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전역 (1944-1945)
Philippines campaign (1944–1945)필리핀 전역 (1944-1945) | |||||||||
---|---|---|---|---|---|---|---|---|---|
제2차 세계 대전 태평양 극장의 일부 | |||||||||
1944년 10월 20일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오스메냐 대통령, 그리고 참모들이 레이테 팔로에 착륙했습니다. | |||||||||
| |||||||||
Belligerents | |||||||||
지원 대상: 호주. 멕시코 | |||||||||
지휘관 및 지도자 | |||||||||
더글러스 맥아더 세르히오 오스메냐 체스터 W. 니미츠 월터 크루거 로버트 L. 아이첼베르거 윌리엄 할시 주니어 토마스 C. 킨케이드 조지 C. 케니 존 콜린스 | 야마시타 토모유키 호세 P. 로렐 무토 아키라 스즈키 소사쿠 † 요코야마 시즈오 Soemu Toyoda 구리타 다케오 오자와 지사부로 이와부치 산지 † | ||||||||
관련된 단위 | |||||||||
제6군 제8군 제5공군 제3함대 제7함대 태스크포스 74 | 제14지역군 연합함대 | ||||||||
힘 | |||||||||
1,250,000 3만명 이상의 게릴라[2] 208[3] | 529,802[4] ~6,000명의 민병대[5][6][7] | ||||||||
사상자 및 손실 | |||||||||
인력:
재료: 33척 이상 침몰 알[14] 수 없음 ~10(비combat 5개) | 인력: 재료: 93척 이상의 선박 침몰1,300대의 항공기[10][13] |
필리핀 전쟁(Battle of the Philippine), 필리핀 전투(Battle of the Battle of the Philippine), 제2차 필리핀 전쟁(Operation Musketeer I, II, III) 또는 필리핀 해방(Liberation of the Philippine)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필리핀을 점령한 일본군을 물리치고 쫓아낸 미국, 멕시코, 호주 및 필리핀의 전쟁입니다.
1942년 상반기 동안 일본군은 필리핀 전역을 점령했습니다. 일본으로부터의 필리핀 해방은 1944년 10월 20일 필리핀 동부 레이테 섬에 수륙양용으로 상륙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미국과 필리핀 영연방군은 호주와 멕시코 제201전투비행단의 해군과 항공 지원을 받아 영토와 섬을 해방하는 과정에서 1945년 8월 15일 일본의 항복 명령을 받고 필리핀에 주둔하고 있던 일본군의 항복을 받아냈습니다. 일본 본토에 원자폭탄을 투하하고 소련의 만주 침공 이후.
계획.
1944년 중반까지 미군은 필리핀 남부에서 가장 큰 섬인 민다나오에서 남동쪽으로 300해리(560km) 밖에 떨어지지 않았고, 장거리 폭격기를 사용하여 그곳의 일본군 진지를 폭격할 수 있었습니다. 체스터 니미츠 함대 제독이 지휘하는 미군은 중앙 태평양을 건너 길버트 제도, 마셜 제도 일부, 마리아나 제도 대부분을 점령하고 일본군의 많은 주둔지를 우회하여 남겨두었으며, 보급품이 없고 군사적으로 무력했습니다.
항공모함을 기반으로 한 전투기들은 이미 필리핀에서 일본군에 대한 공습과 전투기 소탕을 실시하고 있었습니다. 특히 그들의 군용 비행장. 서남태평양작전극장의 최고사령관인 더글러스 맥아더 장군 휘하의 미군과 호주군은 뉴기니와 애드미럴티 제도의 일본군 모두를 공격하거나 고립시키고 우회했습니다. 필리핀 침공 전, 맥아더의 최북단 정복은 1944년 9월 15일부터 16일까지 네덜란드령 동인도의 모로타이에서 이루어졌습니다. 이곳은 필리핀 남부의 폭격기 사정권에 있던 맥아더의 한 기지였습니다.
맥아더 장군과 윌리엄 F 제독의 지휘 하에 있는 호주와 뉴질랜드뿐만 아니라 미국 해군, 해병대, 육군. 카트휠 작전의 할시 주니어는 라바울 주변의 섬들을 점령하고, 그 위에 공군기지를 건설하여 라바울에 있는 일본군을 폭격하고 봉쇄함으로써 거대한 일본 남태평양 기지를 고립시켰습니다.[c][19]
1944년 6월과 7월 사이판, 괌, 티니안에서 승리하면서 미군은 일본에 가까워지고 있었습니다. 마리아나 제도에서는, 미국 육군 항공대의 B-29 슈퍼포트리스 중폭격기들이 화물선과 유조선을 통해 보급품을 직접 이용할 수 있는, 잘 공급된 공군 기지들로부터 일본 본국 섬들을 폭격할 수 있었습니다. 일본에 대한 초기의 B-29 폭격 작전은 영국령 인도와 영국령 버마를 경유하는 매우 길고 구불구불한 보급선의 끝에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모든 B-29는 1944년 가을에 마리아나로 옮겨졌습니다.)
비록 일본이 전쟁에서 지고 있었지만, 일본 정부와 일본 육군과 해군은 항복하거나 붕괴하거나 항복할 기미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1898년부터 필리핀과 미국 사이에는 긴밀한 관계가 있었고, 1935년 필리핀이 필리핀의 연방이 되었고, 1946년 중반 독립을 약속했습니다. 게다가, 윌리엄 F 제독 휘하의 미국 고속 항공모함 태스크 포스에 의한 광범위한 일련의 공습. 일본의 비행장과 필리핀의 다른 기지들에 대항하는 Halsey는 일본 육군 전투기들의 요격과 같은 일본의 반대를 거의 이끌어내지 못했습니다. 캐나다에서 열린 연합참모본부는 할시 제독의 권고에 따라 필리핀 첫 상륙 날짜를 앞당길 뿐만 아니라 최남단 민다나오섬에서 필리핀 중부 레이테섬으로 북상하는 결정을 승인했습니다. 1944년 10월 20일 레이테에 착륙하기 위해 설정된 새로운 날짜는 민다나오에 착륙하기 위한 이전의 목표 날짜보다 두 달 전이었습니다.
필리핀 사람들은 침략을 준비하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1942년 3월 맥아더 장군이 필리핀에서 철수한 후 모든 섬이 일본에게 함락되었습니다. 일본 점령은 가혹했고 잔혹한 행위와 많은 수의 필리핀인들이 노예 노동에 내몰렸습니다. 1942년 중반부터 1944년 중반까지 맥아더와 니미츠는 필리핀 게릴라 저항군에 미국 해군 잠수함과 낙하산 몇 척을 공급하고 격려했습니다. 그래서 게릴라들은 일본군을 괴롭히고 군도의 절반에 달하는 시골 정글과 산악 지역을 장악할 수 있었습니다. 미국에 충성하는 동안, 많은 필리핀인들은 일본으로부터의 해방이 그들에게 자유와 이미 약속된 독립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희망하고 믿었습니다.
호주 정부는 맥아더 장군에게 필리핀 해방을 위한 호주군 제1군단의 사용을 제안했습니다. 맥아더는 두 개의 호주 보병사단을 배치할 것을 제안했는데, 이들은 각각 다른 미 육군군단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단순히 미 육군군단의 일부가 아니라 필리핀의 특정 지역 내에서 상당한 작전 통제권을 갖기를 원했던 호주 내각은 이 아이디어를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20] 호주 내각과 맥아더 사이에는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맥아더는 그렇게 원했을지도 모릅니다. 그러나 중순양함 HMAS 호주와 같은 호주 왕립 공군과 호주 왕립 해군의 부대가 참여했습니다.
맥아더는 호주 지상군을 거부했을 뿐만 아니라 필리핀 전역에서 10개월 동안 주요 지상 전투 작전에 미 해병대가 투입되는 것도 거부했습니다. 이 캠페인에서 미 해병대가 기여한 것은 미 육군 병사들의 공중 엄호와 미 육군 공군 항공기 지원에 큰 도움을 준 USMC 항공기와 항공기, 그리고 토마스 E 준장이 지휘하는 1개의 소형 USMC 포병 부대인 VAC 포병뿐이었습니다. 부르크. 이 1,500명의 미군 포병들은 10월 21일부터 12월 13일까지 레이테 전투 동안 필리핀에서만 싸웠습니다. 이 작은 포병대는 1944-45년 필리핀에서 복무한 유일한 미군 지상 전투 부대였습니다.[21]
미국이 필리핀을 재정복하는 동안 게릴라들은 일본군에 대해 공개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했고, 진격하는 정규군에 앞서 정찰 활동을 펼쳤고, 진격하는 미군 사단 옆에서 전투를 벌였습니다.[22][23]
레이테
1944년 10월 20일, 해군과 공중 폭격의 지원을 받은 미 6군은 민다나오 북동쪽에 있는 비자야스 섬 그룹의 섬들 중 하나인 레이테의 호의적인 동쪽 해안에 상륙했습니다. 왜군은 해공군의 상대적인 전력을 잘못 계산하여 상륙을 격파하려 했습니다. 이것은 10월 23일부터 10월 26일까지 벌어진 레이테 만 전투라고 불리는 거대한 일련의 전투를 가져왔습니다. 이 결정적인 승리는 미국 해군, 고속 항공모함 기동대, 해상 함대, 그리고 잠수함들에 의한 것으로 이미 모든 유효 항공모함 병력을 잃은 일본 제국 해군의 나머지 부분을 사실상 파괴했습니다. IJN은 4척의 항공모함이 격침되었고, 수많은 전함과 중순양함, 그리고 다수의 경순양함과 구축함을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IJN은 이 후 절대로 큰 전투를 벌일 수 없었습니다.
미6군은 동쪽에서 계속 진격했는데, 일본군이 섬의 서쪽에 있는 오르모크만 지역으로 지원군을 급파했기 때문입니다. 제6군이 지속적으로 증원되는 동안, 미 제5공군과 미 제3함대 제38기동군은 일본의 항공 공격과 새로운 증원군 및 보급물자 상륙 시도를 파괴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1944년 11월 11일부터 12월 21일까지 오르모크 만 전투로 알려진 기간 동안 육군의 지상군에 많은 지원을 제공합니다.
필리핀 게릴라들은 또한 공공질서를 유지하고 도로와 고속도로를 혼잡하지 않게 유지하는 데 귀중한 역할을 했습니다. 레이테 유격대는 미국 해변가가 창설된 후 6군단과 사단에 직접 소속되어 정찰, 정보, 전투 작전을 지원했습니다.[24][failed verification] 미 6군이 타클로반과 둘라그 해변에 처음 상륙하면서, 루퍼토 캉글레온 대령의 부대는 작전에 들어갔습니다. 그들은 주요 교량을 가동하여 목표 지역을 향한 일본군의 이동을 차단하고, 적의 순찰을 괴롭히며, 보급과 탄약고를 파괴했습니다. 게릴라 전초기지에서 강레온 사령부로 보낸 적 병력 이동과 배치 정보는 곧바로 6군으로 출동했습니다.[25]
많은 집중호우와 어려운 지형이 계속되는 동안, 진격은 레이테를 가로질러 레이테의 바로 북쪽에 있는 사마르의 주요 섬까지 계속되었습니다. 1944년 12월 7일, 미군 부대는 오르모크 만에 또다시 수륙양용 상륙을 감행했고, 대대적인 육공전 끝에 상륙 부대는 레이테에 병력을 증원하고 재보급할 수 있는 모든 일본의 능력을 차단했습니다. 레이테에서 몇 달 동안 치열한 전투가 이어졌지만, 미군은 항상 통제권을 쥐고 있었습니다.
민도로
미 6군의 두 번째 주요 공격 목표는 민도로였습니다. 이 큰 섬은 루손과 마닐라 만의 바로 남쪽에 있으며, 맥아더가 이 섬을 함락시킨 주요 목표는 주요 항구이자 수도인 마닐라와 함께 가장 중요한 루손 섬의 상공을 지배할 수 있는 전투기를 위한 비행장을 건설할 수 있는 것이었습니다.[26]
레이테에서 민도로에 이르는 제7함대의 대규모 침공 호송대는 가미카제의 강력한 공격을 받았지만, 미군의 민도로 침공을 지연시킬 수는 없었습니다.[27] 민도로는 일본군이 가볍게 점령했을 뿐이고 상당 부분은 필리핀 게릴라들이 차지하고 있었기 때문에 민도로는 순식간에 점령당했습니다. 미국 육군 공병들은 산호세에 주요 공군 기지를 빠르게 건설하기 시작했습니다. 루손과 가까운 것 외에도 민도로는 거의 항상 좋은 비행 날씨를 가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곳은 필리핀의 비교적 건조한 지역이기 때문입니다 – 일년 중 대부분 집중 호우를 받는 레이테와는 달리, 비행 날씨가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매우 진흙투성이이고 비행장을 건설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
민도로는 또한 또 다른 돌파구의 장소이기도 합니다: 태평양 전쟁 중에 빠르고 장거리의 P-51B 무스탕 전투기를 조종하는 USAAF 비행대대대의 첫 등장입니다. 민도로는 제6군과 미육군의 주요 승리였으며, 맥아더 제6군의 다음 행보인 루손, 특히 서부 해안의 링가옌 만 침공의 주요 기지를 제공했습니다.
루손
1944년 12월 15일, 루손에 예정된 대규모 상륙을 지원하기 위해 계획된 링가옌만 작전의 핵심 장소인 민도로 섬의 남쪽 해변에 최소한의 저항에도 불구하고 상륙했습니다. 1945년 1월 9일, 루손 서쪽 해안의 링가옌 만 남쪽 해안에 크루거 장군의 6군이 첫 번째 부대를 상륙시켰습니다. 거의 175,000명의 사람들이 며칠 안에 20마일(32km)의 해변가를 가로질러 따라왔습니다. 육군 부대는 1월 마지막 주 마닐라에서 북서쪽으로 40마일(64km) 떨어진 클락 필드를 점령하고 내륙으로 진격했습니다.
이후 두 차례의 대규모 상륙이 더 이어졌는데, 하나는 바타안 반도를 차단하기 위한 것이었고, 다른 하나는 마닐라 남쪽에 낙하산이 떨어지는 것이었습니다. 도시에 핀커스가 문을 닫았습니다. 1945년 2월 3일, 미국 제1기병사단의 요소들이 마닐라 북쪽 외곽으로 밀고 들어왔고, 제8기병연대(보병으로 편성)가 북쪽 교외를 지나 도시 자체로 들어갔습니다.
마닐라의 진격이 남북에서 계속되면서 바타안 반도는 빠르게 확보되었습니다. 2월 16일 낙하산 부대와 수륙양용 부대가 동시에 코레기도르 섬을 공격했습니다. 군대가 마닐라 만의 입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요새를 차지하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1945년 11월 1일에 시작될 예정이었던 일본의 침략을 지원하기 위해 미국인들은 마닐라 만에 주요 항구 기지를 설립할 필요가 있었습니다. 코레기도르에 대한 저항은 2월 27일에 끝났고, 그 후 1945년 8월 15일에 일본 제국의 모든 저항은 중단되어 일본 본국 제도의 침략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초기 낙관론에도 불구하고 마닐라에서의 전투는 가혹했습니다. 3월 3일까지 모든 일본군의 도시를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렸고, 일본 해병대는 완강히 맞서 싸웠고, 일본 육군이 그랬던 것처럼 항복하거나 철수하기를 거부했습니다. 코레기도르 인근 마닐라 만에 있는 요새화된 섬인 '드럼 요새'는 육군 부대가 해안으로 올라와 3,000갤런의 디젤 연료를 요새에 쏟아 부은 뒤 소초 공격을 시작한 4월 13일까지 버텼습니다. 포트 드럼의 어떤 일본군도 폭발과 화재에서 살아남지 못했습니다.
마닐라에서의 전투가 끝나갈 무렵, 새로 해방된 도시가 직면한 또 다른 도전은 수도 공급이었습니다. 장군 휘하의 심부회. 요코야마 시즈오는 마닐라 동쪽의 시에라 마드레 산맥에 위치한 이포 댐, 와와 댐, 그리고 그 주변 지역을 실질적으로 통제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1945년 2월 28일부터 5월 30일까지 남서태평양 극장에서 벌어진 시소 전투, 그리고 가장 긴 전투가 이어졌습니다. 와와댐 전투와 이포댐 전투에서 심부군과 마주한 것은 처음에는 제6군의 제14군단이었고, 나중에 제11군단으로 대체되었습니다. 전투가 3개월이나 걸렸을 때, 마르코스 "마킹" 아구스틴이 이끄는 필리핀 게릴라들의 지원을 받은 미군은 심부 그룹을 강제로 살해했고, 장군을 강제로 살해했습니다. 요코야마,[28] 더 동쪽으로 후퇴.
모두 10개의 미군 사단과 5개의 독립 연대가 루손에서 전투를 벌여, 미국이 북아프리카나 이탈리아, 또는 프랑스 남부에서 사용했던 것보다 더 많은 병력을 동원한 태평양 전쟁의 최대 규모의 미국 전역이 되었습니다.
캠페인을 마무리하는 중
필리핀에서 다섯 번째로 크고 가장 서쪽에 있는 보르네오 섬과 민도로 섬 사이에 있는 팔라완 섬은 2월 28일 푸에르토 프린세사에 미8군이 상륙하면서 침공을 받았습니다. 일본군은 팔라완에 대한 직접적인 방어는 거의 하지 않았지만, 일본군의 저항 주머니를 청소하는 것은 4월 말까지 계속되었고, 일본군은 산과 정글로 철수하는 공통된 전술을 사용하여 소규모 부대로 분산되었습니다. 필리핀 전역에서 미군은 필리핀 게릴라들의 도움을 받아 억류자들을 찾아내고 파견했는데,[29] 그들 중 마지막 오노다 히로오는 민도로의 루방 섬 산에서 1974년까지 항복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미8군은 필리핀의 주요 섬들 중 마지막 섬인 민다나오에 첫 상륙 (4월 17일)을 했습니다. 민다나오는 파나이, 세부, 네그로스 그리고 술루 군도의 몇몇 섬들을 침략하고 점령했습니다. 이 섬들은 미국 제5공군과 제13공군이 필리핀과 남중국해 전역의 목표물을 공격할 수 있는 근거지를 제공했습니다.
민다나오에 추가로 상륙한 후 미 8군은 완강한 저항에 맞서 안정적인 진격을 계속했습니다. 6월 말까지 적군의 주머니는 민다나오와 루손에서 고립된 주머니로 압축되어 1945년 8월 15일 일본군이 항복할 때까지 전투가 계속되었습니다. 그러나 일본 육군의 일부 부대는 도쿄와 무선 연락이 두절되었고, 일부 부대는 일본이 항복하여 일본의 홀드가 되었다고 설득하기 어려웠습니다. 태평양의 많은 섬들과 마찬가지로 황실의 일원들을 비롯한 일본의 주요 관리들이 직접 방문하여 병사들에게 천황의 명령에 따라 항복해야 한다고 설득했습니다.[30]
후폭풍
일본이 항복했을 때, 약 45,000명의 일본 포로들이 필리핀에 있는 미국 당국에 의해 구금되었습니다. 이 포로들은 전국의 여러 수용소에서 수용되었고, 전쟁 배상을 위한 노동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맥아더 장군은 필리핀 전범 위원회를 구성하고 대통령을 지냈습니다. 세르지오 오스메냐는 국가전범국을 만들었습니다. 두 관청은 도쿄에서 전범 재판을, 그리고 나중에 필리핀 전범 재판에서 서로를 지지했습니다.[31]
사상자
- 미국 육군 및 육군 항공대
위치 | 죽여 | 상처입은 | 총 |
---|---|---|---|
레이테[32] | 3,504 | 11,991 | 15,495 |
루손[33] | 8,310 | 29,560 | 37,870 |
필리핀[33] 중남부 | 2,070 | 6,990 | 9,060 |
총 | 13,884 | 48,541 | 62,425 |
- 일본인입니다
위치 | 사망[d] | 발동. | 총 |
---|---|---|---|
레이테[34] | 65,000 | 828[32] | 65,828 |
루손[35] | 205,535 | 9,050 | 214,585 |
필리핀[35] 중남부 | 50,260 | 2,695 | 52,955 |
총 | 320,795 | 12,573 | 333,368 |
게다가 필리핀 캠페인에서 100만 명의 필리핀 민간인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됩니다.[36]
참고 항목
메모들
- ^ 다른 소식통들은 레이테 만에서 3,800명의 해군 사상자,[10] 1944년 12월 13일 이후 (11월 생략) 2,680명의 사상자, 그리고[11] 태풍으로 790명의 사상자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 ^ 일본인 사망자의 약 80%는 기아나 질병으로 인한 것이었습니다.[17]
- ^ 과달카날 서쪽의 솔로몬 제도 전역은 남서태평양 지역으로 맥아더 장군의 책임이었습니다. 할시 제독은 동경 159도 서쪽 솔로몬 제도에서 작전을 수행했을 때 맥아더에게 보고했습니다. 동경 159도 동쪽에서 작전을 수행했을 때 니미츠에게 보고했습니다. 산타 이사벨 섬의 중간은 동경 159도가 지나는 곳입니다. 카트휠 작전은 산타 이사벨 섬의 서쪽에서 일어났습니다.
- ^ 전투 사망자 및 비전투 사망자 포함
참고문헌
- ^ "World War II: Mexican Air Force Helped Liberate the Philippines". History.net. June 12, 2006. Retrieved June 12, 2015.
- ^ MacArthur, Douglas (1966).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Japanese Operations in the Southwest Pacific Area Volume 2, Part 1. JAPANESE DEMOBILIZATION BUREAUX RECORDS. p. 311. Retrieved January 25, 2020.
- ^ 카스티요, G. (2011); 호메나예 데 라 세데나 아 밀리타레스 데 에스쿠아드론 201 데 라 푸에르자 아레아; 라 요르나다 (스페인어); 2019년 10월 3일 회수
- ^ 11장: 필리핀 중남부 8군의 작전, pp. 358 2020년 6월 3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2016년 3월 10일 회수
- ^ Jowett, Philip (2020). Japan's Asian Allies 1941–45. Osprey Publishing. pp. 37–39.
- ^ Ikehata Setsuho; Ricardo T. Jose (2000). The Philippines Under Japan: Occupation Policy and Reaction.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ress. pp. 83 & 89.
- ^ Stein Ugelvik Larsen, 유럽 밖 파시즘, Columbia University Press, 2001, p. 785
- ^ 제2차 세계 대전의 육군 전투 사상자와 비전투 사망자 94쪽. 2023년 5월 4일 회수
- ^ history.navy.mil , "제2차 세계대전 사상자, 필리핀으로 귀환" 2023년 5월 4일 회수
- ^ a b c Tucker, Spencer (2012). Almanac of American Military History, Vol. 1. ABC-CLIO. p. 1668. ISBN 978-1-59-884530-3.
- ^ "필리핀의 승리" pp. 48 & 66, 2016년 12월 24일 웨이백 머신에서 아카이브. 2015년 10월 26일 회수
- ^ "Luzon"은 2008년 12월 15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되었으며, Luzon에서만 93,400명의 전투 외 사상자가 발생했습니다. 2015년 10월 26일 회수
- ^ a b "필리핀의 승리" pp. 48–66 2016년 12월 24일 Wayback Machine에서 아카이브. 2015년 10월 26일 회수
- ^ 국립 제2차 세계 대전 박물관에 따르면 전쟁 중 필리핀 군 사망자는 5만 7천 명에 달한다고 합니다. 1944-45년 캠페인에서 상당 부분이 하락했음이 분명합니다.
- ^ Parker, Richard (May 27, 2020). "When the Mexican Air Force Went to War Alongside America". The New York Times.
- ^ 최종보고서, 일본군의 탈동진 경과, 제3부: 해외지역과 제4부: 공군 외함 #44, 2016년 1월 5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2016년 3월 10일 회수. 전쟁 직후 10만 9천 890명의 일본군이 송환되면서 약 42만 명의 일본인이 사망하거나 실종됐습니다.
- ^ 미국 역사 협회: 이오지마의 교훈. 2015년 11월 13일 회수.
- ^ American Battle and Campaigns: Chris McNab의 1622년부터 2010년까지의 연대기, 184쪽.
- ^ "Cartwheel: The Reduction of Rabaul" (PDF). history.army.mil. Retrieved March 28, 2022.
- ^ 데이비드 데이, 1992, 마지못해 하는 나라: 호주와 연합군의 일본 패망, 1942-1945. (뉴욕,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30쪽
- ^ ". . . AND a FEW MARINES: Marines in the Liberation of the Philippines". www.ibiblio.org. Retrieved March 28, 2022.
- ^ 에드윈 프라이스 램지와 스티븐 J. 리벨의 "램지의 전쟁".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나이츠브라이드 출판사에서 출판
- ^ "Edward Price Ramsey: Lieutenant Colonel (Retired), 26th Cavalry Regiment (Philippine Scouts)". militarymuseum.org. Retrieved December 1, 2015.
- ^ "Allied guerillas".
- ^ Macarthur, Douglas (1966). "Guerrilla Activities in the Philippines: The Philippine Resistance Movement".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The Campaigns of MacArthur in the Pacific. Vol. I. Washington, D.C.: Center for Military History, US Army. pp. 316–318. OCLC 2542186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31, 2016. Retrieved May 31, 2011.
- ^ "Chapter IX: The Mindoro and Luzon Operations".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The Campaigns of MacArthur in the Pacific: Volume I. Library of Congress: Department of the Army. pp. 242–2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6, 2014. Retrieved January 5, 2014.
- ^ "Chapter IX: The Mindoro and Luzon Operations".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The Campaigns of MacArthur in the Pacific: Volume I. Library of Congress: Department of the Army. p. 24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6, 2014. Retrieved January 5, 2014.
- ^ MacArthur, Douglas.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Vol. 1". US Army Center for Military History. Retrieved April 28, 2023.
- ^ Chambers, John Whiteclay; Fred Anderson (1999). The Oxford companion to American military history. New York City: Oxford University Press US. p. 547. ISBN 978-0-19-507198-6. Retrieved May 7, 2011.
guerrilla Philippine liberation fighting Japanese.
- ^ MacArthur, Douglas (1994).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United States Army. p. 445. LCCN 66-60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3, 2014. Retrieved August 15, 2014.
The radio also stated that members of the Imperial family were being sent to Japan's numerous theaters of operations as personal representatives of the Emperor to expedite and insure full compliance with the Imperial order to cease hostilities.
- ^ Chamberlain, Sharon Williams. "Justice and Reconciliation: Postwar Philippine Trials Against Japanese War Criminals in History and Memory". GWU Library.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Retrieved April 30, 2023.
- ^ a b 캐논, 레이테: 필리핀으로 돌아가기, 368-369쪽
- ^ a b 스미스, 필리핀의 승리, 692-693쪽
- ^ 톨랜드, "떠오르는 태양" 607쪽
- ^ a b 스미스, 필리핀의 승리, 694쪽.
- ^ Hasting, Max. Nemesis.
서지학
- Breuer, William B. (1986). Retaking The Philippines: America's Return to Corregidor & Bataan, 1944–1945. St Martin's Press. ISBN 9780312678029. ASIN B000IN7D3Q.
- Huggins, Mark (May–June 1999). "Setting Sun: Japanese Air Defence of the Philippines 1944–1945". Air Enthusiast (81): 28–35. ISSN 0143-5450.
- Leary, William M. (2004). We Shall Return!: MacArthur's Commanders and the Defeat of Japan, 1942–1945.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ISBN 0-8131-9105-X.
- "Chapter IX: The Mindoro and Luzon Operations". Reports of General MacArthur: The Campaigns of MacArthur in the Pacific: Volume I. Library of Congress: Department of the Army. pp. 242–29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16, 2014. Retrieved January 5, 2014.
- Mellnik, Stephen Michael (1981). Philippine War Diary, 1939–1945. Van Nostrand Reinhold. ISBN 0-442-21258-5.
- Morison, Samuel Eliot (1958). Leyte: June 1944 – Jan 1945, vol. 12 of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Little, Brown and Company. ISBN 0-316-58317-0.
- Morison, Samuel Eliot (2001). The Liberation of the Philippines: Luzon, Mindanao, the Visayas 1944–1945, vol. 13 of History of United States Naval Operations in World War II (Reissue ed.). Castle Books. ISBN 0-7858-1314-4.
- Norling, Bernard (2005). The Intrepid Guerrillas of North Luzon.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ISBN 0-8131-9134-3.
- Smith, Robert Ross (2005). Triumph in the Philippines: The War in the Pacific.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ISBN 1-4102-24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