할 수 있었다. 1979년에 혜성의 그것과 함께 1770년에 발견되었다.

1960년에 그는 Candy 1960n 혜성을 발견했고, 혜성이 발견된 후 60시간 이내에 두 개의 더 많은 관측으로부터 궤도를 도는 것을 발견한 최초의 천문학자였다.

Mr M P Candy는 1993년 12월 24일에 공식적으로 은퇴했고 1994년 11월 2일에 사망했다.[7]

그의 작품은 1980년에 Minor Planet 3015 Candy라는 이름을 붙임으로써 영예를 안았다.

제임스 D 빅스

제임스 D 빅스 박사는 1994년 5월 퍼스 천문대에서 출발해 2010년 사임했다.[6]

랄프 마틴 (연기)

J D Biggs 박사가 사임한 후, 랄프 마틴은 2013년 1월 22일 WA 정부는 모든 연구 프로그램이 중단되고 천문대는 투어를 위해만 개방될 것이라고 발표하기 전까지 이사직을 수행했다.[8]

마틴과 퍼스 천문대의 나머지 직원들은 자발적인 중복 근무를 했다.[6]

지진 기록

퍼스의 지진 관측소로서 1923년에서 1959년 사이에 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의 지진 기록을 위해 밀네쇼 지진계가 사용되었다. 1959년 이후, 지진 감시는 문더링 지구물리학 관측소에 의해 이루어졌다.[9]

비클리의 새로운 전망대

1960년대에 퍼스 시의 빛 공해와 스티븐슨-헵번 리포트의 1955년 계획 시행의 작은 부분에서는 퍼스 천문대가 살던 땅이 처음에는 5개의 관공서 블록이 되었지만, 두마스 하우스는 단 하나밖에 지어지지 않았다. 주 정부에 의해 거의 폐쇄된 후, 천문대는 달링 레인지에 있는 궁인산 근처 비클리에 있는 현재의 장소로 옮겨졌다. 새 전망대는 60만 달러가 들었으며, 1966년 9월 30일 수상 데이비드 브랜드에 의해 개관되었다.

최근 역사

천문대는 1987년 국무성 소속이던 당시 가장 심각한 국가 정부의 몇 차례 폐쇄 시도에 맞서 싸워왔다. 대중, 과학, 아마추어 사회의 격렬한 항의는 전망대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2015년 7월 현재 퍼스전망대 봉사단은 2015년 6월 체결된 퍼스전망대 봉사단과 공원 및 야생동물과 지역사회 파트너십 협약에 따라 전망대를 운영하고 있다.

1996년 100주년

1996년 1월 창립 100주년인 이 전망대는 현재 공원 야생동물부(서부 오스트레일리아)의 일부인 보존 및 토지 관리부로 이관되었다.[10]

비클리 천문대 유산 목록

2005년에 빅리 유적지는 호주의 가장 오래된 지속적 운영 전망대였으며 호주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주정부에서 천문 관측소를 운영하면서 유산으로 등재되었다.[11]

출판

서호주 천문학 연감은 2000년대에 천문대 전문지식의 일환으로 DEC에 의해 출판되어 천문대 직원들을 이용하여 편집하고 기여하였다. 2003년 연감을 위한 2002년 간행물에는 이후 판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던 부제가 추가되었는데, 바로 밤하늘의 경이로움에 대한 정말 유용한 안내서였다.[12][13]

천문학적 자료(1965–1990)[14]천문학적 안내서(1989–1992 ?)가 선행했다.[15]

퍼스 천문대 오늘

Minor Planet Center는 1970년과 1999년 사이에 퍼스 천문대에 29개의 작은 행성 발견을 승인했다.[16]

2013년 1월 22일, 서호주 정부는 모든 연구 프로그램이 중단되고 천문대는 투어를 위해만 개방될 것이라고 발표했다.[8]

퍼스 천문대 봉사단은 2015년 7월 1일 현재 서부호주정부 천문대를 운영하고 있으며 퍼스 천문대는 단 3명의 시간제 직원과 120명에 가까운 열정적인 자원봉사자만이 운영하여 과학 및 문화유산 교육시설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다.

매년 200개 이상의 행사들이 10,000명 이상의 방문객들을 끌어모으는 천문대에서 열린다. 더 나아가, 스타관람 행사는 위치와 관계없이 WA의 모든 사람들에게 우주로 가는 관문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WA의 원격 사이트에서 열린다. 자원봉사자들은 매년 18,000시간 이상의 공공 행사를 제공하고 있으며, 자원봉사자 교육을 개발하는데 12,000시간을 더 할애하여 우리의 유산, 행정 및 현장을 보존하고 있다.

명예

플로리안 소행성 3953 퍼스는 천문대를 기념하여 명명되었다.[1]

참고 항목

참조

  1. ^ a b Schmadel, Lutz D. (2007). "(3953) Perth". Dictionary of Minor Planet Names – (3953) Perth. Springer Berlin Heidelberg. p. 337. doi:10.1007/978-3-540-29925-7_3941. ISBN 978-3-540-00238-3.
  2. ^ "Old Observatory - Heritage Perth".
  3. ^ H B Curlewis (20 July 1929). "The Perth Observatory". Civil Service Journal: 73–74.
  4. ^ a b Porter J, Surveyor-General of South Australia (April 1990). AN HISTORICAL PERSPECTIVE - Longitude 129 degrees east, and why it is not the longest, straight line in the world. National Perspectives – 32nd Australian Surveyors Congress Technical Papers 31 March – 6 April 1990. Eyepiece – Official Organ of The Institution of Surveyors, Australia, W.A. Division. Canberra: The Institution: The Institution of Surveyors, Australia, W.A. Division (published June 1990). pp. 18–24.
  5. ^ "Harris, Bertrand John (1925–1974)". Australian Dictionary of Biography. National Centre of Biography,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
  6. ^ a b c d Bowers, Craig (2016). The Scientific History of the Perth Observatory from 1960 to 1993. Murdoch University. p. 276. Retrieved 24 April 2017.
  7. ^ "Obituary – Candy, Michael-Philip – 1928–1994".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05: 56. 1995. Bibcode:1995JBAA..105...56.
  8. ^ a b "Research programs to be cut at Perth Observatory". 22 January 2013.
  9. ^ 고든, F.R과 J.D. 루이스(1980) 메커링과 칼링기리 지진 1968년 10월과 1970년 3월 웨스턴 오스트레일리아 회보 126 ISBN 0-7244-8082-X – 부록 1페이지 213페이지의 대규모 지진 목록(Catalogue of Ligger Geophysical Observatory, WA, Mundaringering Gephysical Oboratory) http://recordsearch.naa.gov.au/scripts/AgencyDetail.asp?M=0&B=CA_3539[permanent dead link]
  10. ^ Western Style: 1997년 오스트레일리아 천문학회 퍼스 천문대 제임스 빅스의 교육 및 공공 인식 프로그램 2007년 2월 11일 검색됨
  11. ^ "Perth Observatory". Heritage Council, State Heritage Office. 8 February 2015. Retrieved 22 February 2015.
  12. ^ Perth Observatory (2002), Western Australian astronomy almanac 2003 : the really useful guide to the wonders of the night sky, Perth Observatory, ISBN 978-0-9581963-0-7
  13. ^ Western Australia. Dept. of Conservation and Land Management; Perth Observatory (2000), Western Australian astronomy almanac, Perth Observatory, retrieved 17 March 2013 (2003 – 2012, 2011년에 발행되지 않음)
  14. ^ Perth Observatory (1965), Astronomical data, The Observatory, retrieved 17 March 2013
  15. ^ Perth Observatory (1989), Astronomical handbook, The Observatory, retrieved 17 March 2013
  16. ^ "Minor Planet Discoverers (by number)". Minor Planet Center. 24 February 2016. Retrieved 4 March 2016.

출판

  • 서호주 천문 연감. 빅리, W.A. 퍼스 천문대 ISBN 0-9581963-6-2(2007년판)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