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트코 디미트로프

Petko Dimitrov
페트코 디미트로프
Petko-1.jpg
페트코 디미트로프 박사
모교소피아 대학교 세인트클리멘트 오리드스키
로 알려져 있다흑해 홍수 가설

페트코 스토야노프 디미트로프 교수불가리아해양 지질학자이자 해양학자입니다.

전기

1944년 9월 16일 소피아 주 노바체네 마을에서 태어났다.1969년 그는 소피아 대학 지질지리학부 지질지리학과를 졸업했다.1969년부터 1975년까지 그는 우라늄 광산 "엘레쉬니차"에서 부국장으로 일했다.1975년에 그는 연구 협력자 경쟁에서 우승하여 해양학 연구소(BAS)에 취직했습니다.1979년에는 야스트레보프와 교수의 지도 아래 제4차 흑해붕 서쪽 주변부 해양 퇴적물 발생에 관한 논문을 옹호했다.모스크바 쉬르쇼프 해양학 연구소의 악세노프입니다[1]

  • 그는 불가리아의 새로운 과학 분야인 "해양 지질학"과 "지질학"을 소개했다.
  • 1977년~1984년 IO-BAS 과학장관, 1984년~1993년 바르나, IO-BAS 부국장, 1997년~2009년 바르나 IO-BAS "해양지질학 및 고고학" 부장.
  • 흑해홍수 가설과 관련된 독창적인 연구가 있다.
  • 흑해에서 30개 이상의 국제 과학 탐험대 리더 및 참가(로버트 발라드 박사 2001, 2002,[5] Woods Hole Oceanographic Institute 2006,[6] Professor).윌리엄 B. Ryan 2009, 2011 – 불가리아 교육과학부 불가리아 국립과학기금의 지원을 받아 프로젝트 02-337 "흑해의 고대 해안선과 인간 존재 조건"그의 작품은 불가리아 고고학에서 가장 선정적이면서도 가장 논란이 많은 발견물인 이른바 '노아의 판'이다. 그것은 1985년 7월 15일 바르나에서 약 93m, 65km 내륙에서 발견되었다. 그 진위여부를 인정할 사람은 아직 없다.
  • 그는 태평양, 대서양, 지중해로 가는 국제 과학 탐험에 참여했습니다.
  • 최초의 불가리아 과학자는 태평양의 [10]망간 결절을 연구했다.
  • 과학 단체 회원:과학자 연합 회원 - 바르나, 불가리아 지질학회, 불가리아 지리학회, 우크라이나 국립과학아카데미 외국인 회원.
  • 2013년 바르나시 명예시민
  • 연구 대상: 흑해, 지질, 지구화학, 해양지질학, 흑해 홍수 가설, 대체 자원 및 에너지 자원, 해양사, 고고학 및 지질학, 우라늄 광물 및 우라늄 채굴.
  • 교육 활동:Nikola Vaptsarov 해군사관학교Varna Free University에서 해양 지질학, 암석학 및 지구화학 강사.볼로냐 대학과 이탈리아 시칠리아 수중 고고학 대학 컨소시엄 강사.
  • 과학 출판물:150개가 넘는 과학 논문과 책의 저자 겸 공동 저자입니다.인용문은 [11]1300을 넘습니다.
  • 그는 천연 생태 비료 및 생물 생산물로 흑해 바닥에서 나온 사프로펠 퇴적물을 적용하기 위한 아이디어의 창안자이다.[12] 특허BG 제63868호, 등록부 제104106호
  • 과학상: 과학 공헌에 대한 메달 "St. St. St.Cyril and Methodius - "지난 25000년 동안의 흑해, 마르마라해 및 지중해의 지질, 기후 및 역사적 사건 상관(노아의 홍수 프로젝트)" 프로젝트의 실현을 위한 II 학위.
  • 흑해홍수에 관한 영화 (흑해홍수 가설)에 참가– 【BBC】Horizon – 1996 – Noah's Flood", ZDF 【Terra X 56 Die Sintflut】, UFOTV 【흑해의 어두운 비밀】, 【고대 X 파일:시즌 2 에피소드 8 - 대홍수와 스코틀랜드 돌 미스터리 - 내셔널 지오그래픽 등
  • 소피아 고대문명연구소의 협력자.
  • 그는 고등증명위원회(지질학 및 지리학 과학위원회) - 2 권한의 멤버였습니다.

논문과 서적

레퍼런스

  1. ^ 디미트로프 P. 1979년제4기 흑해선반 서쪽 주변부 해양 퇴적물 발생 22시, DOI: 10.1340/RG.2.12252.69766/1
  2. ^ 디미트로프 P. 1978년흑해의 범람한 고대 해안선입니다.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프리로다(자연), 4, 55-59
  3. ^ 디미트로프 P. 1982년불가리아 흑해 선반에서 나온 바닥 퇴적물의 방사성 탄소 측정 결과입니다.불가리아 과학 아카데미 해양학 9, 45-53
  4. ^ 디미트로프 D. 2018노아의 홍수이론(흑해홍수이론)의 현황과 그 실천적 의의.불가리아의 역사와 문명 - 정신과 문화.당그라픽, 바르나, DOI: 10.1340/RG.2.28994.84165
  5. ^ Dimitrov P., D. Dimitrov, 2004.흑해 홍수와 고대 신화.【Slavena】, Varna, ISBN 954-579-335-X, 91p., DOI: 10.1340/RG.2.18954.16327
  6. ^ Coolen, Marco J.L.; Saenz, James P.; Giosan, Liviu; Trowbridge, Nan Y.; Dimitrov, Petko; Dimitrov, Dimitar; Eglinton, Timothy I. (2009). "DNA and lipid molecular stratigraphic records of haptophyte succession in the Black Sea during the Holocene". Earth and Planetary Science Letters. 284 (3–4): 610–621. Bibcode:2009E&PSL.284..610C. doi:10.1016/j.epsl.2009.05.029.
  7. ^ Ryan, W. B. F.; Pitman, W. C.; Major, C. O.; Shimkus, K.; Moskalenko, V.; Jones, G. A.; Dimitrov, P.; Gorür, N.; Sakinç, M. (1997). "An abrupt drowning of the Black Sea shelf" (PDF). Marine Geology. 138 (1–2): 119–126. Bibcode:1997MGeol.138..119R. CiteSeerX 10.1.1.598.2866. doi:10.1016/s0025-3227(97)00007-8.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6-03-04. Retrieved 2014-12-23.
  8. ^ Yanchilina, Anastasia G.; Ryan, William B. F.; McManus, Jerry F.; Dimitrov, Petko; Dimitrov, Dimitar; Slavova, Krasimira; Filipova-Marinova, Mariana (2017-01-01). "Compilation of geophysical, geochronological, and geochemical evidence indicates a rapid Mediterranean-derived submergence of the Black Sea's shelf and subsequent substantial salinification in the early Holocene". Marine Geology. 383: 14–34. Bibcode:2017MGeol.383...14Y. doi:10.1016/j.margeo.2016.11.001.
  9. ^ Yanchilina, A. G., Ryan, W. B. F., Dimitrov, P., D., Slavova, K. 및 Filipova-Marinova, M.(2019).A.G. yanchilina, W.B.F. 라이언, J.F. Mcmanus, DIMTROV의 "지구물리학적, 지질연대학적, 지구화학적 증거를 종합하면 흑해붕의 빠른 지중해 유래 침수와 그에 따른 상당한 염분화가 초기 홀로세기에 나타난다는 것을 알 수 있다"는 코멘트에 대한 답변이다.지질학 383 (2017) 14–34]해양 지질학, 407, 354-361비브코드:2019MGeol.407..354Y, 도이:10.1016/j.margeo.2018.11.006
  10. ^ 디미트로프 P. 1988해안과 수로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죠바르나, 푸블"Galactica", "Neptun", 161 페이지, DOI: 10.1340/RG.2.19449.36965
  11. ^ scholar.google을 클릭합니다.bg
  12. ^ 디미트로프 P. 등(2000).토양기질에 대한 개정, DOI: 10.1340/RG.2.28181.63205
  13. ^ Scientific Award "Varna" 2003 리더인 Profess와 함께 Scientific Team. 페트코 디미트로프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