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도계
Photometric system천문학에서 광도계는 입사 방사선에 대한 감도가 알려진 잘 정의된 통과 대역(또는 광학 필터)의 집합이다.감도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광학 시스템, 검출기 및 필터에 따라 달라집니다.각 측광 시스템에 대해 기본 표준 별 세트가 제공됩니다.
일반적으로 채택되는 표준화된 광도 측정 시스템은 Johnson-Morgan 또는 UBV 광도 측정 시스템(1953)입니다.현재 200개 이상의 측광 시스템이 있습니다.
광도 측정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통과 대역의 폭에 따라 특성화됩니다.
- 브로드밴드(30nm보다 넓은 패스밴드, 그 중 가장 널리 사용되는 것은 Johnson-Morgan UBV 시스템)
- 중간대역(폭 10~30nm의 패스밴드)
- 협대역(폭 10 nm 미만의 패스밴드)
광도 문자
각 문자는 전자 스펙트럼의 빛의 단면을 나타냅니다.이 단면은 연속되는 주요 그룹인 근자외선(NUV), 가시광선(V 대역 중심), 근적외선(NIR) 및 중적외선(MIR)[a]의 일부를 잘 커버합니다.
이 글자들은 표준이 아니지만 천문학자들과 천체물리학자들 사이의 공통된 합의에 의해 인정된다.
U,B,V,R,I 대역의 사용은 1950년대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는 한 글자의 [b]줄임말이다.이후 10년간 적외선 검출기의 등장으로 J 대 N 대역은 근적외선 대역의 가장 가까운 I 대역에 이어 라벨이 붙었다. 이후 H 대역을 삽입한 후 1990년대에 Z 대역을 삽입하고 마지막으로 Y 대역을 추가했지만 초기 정의를 변경하지 않았다.따라서, H는 그 이웃의 알파벳 순서에서 벗어난 반면, Z,Y는 현재의 광도 대역을 지배하는 알파벳 – 높은 파장 – 하위 계열에서 반전된다.
필터 편지 | 유효 파장 중간점 § 표준[2] 필터의 경우eff | 최대 절반의 전폭[2] [c] (archetypal Bandwidth)(대역폭)[d] | 변종 | 묘사 |
---|---|---|---|---|
자외선 | ||||
U | 365 nm | 66 nm | u, u', u* | "U"는 자외선을 나타냅니다. |
표시되다 | ||||
B | 445 nm | 94 nm | b | "B"는 파란색을 나타냅니다. |
G[3] | 464 nm | 128 nm | g' | "G"는 녹색을 나타냅니다. |
V | 551 nm | 88 nm | v, v' | "V"는 시각적인 것을 나타냅니다. |
R | 658 nm | 138 nm | r, r', R', Rc, Re, R, Rj | "R"은 빨간색이다. |
근적외선 | ||||
I | 806 nm | 149 nm | 아, 아, 아c, 아e, 아, 아j | "I"는 적외선을 나타냅니다. |
Z | 900 nm[4] | z, z' | ||
Y | 1020 nm | 120 nm | y | |
J | 1220 nm | 213 nm | J', Js | |
H | 1630 nm | 307 nm | ||
K | 2190 nm | 390 nm | K 연속체, K', Ks, Klong, K8, K, nbK | |
L | 3450 nm | 472 nm | L', nbL' | |
중적외선 | ||||
M | 4750 nm | 460 nm | M', nbM | |
N | 10500 nm | 2500 nm | ||
Q | 21000 nm[5] | 5800 nm[5] | Q' |
이러한 문자의 조합은 자주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JHK 조합은 "근적외선"의 동의어로 다소 사용되고 있으며 많은 [6]논문의 제목에 나타납니다.
사용되는 필터
필터는 현재 다른 망원경이나 조직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측정 단위:
이름. | 필터 | 링크 | ||||||||
---|---|---|---|---|---|---|---|---|---|---|
ESO 라실라의 2.2m 망원경 | J = 1.24μm | H = 1.63μm | K = 2.19 μm | L' = 3.78 μm | M = 4.66μm | N1 = 8.36μm | N2 = 9.67 μm | N3 = 12.89μm | ESO[7] 라실라의 2.2m 망원경 | |
2 매스 / 페어리텔 | J = 1.25μm | H = 1.65μm | Ks = 2.15μm | 2 Micron All-Sky 조사, Peters Automated InfraRed Imaging TELescope | ||||||
CFHTLS(메가캠) | u* = 374 nm | g' = 487 nm | r' = 625 nm | i' = 770 nm | z' = 890 nm | 캐나다-프랑스-하와이 망원경 | ||||
찬드라 X선 관측소 | LETG = 0.08 ~0.2 keV | HETG = 0.4 ~10 keV | 찬드라 X선 관측소 | |||||||
CTIO | J = 1.20 μm | H = 1.60μm | K = 2.20 μm | L = 3.50 μm | NOAO 산하 Cerro Tololo Inter-American Observatory | |||||
사촌 RI 측광학 | Rc = 647 nm | Ic = 786.5 nm | 사촌 RI 측광학, 1976년[8] | |||||||
다크 에너지 카메라 | g = 472.0 nm | r = 641.5 nm | i = 783.5 nm | z = 926.0 nm | Y = 1009.5 nm | 암흑 에너지[9] 조사 대역의 중심 파장 | ||||
데니스 | I = 0.79μm | J = 1.24μm | K = 2.16μm | 심층 근적외선 조사 | ||||||
에겐 RI 측광법 | Re = 635 nm | Ie = 790 nm | Egen RI 측광학, 1965년[10] | |||||||
FIS | N60 = 65.00μm | WIDE-S = 90.00μm | WIDE-L = 145.00μm | N160 = 160.00μm | 원적외선 탐사선, AKARI 우주망원경 탑재 | |||||
가이아 | G = 673 nm | GBP = 532 nm | GRP = 797 nm | GRVS = 860 nm | 가이아 (우주선)[11] | |||||
갈렉스[12] | NUV = 175 ~280 nm | FUV = 135 ~175 nm | GALaxy Evolution Explorer | |||||||
GOODS(허블 ACS) | B = 435 nm | V = 606 nm | i = 775 nm | z = 850 nm | 허블 우주 망원경 조사용 고급 카메라 | |||||
HAWC+ | 밴드 1 = 53 μm | 밴드 2 = 89 μm | 밴드 3 = 154 μm | 밴드 4 = 214 μm | SOFIA용[13] 고해상도 공중 광대역 카메라+ | |||||
HDF | 450 nm | 606 nm | 814 nm | 허블 우주 망원경의 허블 딥 필드 | ||||||
IRTF NSFCAM | J = 1.26μm | H = 1.62μm | K' = 2.12μm | Ks = 2.15μm | K = 2.21μm | L = 3.50 μm | L' = 3.78 μm | M' = 4.78 μm | M = 4.85μm | NASA 적외선 망원경 시설 NSFCAM[14] |
아이작 UTI/VLT[15] | Js = 1.2μm | H = 1.6 μm | Ks = 2.2μm | L = 3.78μm | Brα = 4.07μm | 초대형 망원경의 적외선 분광계 및 어레이 카메라 | ||||
존슨 시스템(UBV) | U = 364 nm | B = 442 nm | V = 540 nm | UBV 측광 방식 | ||||||
베라 C. 루빈 천문대(LST)[16] | u = 320.5 ~393.5 nm | g = 401.5 ~551.9 nm | r = 552.0 ~691.0 nm | i = 691.0 ~818.0 nm | z = 818.0 ~923.5 nm | y = 923.8 ~ 1084.5 nm | 베라 C. 루빈 천문대 | |||
OMC | Johnson V-filter = 500 ~580 nm | 옵티컬 모니터[17] 카메라(INTELCTION) | ||||||||
팬 스타 | g = 481 nm | r = 617 nm | i = 752 nm | z = 866 nm | y = 962 nm | 파노라마 조사 망원경 및 신속 응답 시스템[18] | ||||
ProNaOS/SPM | 밴드 1 = 180 ~240 μm | 밴드 2 = 240 ~160 μm | 대역 3 = 340 ~540 μm | 밴드 4 = 540 ~540 μm | PROgramme NAtional d'Observations Subillerétrique/Systéme Phototoétrique Multibande, 풍선 전달[19] 실험 | |||||
Sloan, SDSS | u' = 354 nm | g' = 475 nm | r' = 622 nm | i' = 763 nm | z' = 905 nm | Sloan Digital Sky Survey | ||||
스피릿 III | 밴드 B1 = 4.29μm | 밴드 B2 = 4.35μm | 밴드 A = 8.28 μm | 밴드 C = 12.13 μm | 밴드 D = 14.65 μm | 밴드 E = 21.34 μm | 중거리 우주 실험용[20] 적외선 카메라 | |||
스피처 IRAC | 3.6μm | 4.5μm | 5.8μm | 8.0μm | 스피처 우주 망원경의 적외선 어레이 카메라 | |||||
스피처 MIPS | 24μm | 70μm | 160μm | 스피처용 멀티밴드 이미징 광도계 | ||||||
스트롬빌 필터 | U = 345 nm | P = 374 nm | S = 405 nm | Y = 466 nm | Z = 516 nm | V = 544 nm | S = 656 nm | 스트롬빌 측광학 | ||
스트뢰그렌 필터 | u = 350 nm | v = 411 nm | b = 467 nm | y = 547 nm | β 협소 = 485.8 nm | β 폭 = 485 nm | 스트뢰그렌 광도계 | |||
UKIDSS(WFCAM) | Z = 882 nm | Y = 1031 nm | J = 1248 nm | H = 1631 nm | K = 2201 nm | UKIRT 적외선 심천 조사 | ||||
빌뉴스의 측광계 | U = 345 nm | P = 374 nm | X = 405 nm | Y = 466 nm | Z = 516 nm | V = 544 nm | S = 656 nm | 빌뉴스의 측광계 | ||
VISTA IRC | Z = 0.88μm | Y = 1.02μm | J = 1.25μm | H = 1.65μm | Ks = 2.20 μm | NB1.18 = 1.18 μm | 천문용 가시 및 적외선 조사 망원경 | |||
지혜로운 | 3.4μm | 4.6μm | 12μm | 22μm | 와이드필드 적외선 조사 탐색기 | |||||
XMM-Newton OM | UVW2 = 212 nm | UVM2 = 231 nm | UVW1 = 291 nm | U = 344 nm | B = 450 nm | V = 543 nm | XMM-Newton 광학/UV[21] 모니터 | |||
XEST 조사 | UVW2 = 212 nm | UVM2 = 231 nm | UVW1 = 291 nm | U = 344 nm | B = 450 nm | V = 543 nm | J = 1.25μm | H = 1.65μm | Ks = 2.15μm | XMM-Newton[22] OM을 사용한 2MASS의 포인트 소스도 조사 대상입니다. |
「 」를 참조해 주세요.
참고 자료 및 각주
- ^ 스펙트럼 색상
- ^ a b Binney, J.; Merrifield M. Galactic Astronom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2.3.2장, 53페이지
- ^ Bessell, Michael S. (September 2005). "Standard Photometric Systems" (PDF). Annual Review of Astronomy and Astrophysics. 43 (1): 293–336. Bibcode:2005ARA&A..43..293B. doi:10.1146/annurev.astro.41.082801.100251. ISSN 0066-4146.
- ^ Gouda, N.; Yano, T.; Kobayashi, Y.; Yamada, Y.; et al. (23 May 2005). "JASMINE: Japan Astrometry Satellite Mission for INfrared Exploration".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Union. 2004 (IAUC196): 455–468. Bibcode:2005tvnv.conf..455G. doi:10.1017/S1743921305001614. S2CID 123261288.
z-band: 0.9 μm
- ^ a b [1] 지구물리학 및 우주환경 핸드북 1985, 공군 지구물리학연구소, 1985, ed.Adolph S. Jursa, 25장, 표 25-1
- ^ Monson, Andrew J.; Pierce, Michael J. (2011). "Near-Infrared (Jhk) Photometry of 131 Northern Galactic Classical Cepheid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193 (1): 12. Bibcode:2011ApJS..193...12M. doi:10.1088/0067-0049/193/1/12. "근적외선"에 J를 사용하는 예
- ^ 카멜레온 I의 먹구름과 T-결합에 관한 연구. II – 고해상도 IRAS 맵은 HD 97048 및 97300, Assendorp, R., Weselius, P.R., Prusti, T., Whitet, D.B., 1990을 중심으로 합니다.
- ^ ADPS
- ^ DES
- ^ ADPS
- ^ Jordi, C.; Gebran, M.; Carrasco, J. M.; de Bruijne, J.; Voss, H.; Fabricius, C.; Knude, J.; Vallenari, A.; Kohley, R.; Mora, A. (2010). "Gaia broad band photometry". Astronomy and Astrophysics. 523: A48. arXiv:1008.0815. Bibcode:2010A&A...523A..48J. doi:10.1051/0004-6361/201015441. S2CID 34033669.
- ^ "GALEX Instrument Summary". Goddard Space Flight Center. Retrieved 5 June 2019.
- ^ "HAW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8-03-13. Retrieved 2008-05-25.
- ^ NSFCAM
- ^ "ISAAC Overview". Paranal Instrumentation. ESO. Retrieved 13 October 2011.
- ^ https://github.com/lsst/throughputs/blob/master/baseline/ 에서 취득한LST 필터의 특성(filter_X.dat 파일 참조)은, 송신 피크수의 절반으로 제한됩니다.
- ^ 통합에 대해서
- ^ Pan-STARRS1 광도계, Tonry 등 2012
- ^ PRONAOS/SPM 서브밀리미터 광도계 보정, F.파조트 외 2006년
- ^ MSXPSC – Midcourse Space Experiment (MSX) 포인트소스 카탈로그, V2.3
- ^ XMM-Newton 사용자 핸드북 제3.5.3.1장
- ^ 황소자리 분자 구름의 XMM-뉴턴 광학 모니터 조사, M.Audard 외 2006년
외부 링크
- 존슨, H. L.; 모건, W. W.(1953), 여키스 스펙트럼 아틀라스 개정 시스템에 대한 스펙트럼 유형 표준 기본 항성 측광학, The Astrophysical Journal, vol. 117, 페이지 313–352 [2]
- 광도계에 관한 아시아고 데이터베이스
- 마이클 S.Besell (2005), 표준 광도계 시스템, 천문 및 천체물리학 연례 검토 제43권, 페이지 293–336
- 인근 거대 항성 형성 지역 IRAS 09002-4732, 아파이, 린츠, H., 헤닝, 테츠, 스테클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