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아테스 5세
Phraates V프라아테스 5세 | |
---|---|
대왕, 왕왕, 아르사케스 | |
![]() | |
파르티아 제국의 왕 | |
군림하다 | 기원전 2년 – AD 4년 |
전임자 | 프라아테스 4세 |
후계자 | 오로데스 3세 |
코룰러 | 무사(BC 2 – AD 4) |
태어난 | c.기원전 19년 |
죽은 | 서기 1세기 |
아버지 | 프라아테스 4세 |
어머니 | 무사 |
종교 | 조로아스터교 |
프라아테스 5세(파르티아어: :𐭓𐭇𐭕 프라하트)는 그의 이름인 프라아타케스(Praataces, 또한 프라타케스로도 표기됨)의 약칭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기원전 2년부터 AD 4년까지 파르티아 제국의 왕중왕이었다.그는 프라아테스 4세(r.기원전 37년 – 기원전 2년)와 그와 함께 통치한 무사(武士)의 작은 아들이었다.
프라아테스 5세 휘하에서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의 지배를 둘러싸고 파르티아와 로마 제국 사이에 전쟁이 발발할 위기에 처했다.아우구스투스 r.(기원전 27년 – AD 14년)는 그의 양아들 가이우스 카이사르를 보내 이란을 침공하게 하였지만, 서기 1년에 양측은 평화 조약을 맺는데 동의했고, 이 조약을 통해 아르메니아는 다시 한번 로마권에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다.프라아테스 5세는 그 답례로 그 나라에서의 불안정한 지위 때문에 자신에게 매우 중요한 정당한 파르티아 왕으로 인정받았다.서기 4년 프라아테스 5세와 그의 어머니는 오로데스 3세를 왕으로 추대했던 파르티아 귀족들에 의해 추방된 후 로마로 도망쳤다.
이름
프라타츠(Praahts, αραάηηη)는 고대 이란인 *프라하타("gained, geted")에서 온 그리스어 형식이다.[1]현대 페르시아어 버전은 파르하드(Parhad, فراد)이다.[2]프라아테스 5세는 "작은 프라아테스"라는 뜻의 그의 이름인 프라아타케스(Praataces, فرهدک)의 약칭으로 정기적으로 알려져 있었다.[3]
배경
그 Phraates 4세(r. 37–2 BC)의 기원전 20년에 로마인들은 Phraates 4세가 조약 이후 누구인지 원래 이탈리아 slave-girl 그에게 로마 황제에 의해 아우구스투스(r. 기원전 27년 – 14AD) 주어진 Phraates V아들이자 그의 로마 부인 무사, 그들이 잃어버린 군단의 병사 기준 Carrhae에서 기원전 53년에서 찍은 대가, 뿐만 아니라 어떠한에서 그의 납치된 아들이다.에 입각하여.전쟁 포로 수용소 [4]수용소파르티아인들은 이 교환을 왕자를 되찾기 위해 지불해야 할 작은 대가라고 보았다.[5]무사(Musa)는 기원전 19년 프라아타케스(Praates V)를 낳으면서 순식간에 여왕이자 프라아테스 4세의 총애를 받게 되었다.[6]기원전 10/9년 프라아테스 4세는 자신의 후계 갈등을 막기 위해 4명의 맏아들을 로마로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7]기원전 2년, 무사에게는 파르티아 제국의 공동 통치자인 프라아테스 5세와 함께 프라아테스 4세가 독살되고 스스로 만들어지게 했다.[8]1세기 로마 역사학자 요셉푸스에 따르면 무사가 아들과 성관계를 즐겼다는 소문을 들었다.[9]이것과 프라아테스 5세와의 무사 동전은 두 사람이 결혼한 것으로 일부 학자들이 믿게 되었다.[10]그러나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증거는 없다; 파르티아인 하에서도, 페르시아의 전임자인 아케메네스족도 부모와 자식 사이에 결혼이 실행되었다는 믿을 만한 증거가 없다.[11]
군림하다
프라우테스 5세는 즉위하면서 아르메니아와 메소포타미아를 둘러싼 파르티아인과 로마인 사이의 오랜 분쟁을 이어받았다.[12]그 결과 아우구스투스는 양아들 가이우스 카이사르 휘하의 군대를 파견하여 두 지역을 점령하였다.[12]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그들은 프라아테스 5세의 특사를 만났는데, 그들은 왕의 형제들을 그에게 돌려보내 줄 것을 요구했다.[12]아우구스투스는 프라아테스 5세에게 보낸 편지에 조롱 섞인 답장을 썼는데, 그것은 그를 단순히 "프라아테스"[12]라고만 불렀다.그는 프라아테스가 자신의 왕관을 포기하고 아르메니아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포기할 것을 요구했다.[12]로마의 고전사학자 카시우스 디오에 따르면 프라아테스 5세는 겁먹지 않고 "일반적으로 거만한 어조로 왕들의 왕을 스타일링하고 아우구스투스를 단순히 카이사르처럼 대한다"[12]고 대꾸했다.
궁극적으로 두 강대국은 외교를 통해 타협하기로 합의했다: 서기 1년에 평화 협정이 합의되어 아르메니아는 로마의 속국이 되었고, 로마는 파르티아 제국을 동등하게, 프라아테스 5세는 정당한 통치자로 인정하기로 합의했다.[13]프라아테스 5세는 로마에서 불안한 국내 지위로 인해 로마인들에게 인정을 받은 것이 중요했다.[14]그러나 이 전략은 역효과를 낳았다.서기 4년, 이미 왕위를 점령한 이탈리아 노예 소녀의 아들에게 불만을 품고 있던 파르티아 귀족들은 아르메니아에서 로마식 초체레인을 인정하여 프라아테스 5세와 무사를 파르티아 왕좌에서 내쫓은 것에 더욱 분노하였다.두 사람 모두 로마로 달아났고, 그곳에서 아우구스투스는 그들을 환영했다.[15]그 후 파르티아 귀족들은 오로데스 3세를 왕좌에 앉혔다.[16]
코네이지

프라아테스 V의 후기 역전 동전은 파르티아 동전 주조장에서 흔히 볼 수 있던 사각형 전설과는 달리, 어머니 무사에게 "천국"이라는 원형의 전설이 붙어 있는 이미지를 두드러지게 지니고 있다.[17][18]나아가 바실리사("여왕")라는 칭호도 그녀에게 주어지는데, 이 호칭은 헬레니즘 시대에 왕의 아내뿐만 아니라 다른 왕실 여성들도 반드시 사용하였다.[19]그의 아버지처럼 프라아테스 V의 전복된 동전은 그리스 여신 나이키가 반지와 디아뎀을 머리 뒤에 들고 있는 모습을 묘사하고 있다.[20]파르티아 시대에 이란 사람들은 그들의 신성한 모습을 묘사하기 위해 헬레니즘 우상화를 사용했기 때문에,[21][22] 이 인물은 아베스탄 크바레나, 즉 킹리 영광과 연관될 수 있다.[23]드물게 그의 동전의 뒷면에는 불사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24]마찬가지로, 그의 동전에 쓰인 프라우테스 5세의 호칭은 그의 아버지의 호칭인 "왕들의 왕, 아르사케스, 저스트, 은인, 일러스트리어스, 필헬렌"[25]과 똑같았다.
참조
- ^ 슈미트 2005.
- ^ 기아 2016 페이지 160.
- ^ 리처드슨 2012, 페이지 161; Marciak 2017, 페이지 349
- ^ Garthwaite 2005, 페이지 80; Strgnell 2006, 페이지 251–252 참조
- ^ 비바르 1983, 페이지 66–67.
- ^ 기아 2016, 페이지 198; Schippmann 1986, 페이지 525–536; 빅우드 2004, 페이지 39–40; Strugnell 2008, 페이지 289(주 53 참조)
- ^ 기아 2016, 페이지 198; Dąbrowa 2012, 페이지 173; Schippmann 1986, 페이지 525–536
- ^ 기아 2016, 페이지 199; 리처드슨 2012, 페이지 161
- ^ 빅우드 2004, 페이지 44.
- ^ 빅우드 2004, 페이지 43-44.
- ^ 빅우드 2004, 페이지 44–45.
- ^ a b c d e f 기아 2016 페이지 199.
- ^ 기아 2016, 페이지 199; Dąbrowa 2012, 페이지 173
- ^ Dbrowbrowa 2012, 페이지 173.
- ^ Strugnell 2008, 페이지 292, 294–295; Marciak 2017, 페이지 378
- ^ 기아 2016, 페이지 199; Dąbrowa 2012, 페이지 174
- ^ 레자카니 2013, 페이지 771.
- ^ 빅우드 2004, 페이지 57.
- ^ 빅우드 2004, 페이지 40, 44, 48, 61
- ^ 커티스 2012, 페이지 72.
- ^ 커티스 2012, 76-77페이지.
- ^ 보이스 1984, 페이지 82.
- ^ 커티스 2012, 페이지 71.
- ^ 올브리히트 2016, 페이지 96.
- ^ 빅우드 2004, 페이지 60.
원천
- Bigwood, J. M. (2004). "Queen Mousa, Mother and Wife(?) of King Phraatakes of Parthia: A Re-evaluation of the Evidence". Journal of the Classical Association of Canada. Project Muse. 4 (1): 35–70. doi:10.1353/mou.2004.0027. S2CID 164436127.
- Boyce, Mary (1984). Zoroastrians: Their Religious Beliefs and Practices. Psychology Press. pp. 1–252. ISBN 9780415239028.
- Bivar, A.D.H. (1983). "The Political History of Iran Under the Arsacids". In Yarshater, Ehsan (ed.). The Cambridge History of Iran, Volume 3(1): The Seleucid, Parthian and Sasanian Period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21–99. ISBN 0-521-20092-X.
- Curtis, Vesta Sarkhosh (2012). "Parthian coins: Kingship and Divine Glory". The Parthian Empire and its Religions. pp. 67–83. ISBN 9783940598134.
- Dąbrowa, Edward (2012). "The Arsacid Empire". In Daryaee, Touraj (ed.). The Oxford Handbook of Iranian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pp. 1–432. ISBN 978-0-19-987575-7.
- Garthwaite, Gene Ralph (2005), The Persians, Oxford & Carlton: Blackwell Publishing, Ltd., ISBN 978-1-55786-860-2
- Kia, Mehrdad (2016). The Persian Empire: A Historical Encyclopedia [2 volumes]. ABC-CLIO. ISBN 978-1610693912.
- Marciak, Michał (2017). Sophene, Gordyene, and Adiabene: Three Regna Minora of Northern Mesopotamia Between East and West. BRILL. ISBN 9789004350724.
- Olbrycht, Marek Jan (2016). "The Sacral Kingship of the early Arsacids I. Fire Cult and Kingly Glory". Anabasis: Studia Classica et Orientalia. 7: 91–106.
- Rezakhani, Khodadad (2013). "Arsacid, Elymaean, and Persid Coinage". In Potts, Daniel T. (ed.). The Oxford Handbook of Ancient Iran.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733309.
- Richardson, J.S. (2012). Augustan Rome 44 BC to AD 14: The Restoration of the Republic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pire. Edinburgh University Press. ISBN 978-0-7486-1954-2.
- Schippmann, K. (1986). "Arsacids ii. The Arsacid dynasty". Encyclopaedia Iranica, Vol. II, Fasc. 5. pp. 525–536.
- Schmitt, Rüdiger (2005). "Personal Names, Iranian iv. Parthian Period". Encyclopaedia Iranica.
- Strugnell, Emma (2006), "Ventidius' Parthian War: Rome's Forgotten Eastern Triumph", Acta Antiqua, 46 (3): 239–252, doi:10.1556/AAnt.46.2006.3.3
- Strugnell, Emma (2008). "Thea Musa, Roman Queen of Parthia". Iranica Antiqua. 43: 275–298. doi:10.2143/IA.43.0.20240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