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케넘

Picenum
1911년 윌리엄 R.의 아틀라스에서 나온 아우구스투스의 레지오 5세 피케넘. 셰퍼드.

피케넘은 고대 이탈리아의 한 지역이었다.그 이름은 로마인들이 그것을 정복하고 로마 공화국에 편입시킨 익명으로 붙여졌다.피케넘은 로마 이탈리아의 아우구스탄 영토 조직의 레지오 5세였다.피케넘은 또한 폼페이 대제와 그의 아버지 폼페이우스 스트라보같은 로마의 유명 인사들의 출생지이기도 했다.그것은 현재의 마르체아브루초 북부 지역에 위치해 있었다.피케니족이나 피켄테스족은 피케넘의 원주민들이었지만, 그들은 통일된 민족성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그들은 큐프라 여신을 기리기 위해 큐프라 마리티마에 종교 센터를 유지했습니다.

역사 지리학

피케넘과 피켄테스는 로마의 지리학자들에 의해 상세하게 묘사되었다.

스트라보

Strabo는 Aesis 강 하구에서 남쪽으로부터 Truentinus 강 하구의 Castrum까지 피케넘을 배치하고 있으며, 이는 185m/stadion을 사용하여 148km(92mi)이다.북쪽에서 남쪽으로 안코나, Auxumum, Septempeda(San Severino Marche), Pneuentia, Potentia, 카스텔룸(포르토 페르모), 큐프라 마리티마(큐프라 마리티마그로탐마레)를 포함한 도시(트루멘티누스 강)이것은 해안 지역사회의 목록입니다.Strabo는 또한 아드리아(이탈리아 아트리)와 아스큘럼 피케넘(아스콜리 피케노)을 내지에 언급하고 있다.피케넘 내륙의 폭은 불규칙적으로 변한다고 그는 말한다.[1]

역사

철기 시대 초기에 처음 [2]정착한 피케넘은 나중에 이탈리아의 11개 구역 중 하나가 되었다.이 지역의 3개 내륙 마을은 도시 배치를 가지고 있고 경제적으로 성공한 것처럼 보였기 때문에, 이 지역이 [3]후년에 쇠퇴한 원인은 알려지지 않았다.리버니아인들은 철기 시대 초기부터 아드리아해 서부 해안, 특히 피케넘 지역에 식민지를 가지고 있었다.9세기부터 6세기까지 아드리아해에는 일정한 코인-문화적 통합이 있었고, 리버니난 장군은 수세기 동안 아드리아해에서 해군의 우위가 정치 및 경제적 권위를 의미했습니다.

기원전 268년에 아피우스 클라우디우스 러수스와 푸블리우스 셈프로니우스 소푸스는 피케넘에 대한 집게 수술을 했다.당시 로마의 동맹이었던 피켄테스는 [4]반란을 일으켰다.인구의 일부는 추방되었고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투표권 없이 로마 시민권을 받았다.따라서 피케넘은 동맹도시로 여겨졌던 오스쿨룸시를 제외하고 합병되었다.그녀를 통제하기 위해, 피르뭄의 식민지는 기원전 264년 근처에 세워졌다.

폴리비우스(역사 2:21)에 따르면, 마르쿠스 아이밀리우스 레피두스(기원전 232년)의 집정관 시절, "로마인들은 그들이 세노네를 정복했을 때 거기에서 쫓아냈던 피케넘으로 알려진 갈리아에 있는 영토를 시민들 사이에 나누었다.

피케넘은 포에니 전쟁 동안 한니발에 맞서 로마 편을 든 것으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그것은 또한 사회 전쟁 기간 동안 로마의 기지가 되었다.어떤 피켄테스는 전쟁에서 로마에 충성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로마 시민권을 [5]위해 그들과 싸웠다.모든 피켄테스는 전쟁이 끝난 후 완전한 로마 시민권을 부여받았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칙령에는 피케눔의 와인이 팔레노와 [6]함께 가장 비싼 와인으로 간주된다고 언급되어 있다.비눔 하드리아눔은 하트리아 또는 아트리의 옛 이름인 하드리아에 있는 [7]피케넘에서 제작되었다.이것은 또한 플리니가 몇몇 다른 [8]와인들과 함께 높은 등급의 와인 중 하나로 여겨졌던 것과 같은 와인입니다.

문화

19세기 후반에 피케넘에서 행해진 발굴은 철기 시대의 그 지역에 대한 통찰력을 준다.몰로니 묘지와 서비스리 묘지의 노빌라라 묘지에서 발굴된 무덤은 피케니족이 평생 [9]입었던 옷으로 몸을 감싼 채 땅에 묻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사들은 헬멧, 무기, 음식과 음료를 위한 그릇과 함께 땅에 묻힐 것이다.묻힌 구슬, 뼈, 피불래, 호박은 아드리아해 연안, 특히 호박과 유리 페이스트 비즈 밭에서 9세기에서 10세기에 활발한 거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여성의 무덤에는 청동과 [10]철로 만든 장식품들이 많이 있다.

이 물건들의 기원은 또한 피케니족이 개발을 [11]위해 남쪽과 동쪽을 바라봤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사 무덤은 피케니족이 전쟁을 좋아하는 민족이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같다.모든 사람의 무덤에는 어느 정도 완전한 전사 복장이 들어있었고, 가장 흔한 무기는 창이었다.피케니 칼은 [12]발칸반도에서 수입된 것으로 보인다.

언어들

이탤릭 알파벳의 특이한 버전으로 쓰인 사우스 피케네는 오스칸어도 움브리아어도 아닌 사벨어족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해독되지 않은 북피케인은 고대 이탈리아어 알파벳의 형태로 쓰여져 있어 아마도 관련이 없을 것이며, 현재 인도유럽어는 아닌 것으로 일반적으로 추정된다.

레지오 5세의 도시

플리니우스가 그내추럴리스 히스토리아에서 보고한 바와 같이, 24개의 도시가 레지오 [13]5세에 속했습니다.

레지오 5세 도시
라틴어 이름 모던 네임 모던 리젼 트리브★
안코나 안코나 마슈 레모니아
아스큘럼 아스콜리 피케노 마슈 파비아
옥시멈 오시모 마슈 벨리나
베레그라 치비텔라 델 트론토 또는 몬토리오 알 보마노 근처 아브루초
캐스트럼 노붐 줄리아노바 근처 아브루초 빠삐리아
카스트럼 트루엔티넘 마틴시쿠로 아브루초
징굴럼 싱골리 마슈 벨리나
쿠루아나 치비타노바 마르체 마슈
큐프라 마리티마 큐프라 마리티마 인근(그로탐마레) 마슈 벨리나
큐프라 몬태나 주 쿠프라몬타나의 산테루테리오 근처 마슈 벨리나
팔레리오 팔로네 근방 마슈 벨리나
피케넘 [14] 페르모 마슈 벨리나
하드리아 아트리 아브루초 마키아
인터암니아 테라모 아브루초 벨리나
노바나 미지의, 아마 아소 계곡에서 마슈
누마나 누마나 마슈
파우술레 코리도니아 산 클라우디오 알 친티 인근 마슈 벨리나
플라니나 산비토레 디 싱골리 인근 마슈 벨리나
전위차 산타 마리아 아 포텐자 근처, 포르토 레카나티 마슈 벨리나
리치나 마세라타 주, 빌라 포텐자 마슈 벨리나
셉템페다 산세베리노 마르체 마슈 벨리나
톨렌티눔 톨렌티노 마슈 벨리나
트레아 트레이아 근처 마슈 벨리나
우르브 살비아 우르비사글리아 근방 마슈 벨리나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Strabo, 제5권, 제4장, 섹션 1-2.
  2. ^ Vermeulen, F.: "포텐자 계곡의 도시화 연구에 대한 항공사진과 현장조사의 공헌." 57-82페이지.레니 필로게의 기록입니다
  3. ^ Vermeulen, F.: "포텐자 계곡의 도시화 연구에 대한 항공사진과 현장조사의 공헌." 57-82페이지.레니 필로게의 기록입니다
  4. ^ 플로루스, 로마사 개요, I.19
  5. ^ Scullard, HH (1970), From the Gracchi to Nero, London: Methuen & Co. Ltd
  6. ^ "The Common People of Ancient Rome, by Frank Frost Abbott". www.gutenberg.org. Retrieved 2020-03-18.
  7. ^ Dalby, Andrew (2013-04-15). Food in the Ancient World from A to Z. Routledge. p. 171. ISBN 978-1-135-95422-2.
  8. ^ Sandler, Merton; Pinder, Roger (2002-12-19). Wine: A Scientific Exploration. CRC Press. p. 66. ISBN 978-0-203-36138-2.
  9. ^ 랜달-맥시버 1927, 105쪽
  10. ^ 랜달-맥시버 1927, 130페이지
  11. ^ 랜달-맥시버 1927, 120페이지
  12. ^ 랜달-맥시버 1927, 페이지 122
  13. ^ Archologia nelle Marche, Mario Luni, 2003, 136, ISBN 88-392-0744-9.
  14. ^ STRABONE, Chr. estomathiae, 241(ROCCI, Vocabolario Greco-Italiano, Citta di Castello, 1974, pag 1969).

참고 문헌

외부 링크

  • Pastore, Paolo. "Piceni" (in Italian). Inwind. Retrieved 28 August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