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어스 버틀러

Pierce Butler
피어스 버틀러
Pierce butler.jpg
미국 상원의원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
재직중
1789년 3월 4일 – 1796년 10월 25일
선행자취임식홀더
성공자존 헌터
재직중
1802년 11월 4일 – 1804년 11월 21일
선행자존 E. 콜훈
성공자존 게이야드
사우스캐롤라이나에서 연방의회까지 대표
재직중
1787년 5월 25일 – 1787년 9월 17일
개인내역
태어난(1744-07-11)1744년 7월 11일
아일랜드 왕국 카를로 카운티 개런던
죽은1822년 2월 15일(1822-02-15) (77세)
펜실베이니아필라델피아
휴게소필라델피아 주 크리스티앙 성공회 및 처치야드
정당연방주의자, 민주 공화국
배우자메리 미들턴
아이들.8
상위 항목제5대 남작 리처드 버틀러 경
헨리에타 퍼시
직업군인, 플랜터
병역
얼리전스 대영제국
미국
지점/서비스 영국 육군
사우스캐롤라이나 민병대
순위부관장군
메이저(콤배트 순위)
전투/와이어미국 독립 전쟁

피어스 버틀러(Pierce Butler, 1744년 7월 11일 ~ 1822년 2월 15일)는 아일랜드계[1]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의 쌀 플랜터, 노예주, 정치가, 혁명전쟁의 장교, 미국의 건국의 아버지 중 한 사람이었다. 주 국회의원, 연방의회 의원, 미국 헌법에 서명한 1787년 헌법회의 대의원을 지냈으며, 미국 상원의원을 지냈다.

미국에서 가장 큰 노예 소유자들 중 한 명으로서, 그는 비록 그가 그 기관과 특히 아프리카 노예 무역에 대해 사적인 우려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그리고 개인적인 동기 모두를 위해 미국의 노예 제도를 옹호했다. 그는 노예소유자의 재산권에 연방 보장을 해준 미국 헌법 초안에 '도망 노예 조항'을 도입했다. 그는 의회의 분배를 위해 전체 노예 인구를 주 총계로 계산하는 것을 지지했다. 헌법의 5분의 3 절충안은 노예 인구의 5분의 3만을 주 총수로 계산했지만 여전히 미국 의회에서 남부 주들이 불균형한 권력을 갖게 했다.

초년기

버틀러는 1744년 7월 11일 아일랜드 캐럴로 카운티 카룬던에서 태어났다. 그는 앵글로-이리쉬 개신교 신도에서 태어났다. 그는 미국 혁명 이후까지 성공회 신자였으며, 그는 미국의 많은 건국의 아버지들과 함께 성공회의 일원이 되었다. 그는 클로그레난(1699–1771)의 5대 남작 리처드 버틀러 경과 그의 아내 헨리에타 퍼시의 셋째 아들이었다. 그는 1773년 영국 육군에서 장교직을 사임하고 그의 아내 메리와 함께 사우스 캐롤라이나에 정착했다.

혁명전사병

1779년 초, 존 러트리지 주지사는 전 레드코트에게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방어 체계를 재정비하는 것을 도와달라고 요청했다. 버틀러는 준장 계급을 짊어진 직책인 주 부사령관의 직책을 맡았다. 그는 자신의 최고 전투 계급인 소령으로 언급되는 것을 선호했다.[2]

한편 영국은 전쟁 전략을 전환하고 있었다. 1778년까지, 조지 3세와 그의 장관들은 식민지에서 새로운 군사 상황에 직면했다. 북쪽과 중간 식민지에서의 그들의 군대는 워싱턴대륙과 교착상태에 빠졌고, 보다 적절하게 공급되고, 밸리 포저에서 힘든 겨울을 보낸 후에 더 잘 훈련되었다. 프랑스가 미국의 동반자로서 전쟁에 돌입할 위험이 있었다. 영국은 "남쪽 전략"을 개발했다. 그들은 (영국인들이 목화, , 담배를 통해 활발한 무역을 한) 남부 주의 많은 충성파들이 정규군의 지원을 받으면 왕국으로 집결할 것이라고 믿었다. 그들은 그루지야에서 북쪽으로 이동하면서 반란군 식민지의 정복을 계획했다. 이들은 1778년 12월 사바나를 사로잡으며 새로운 전략을 시작했다.[2]

버틀러는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민병대를 동원하여 위협받는 영국의 침공을 진압했다. 이후 그는 역습에 동원된 주 부대가 조지아에서 적을 몰아낼 준비를 도왔다. 사바나에 대한 공격 미수로 절정을 이룬 이 작전 동안 버틀러는 라클란 매킨토시 장군의 자원 봉사 보좌관으로 활동했다. 성급하게 기르고 준비가 허술한 민병대는 잘 훈련된 영국 정규군과 겨룰 수 없었고, 사바나를 구제하려는 패트리어츠의 노력은 실패로 끝났다.[2]

1780년, 영국은 사우스 캐롤라이나의 찰스턴을 점령했고, 그와 함께 식민지의 민정부와 군대의 대부분을 점령했다. 버틀러는 일부러 도시 외곽에 위치한 지휘부의 일원으로서 탈출했다. 이후 2년 동안 적의 남작전을 격퇴하기 위한 대항전략을 전개했다. 항복을 거부하면서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동맹국들과 조지아와 노스캐롤라이나의 점령지에서는 저항운동을 조직하였다. 버틀러는 부관장으로서 프랜시스 마리온, 토마스 섬터 등 민병대와 대륙군 참전용사들과 함께 빨치산 활동을 통합 캠페인으로 통합했다. 그들은 호라시오 게이츠와 후에 나타나엘 그린의 지휘 아래 남군의 작전과 연합했다.[2]

전직 왕실 장교로서 버틀러는 영국 점령군의 특별한 목표물이었다. 몇 번이나 그는 간신히 포획을 피했다. 남부 전역의 마무리 단계 내내, 그는 미군 유지에 도움을 주기 위해 직접 현금과 물자를 기부했고 전쟁 포로 수용 시설의 관리를 도왔다.[2]

정치인

혁명전쟁의 마지막 달 동안의 군사작전으로 버틀러는 가난한 사람이 되었다. 그의 많은 농장과 배들이 파괴되었고, 그의 수입의 대다수가 의존하고 있는 국제 무역은 난장판이었다. 그는 차관을 확보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노력으로 전쟁이 끝나자 유럽을 여행했다. 그는 아들 토마스를 위든 버틀러가 운영하는 런던 학교에 입학시켰고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있는 자신의 성공회 교회를 위해 영국 성직자들 사이에서 새로운 목사를 고용했다.[2][3]

1785년 말에 버틀러는 미국으로 돌아왔다. 그는 이전의 충성파들과의 화해와 후방의 주민들에게 동등한 대표성을 주장하는 노골적인 주창자가 되었다. 사우스캐롤라이나 주 의회는 버틀러에게 1787년 필라델피아에서 열린 헌법회의에서 국가를 대표해 줄 것을 요청했다.[2] 그는 전당대회에서 대통령에게 전쟁 개시 권한을 부여할 것을 촉구했으나, 그는 그의 발의에 대해 두 번째 지지자를 받지 못했고, 다른 대의원들은 압도적으로 그의 제안을 거절했다.[4][5]

버틀러는 군인이자 평면 입법자로써의 경험은 강력한 국가 연합에 대한 그의 강력한 지지로 이어졌다. 동시에 자기 지역의 특수한 이익에 주목했다. 그는 헌법에 노예에 대한 보호를 규정한 도망 노예 조항(4조 2항)을 도입했다.[2] 또 아프리카 노예의 국제무역을 사적으로 비판하면서도 20년간 무역규제를 금지한 헌법의 통과를 지지했다. 그는 의회의 분배를 목적으로 노예 총수를 미국 전체로 세는 것을 주장했지만, 그 목적을 위해 노예의 5분의 3을 세는 데 타협했다.[6] 그것은 남부의 플랜터 엘리트들이 수십 년 동안 국가 정치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것을 확실히 했다.

버틀러는 동료들을 괴롭히는 모순을 보였다. 그는 헌법의 비준을 선호했지만 아직 그것을 비준한 사우스캐롤라이나 회의에 참석하지 않았다. 후에, 그는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의회에 의해 미국 상원에서 3개의 별도 임기로 선출되었으나, 당의 충성을 바꾸었다: 연방주의자로 시작하여 1795년에 제퍼슨 정당으로 바꾸었다. 1804년, 그는 스스로 정치적 독립을 선언했다.[2] 이런 연이은 변화 후에도 유권자들은 버틀러를 다시 국직에 선출하지 않았다. 그들은 서방을 대표하여 연설한 부활절 인사로 그를 주 의회에 세 번 더 선출했다.[7]

아론 버러 부통령은 버틀러의 세인트루이스의 손님이었다. 1804년 9월 시몬스 농장. 당시 버어는 1804년 7월 알렉산더 해밀턴결투에서 총격을 가한 뒤 몸을 낮게 드러누운 상태였다. 뉴욕 주와 뉴저지 주는 듀엘 이후의 논란으로 인해 각각 부통령을 살인 혐의로 기소했다. 버어는 8월 동안 버틀러 농장까지 버틀러의 감독자 이름인 로즈웰 킹이라는 필명으로 여행을 했었다. 버어가 9월 초에 머무르는 동안 역사상 최악의 허리케인이 이 지역을 강타했고 버어의 직접 묘사는 그의 체류와 이 사건을 모두 기록한다.[8]

말년에, 포스트 정치.

1790년 아내의 죽음 이후 버틀러는 사우스캐롤라이나의 마지막 지분을 매각하고 조지아 시 아일랜드 농장에 투자했다. 버틀러는 로즈웰 킹세인트루이스에 있는 그의 두 농장의 관리인으로 고용했다. 사이먼스 섬과 버틀러. 버틀러가 킹의 스타일보다 더 온건한 노예 대우를 원했기 때문에 그들은 약간의 갈등을 겪었다. 킹은 1820년에 다리엔 근처의 자신의 농장을 운영하기 위해 떠났다. 그는 또한 1830년대에 조지아 주 피에몬트에 면화 공장을 개발하기 위한 계획을 추진했고, 그곳에서 1839년에 조지아 로즈웰이 된 것을 설립했다.

미국 필라델피아 주 NW 코너 8 & 체스트넛 세인트 버틀러 하우스(파괴 1857년)

버틀러는 1805년 정계를 은퇴하고 상당 시간을 그가 이전에 여름 별장을 세운 필라델피아에서 보냈다. 버틀러는 그의 사업을 통해 몇몇 주에 막대한 토지를 소유하고 있는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 되었다. 버틀러도 자기 지역의 다른 건국의 아버지들처럼 노예 제도를 계속 지지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워싱턴이나 토마스 제퍼슨과 달리 버틀러는 국민의 자유를 옹호하고 노예제도를 지원하는 근본적인 모순을 결코 인정하지 않았다.

어소시에이트들은 버틀러를 "괴짜"와 "에니그마"라고 불렀다. 그는 시민으로 분류된 개인들에 대한 최대의 자유와 존경을 생산하기 위해 자신의 길을 따랐다. 그는 강력한 중앙정부를 유지하고 싶었지만 결코 민간인의 권리에 대해 난폭한 짓을 할 수 없는 정부를 유지하기를 원했다. 그는 알렉산더 해밀턴 휘하의 연방주의자들이 서양인들의 이익을 희생하고 그들의 정책을 반대파에게 강요하려 했다고 믿었기 때문에 반대했다. 그는 나중에 같은 이유로 제퍼슨과 민주당원들과 결별했다. 버틀러는 평민의 역할에 대한 신념을 강조했다. 말년에 그는 자신의 견해를 정리했다. "우리 시스템은 실험의 문제보다 조금 낫다. ... 많은 것이 일반 사람들의 도덕과 매너에 달려있다."[9]

가족

피어스 버틀러의 국장

1771년 1월 버틀러는 메리 미들턴(c. 1750–1790)과 결혼했다. 그녀는 사우스캐롤라이나의 플랜터이자 노예 수입업자였던 토마스 미들턴의 고아가 된 딸로 많은 재산을 상속받았다. 이 커플은 8명의 자녀를 두었다.

  • 세라 버틀러 (1772–1831)는 1800년 필라델피아의 제임스 메이스와 결혼했다.
  • 앤 엘리자베스 버틀러 (1771년–1845년), 미혼
  • 프랜시스 버틀러(1774–1836), 미혼
  • 해리엇 퍼시 버틀러 (1775–1815), 미혼
  • 피어스 버틀러 주니어 (1777–1780)
  • 토마스 버틀러 (1778–1838), 1812년 파리의 엘리자 데 말레볼트와 결혼했다.
  • 셋째 아들, 어린 나이에 죽었다.
  • 넷째 아들, 젊은 나이에 죽었다.

버틀러는 아들의 프랑스 태생인 아내와 자녀들과 함께 유일한 생존 아들 토마스 버틀러에게 상속권을 박탈했다.[10] 버틀러의 딸들 중 결혼해서 아이를 낳은 사람은 사라 버틀러 메이스뿐이었다. 버틀러는 당초 전재산을 장남 피어스 버틀러 메아세에게 맡길 계획이었으나 소년은 1810년 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버틀러는 사라에게 버틀러를 돌이킬 수 없이 그들의 성으로 채택하는 것을 전제로, 살아남은 세 아들(그 해에 태어난 아들 포함)에게 자신의 재산을 동등한 부분에 남겨두겠다고 말했다. 아들 존 메이스와 피어스 버틀러 메아세(1810년생·죽은 동생의 이름을 딴 이름) 두 사람은 재산의 일부를 상속받기 위해 성을 바꿨다. 손자들이 성년이 될 때까지, 버틀러의 딸 프라운스와 엘리자는 가장 생산적인 땅을 사용했다.[6]

레거시

버틀러와 그의 후손들 중 많은 수가 1727–1744년에 지어진 필라델피아 그리스도 교회의 묘지와 국립 역사 유적지에 있는 금고에 묻혀 있다.[11] 위스콘신 매디슨에 있는 버틀러 가(街)[12]는 그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다.

피어스 미즈 버틀러

피어스 미즈 버틀러와 그의 딸 프랜시스 앤 버틀러, 1855년

피어스 미즈 버틀러(1810~1867)는 할아버지의 버틀러 섬과 세인트의 절반을 물려받았다. 시몬스 섬 농장이요 유명한 영국 여배우인 패니 켐블과 그녀의 유명한 배우/매니저인 아버지 찰스 켐블은 1832–1834년 2년간의 미국 연극 여행을 했다. 피어스 미즈 버틀러는 투어 도중 그녀를 만났고, 1834년 6월 7일에 그녀와 결혼했다.[13] 그들은 필라델피아에 살았고, 사라와 프란체스라는 두 딸이 있었다. 그의 아내는 그들의 농장에 대한 짧은 체류 일기를 썼는데, 그녀는 노예화된 사람들의 삶의 상태에 극도의 공포를 표현하고 노예제도를 정당화하려는 현대적 주장을 해체했다. Mease Butler는 그들의 이혼 후에, 그녀가 그의 생전에 그 저널을 발행할 경우 그들의 자녀들에 대한 양육권을 보류하겠다고 협박했다. 이 책은 1863년에 출판되었다.

피어스 미즈 버틀러는 1838–1839년 겨울 동안 그의 가족을 조지아로 데려갔다. 켐블은 노예들의 생활과 노동조건에 충격을 받았고, 그들의 과로와 관리자인 로즈웰 킹 주니어의 처우에 대해 그에게 불평했다. 그녀는 킹이 노예화된 여성들과 함께 혼혈아들을 몇 명 낳았다고 알려졌으며, 그는 때때로 남편들로부터 일정 기간 동안 그들을 빼앗아 갔다고 언급했다. 켐블의 겨울 거주지에 대한 직접 경험은 그녀의 폐지론에 기여했다. 이 커플은 이것과 그들의 기본적인 양립불가능성에 대해 긴장이 고조되었다. 버틀러는 켐블이 농장의 상태에 대해 관찰한 내용을 발표하면 딸들에 대한 접근을 거부하겠다고 위협했다.[14] 그들이 1849년에 이혼했을 때, 그는 두 딸의 양육권을 유지했다.[15]

켐블은 남북전쟁이 시작되고 그녀의 딸들이 성년이 된 후인 1863년까지 조지아 농장에 대한 거주지 저널을 1838–1839년에 출판하기 위해 기다렸다. 그녀의 목격자 노예 기소에는 킹 목사의 혼혈 자녀에 대한 이야기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책은 미국과 영국 양쪽에서 출판되었다.

슬레이브 경매

세기 중반까지 피어스 미즈 버틀러는 미국에서 가장 부유한 사람 중 한 명이었지만, 그는 70만 달러로 추정되는 재산을 탕진했다. 그는 1859년 3월 2일 조지아주 사바나 외곽의 텐브로크 레이스랙에서 436명의 노예를 팔아 파산으로부터 구했다. 이 경매는 미국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단일 노예 경매였고, 그는 30만 달러 이상을 벌어들였다. 그 경매는 주목할 만한 사건이었고 전국 신문들이 취재했다.[16] 그는 수많은 남부인들의 피난처인 필라델피아에서 남북전쟁에 참전했고, 반역죄로 잠시 투옥되었다.

존 A. 미즈 버틀러

존 A. 메이스 버틀러(1806–1847)는 1831년 '버틀러'를 성으로 채택한 후 할아버지의 농장의 절반을 물려받았다. 그는 가브리엘라 모리스와 결혼했지만 그들은 자식이 없었다. 그는 멕시코-미국 전쟁에 참전하여 대위 계급에 올랐으나, 캠프에서 이질로 죽었다.

연합군은 1862년 2월부터 버틀러 농장을 모두 점령했다. 1863년 1월 1일 노예 해방 선언은 가브리엘라 모리스 버틀러의 거의 500명의 노예를 해방시켰다. 그녀는 그해 말에 죽었다. 전후의 사회 경제적 혼란 속에서 피어스 미즈 버틀러는 자유 노동 시장에 적응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고, 전반적인 농업 불황 속에서 씨아일랜드 플랜테이션에서 이익을 얻을 수 없었다.

후대

피어스 미즈 버틀러의 사망 이후, 그의 작은 딸 프랜시스 버틀러 리와 목사인 그녀의 남편 제임스 레이는 생산성 회복과 복합 농장을 운영하려고 노력했지만 수익을 창출하는 데는 실패했다. 그들은 1877년 조지아를 떠나 영구히 레이가 태어난 영국으로 이주했다. 프랜시스 버틀러 리(Frances Butler Leigh)는 자신의 저서 '전쟁 이후 그루지야 농원에서의 10년(1883)'에서 노예 소유자로서 아버지의 행동을 옹호했는데, 이는 20년 전부터 어머니의 노예제도에 대한 비판에 대한 반박의 의도였다.

피어스 미즈 버틀러의 장녀 사라 버틀러 위스터는 필라델피아 출신의 부유한 의사 오웬 존스 위스터와 결혼했고, 그들은 도시의 게만타운 구역에서 살았다. 그들의 아들 오웬 위스터는 현재 고전으로 여겨지는 1902년 서부 소설 버진아로 가장 잘 알려진 인기 있는 미국 소설가가 되었다. 젊은 오웬 위스터는 버틀러 소령의 후손 중 가장 늦게 농장을 물려받았다. 그는 1906년 자신의 소설 '레이디 볼티모어'에서 남북전쟁 이후 남부에 대해 썼는데, 이 책은 "전대 찰스턴의 잃어버린 귀족들"을 낭만적으로 묘사했다. 위스터의 친구이자 전 하버드 동창인 테오도르 루즈벨트 대통령은 그에게 이 소설을 "거의 모든 악마 북방인과 천사 남방인"[6]으로 만들었다고 비판했다.

참고 항목

참조 및 외부 링크

Public Domain 이 문서는 미국 육군 역사 센터의 공공 도메인 자료를 통합한다. Robert K. Wright Jr. and Morris J. MacGregor Jr. "Pierce Butler". Soldiers and Statesman of the Constitution.

메모들

  1. ^ "The Carlow man who became a US founding father (And one of the biggest slave owners)".
  2. ^ a b c d e f g h i 로버트 K. 라이트 주니어와 모리스 J. 맥그리거 주니어, "피에르스 버틀러" 워싱턴 D.C. 헌법의 군인-스태트맨: 1987년 미국 육군 역사 센터, 2012년 3월 4일에 접속
  3. ^ Terry W. Lipscomb (2007). The Letters of Pierce Butler, 1790–1794: Nation Building and Enterprise in the New American Republic. Univ of South Carolina Press. p. 79. ISBN 978-1-57003-689-7.
  4. ^ Neuborne, Leon Friedman and Burt. "The Framers, on War Powers". Retrieved 2018-06-12.
  5. ^ "The War Powers and the Constiutional [sic] Convention". The Blue Review. 2012-10-12. Retrieved 2018-06-12.
  6. ^ a b c 마리안 C. 매케나 "리뷰: 말콤 벨 주니어, '메이저 버틀러'의 유산: 5대째 노예가정'(1987)" 2013-10-04년 8월 캐나다 역사저널 웨이백머신, 제23권 제2호(1988) 8월 보관
  7. ^ 로버트 K. 라이트 주니어와 모리스 J. 맥그리거 주니어, "피에르스 버틀러" 워싱턴 D.C. 헌법의 군인-스태트맨: 1987년 미국 육군 역사 센터, 2012년 3월 4일에 접속
  8. ^ ""Our Today's and Yesterdays, A Story of Brunswick and the Coastal Islands", pp. 135–38". Glynngen.com. Retrieved 2013-05-22.
  9. ^ Nagel, Paul C. (1964). One Nation Indivisible: The Union in American Thought, 1776–1861.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 27. ISBN 0195000358.
  10. ^ 마리안 C. 매케나 "리뷰: 말콤 벨 주니어, '메이저 버틀러'의 유산: 5대째 노예가정'(1987)" 2013-10-04년 8월 캐나다 역사저널 웨이백머신, 제23권 제2호(1988) 8월 보관
  11. ^ "Pierce Butler (1744-1822) - Find a Grave Memorial".
  12. ^ "Origins of Madison Street Names". Wisconsin Historical Society. 2006-03-29. Retrieved 2018-06-12.
  13. ^ "Kemble, Frances Anne (1809–1893), actress and author".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doi:10.1093/ref:odnb/15318.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14. ^ 데이비드, 디어드르. 패니 켐블: A Performed Life, 필라델피아: 2007년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페이지 154
  15. ^ Clinton, Catherine (2000). Fanny Kemble's Civil Wars. New York: Simon & Schuster. ISBN 0-684-84414-1.
  16. ^ 1859년 3월 9일 뉴욕 트리뷴 사바나에서 열린 "노예의 위대한 경매"는 의회 도서관 아메리칸 메모리(American Memory에서 열렸다.

원천

  • 말콤 벨 주니어, 버틀러 소령의 유산: 5세대 슬레이브홀딩 가족 (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87)

외부 링크

미국 상원
선행자
취임식홀더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 미 상원의원(2급)
1789–1796
함께 제공: 랄프 이자드, 제이콥 리드
성공자
선행자 사우스캐롤라이나 출신 미국 상원의원(3급)
1802–1804
함께 제공: 토머스 섬터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