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암 1104편

Pan Am Flight 1104
팬암 1104편
Martin model 130 China Clipper class passenger-carrying flying.jpg
마틴 M-130, 추락 사고로 잃은 것과 유사하다.
사고
날짜1943년 1월 21일
요약파일럿 오류
사이트멘도시노 군, 캘리포니아 우키야 7마일(11km) SW
39°04′0″n 123°17′0″w / 39.06667°N 123.28333°W / 39.06667; -123.28333좌표: 39°04′0″N 123°17′0″W / 39.06667°N 123.28333°W / 39.06667; -123.2833333[2]
항공기
항공기형식마틴 M-130
항공기명필리핀 클리퍼
연산자팬아메리칸 월드 에어웨이즈[1]
등록NC14715
비행원점하와이 오아후 진주만
목적지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승객들10
크루9
사망률19
부상0
생존자0

62100번 여행의 팬암 1104편은 1943년 1월 21일 아침 캘리포니아 북부에서 추락한 필리핀 클리퍼라는 별명을 가진 마틴 M-130 비행선이었다.[2] 항공기는 팬아메리칸 항공사가 운영했으며 하와이 진주만에서 캘리포니아주 샌프란시스코로 미 해군 요원 10명을 태우고 있었다. 이 항공기는 악천후 속에서 캘리포니아주 우키아 남서쪽 약 11km 지점의 산악 지형에 추락했다.[2]

항공기

필리핀 클리퍼글렌 L. 마틴사가 팬암을 위해 고안한 3척의 M-130 비행선 중 하나였다. 태평양횡단기(trans-pacific)로 건조돼 41만7000달러(현재 7만7000달러(현재 730만 달러 상당)에 팔렸다.[3] 당시 M-130은 1938년 보잉 314에 의해 추월되기 전까지 미국에서 제작된 항공기 중 가장 큰 규모였다.[4] 필리핀 클리퍼는 1936년 팬아메리칸과 함께 서비스를 시작했으며,[5] 1936년 10월 미국과 마닐라 간 여객 서비스를 개시했다.[6]

필리핀 클리퍼는 1941년 12월 8일 일본군의 공격을 받았을 때 웨이크 아일랜드에 있었다. 그것은 공격 중에 약간 손상되었고, 그 직후 섬을 떠났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필리핀 클리퍼자매선인 차이나 클리퍼는 비록 팬아메리카 인력에 의해 선원이 되었지만 해군에서 복무하도록 압력을 받았다.[6][7] 사고 당시 이 항공기는 14,628시간의 비행시간을 기록했고, 8년간 태평양을 비행했으며, 1941년 12월 8일 웨이크 아일랜드에서 일본 항공기에 의해 스트래핑에서 살아남았다.[8]

크래쉬

바람이 너무 세게 불어서 나무들 위로 불었다... 비행기는 매우 낮게 날고 있었다. 그것은 불을 켜고 바로 우리 집 위로 와서 폭풍우 속에서 북쪽으로 사라졌다.

Mrs. Charles Wallach, Civil Defense aircraft spotter[9]

1104편은 1943년 1월 20일 오후 5시 30분 하와이 제도 오아후섬 진주만을 출발했다.[4][8] 9명의 팬암 승무원은 4명의 조종사, 3명의 엔지니어, 2명의 무선 교환원, 그리고 승무원으로 구성되었다. 그 비행은 로버트 M. 엘제이에 의해 조종되었다.[8] 1943년 1월 중순까지 엘제이 선장은 약 4,941시간의 비행시간을 축적했고, 이 중 3,359시간을 팬아메리칸이 고용하고 있었다.[2]

힐러 항공 박물관에 있는 추모 명판

탑승한 10명의 승객들은 모두 미 해군 장교들이었다. 그 중에는 미 태평양함대의 잠수함 부품인 미 태평양 잠수함 함대의 사령관 로버트 H. 잉글리시 후방 제독도 있었다. 영국 해군 제독은 산파블로 만과 접경하는 마레아일랜드 해군 조선소의 잠수함 지원 시설을 방문할 계획이었고, 그의 선임 참모 3명이 동행했다. 또 다른 승객은 말기암 진단을 받은 해군 간호사인 에드나 모로 중위로 사망하기 위해 집으로 돌아가는 길이었다.[9]로버트 홈스미스 함장도 탑승해 있었는데, 전에는 USS 스테프리(AS-12) 잠수함 입찰의 지휘를 맡았고, 최근에는 태평양 잠수함 함대 제2중대장으로 진급했다.

추락하기 전까지는 야간 중 무선 송신이 증명하듯 비행이 일상적이었다. 거센 후풍에 비행기가 예정 시간보다 3시간 반이나 앞당겨졌다.[4]

1943년 1월 21일 아침, 이 항공기는 캘리포니아 상공에서 샌프란시스코를 향해 북쪽으로 비행하면서 좋지 않은 날씨에 부딪쳤다. 폭우, 강풍, 짙은 구름 덮개, 안개 때문에 선장은 더 낮은 고도로 내려갈 수밖에 없었다.[4] 오전 7시 30분, 이 멀리 떨어진 항로에서 항공기는 약 2,500피트(760m) 떨어진 산으로 추락하여 10도 각도로 하강했고, 그 위로 여러 그루의 나무가 부러지고, 부서지고, 불에 탔다.[1] 잔해가 발견되기 1주일 이상이 지난 후, 이 지역은 군인들이 탑승했을지도 모르는 생존 군사 기밀 문서들을 보호하기 위해 봉쇄되었다.[9]

항공우주국은 추락 사고를 조사했고 조종사 실수일 가능성이 있다고 결정했다.

어둠의 시간 동안 극도로 열악한 기상 조건에서 위험할 정도로 낮은 고도로 하강하기 전에 기장의 위치를 정확히 결정하지 못한 경우.

Civil Aeronautics Board, CAB File No. 1413-43[2]

메모리얼

캘리포니아 산 카를로스에 있는 힐러 항공 박물관에는 박물관 입구 밖에 있는 항공기에 기념 명판이 붙어 있다. 위패에는 사고 항공기의 간략한 이력과 함께 사상자 명단이 적혀 있다. 이 박물관은 사고 현장에서 약 157마일 떨어진 샌프란시스코 만 비행기의 목적지 근처에 위치해 있다.[8]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c 항공 안전 네트워크팬암 1104편 사고 설명. 2009-05-23에 검색됨.
  2. ^ Jump up to: a b c d e "CAB report for January 21, 1943 incident involving NC14715, Docket No. AC-4, File No. 1413-43". Civil Aeronautics Board. June 4, 1943.
  3. ^ "Chasing the Sun". PBS.com. n.d. Retrieved 2007-08-20.
  4. ^ Jump up to: a b c d Don R. Jordan (2006). "The Philippine Clipp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8-27. Retrieved 2009-05-24.
  5. ^ "Pan American Philippine Clipper Flight Orders for June 1, 1939". The Virtual Museum of the City of San Francisco. Retrieved 2009-05-24.
  6. ^ Jump up to: a b "The Golden Age of Aviation". 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8, 2009. Retrieved 2009-05-24.CS1 maint: 잘못된 URL(링크)
  7. ^ "Flying Clippers at War". n.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9-11. Retrieved 2009-05-24.
  8. ^ Jump up to: a b c d 산 카를로스 캘리포니아 힐러 항공 박물관의 판아메리카 필리핀 클리퍼 기념 플라그. 사진.
  9. ^ Jump up to: a b c Blair, Clay (March 2001). Silent victory: the U.S. submarine war against Japan. Naval Institute Press. pp. 365–366. ISBN 1-55750-217-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