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시다 왕조

Pishdadian dynasty
샤나메 왕조에 따르면 피슈다드 왕조의 조상인 케유마르스.

피시다드 왕조(페르시아어: ودممن in ( ( ( ( ( ( ( ( ( ( ( ( ( ( ( ( ( ( ( ()는 조로아스터교 신앙과 페르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고대 왕들의 신화적 계열로, 전설에 세계의 지배자로 나타나지만, 결국 그 영역은 ē라나흐르 또는 대이란으로 제한되었다.비록 조로아스터교의 경전인 아베스타와 이후의 팔라비 문학에 그것들을 언급하는 것이 산재하고 있지만, 그들의 전설의 정식 형태가 알려진 것은 11세기 이란 국가 서사시인 샤나메를 통해서이다.9세기부터 무슬림 작가들, 특히 타바리는 산문사와 다른 작품에서 많은 피쉬다드 전설들을 다시 이야기했다.그러나 피슈다드 왕과 그에 관한 이야기는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다.

샤나메 왕조에 따르면, 피시다디 왕조는 역사적인 아케메네스 왕조 이전으로, 2천 년 이상 통치한 최초의 이란 왕조였다.그들의 시조는 최초의 인간이자 "조로아스터교 아담"인 케유마르스였다.그의 후손들은 세계의 왕으로서 악마를 물리치고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소개함으로써 인류의 삶을 향상시켰다.그의 가장 유명한 후계자인 잠시드는 문명의 주요 요소를 세웠지만, 그의 자부심과 자만심의 결과로 사악한 폭군 자하크에 의해 전복되었다.자학에 대한 민중의 반란 이후, 왕좌는 결국 피쉬다디안에게 돌아갔다.하지만, 다음 왕 페레이둔은 그의 세 아들 사이에서 세계를 나누었고, 그의 막내인 이라즈는 가장 높은 부분인 이란을 받았고, 그의 이름을 따서 이란이라는 이름을 지었다.Iraj와 그의 후계자들은 페레이둔의 다른 후손들의 부러움을 불러일으켰고, 이는 결국 왕조의 몰락을 초래한 오랜 반목과 일련의 전쟁으로 이어졌다.샤나메는 피쉬다드족의 마지막 왕조에 대한 신뢰가 없는 이란인들이 어떻게 그들을 또 다른 신화적인 왕조인 카야니안으로 대체했는지를 말해준다.

타바리는 그의 역사에서 같은 이야기를 몇 가지 변형과 함께 많이 반복했다.많은 중세 이슬람 작가들과 마찬가지로, 그는 독특한 이슬람 관점을 제공하기 위해 이 이야기들을 코란 인물들과 관련된 이야기들과 예언자들의 이야기들과 섞었다.

피슈다드 왕들의 이야기는 이란 사회에 정치적, 문화적으로 영향력이 있었다.고대와 중세 시대 모두, 지배 왕조는 그들의 위신과 정치적 합법성에 젖기 위해 그들로부터의 후손을 주장했다.현대에도 샤나메의 이야기는 이란 문화의 모든 측면에 계속 퍼지고 있으며, 그 일부로서 피시다디안은 그들 자신의 역사와 국가 정체성의 뿌리에 대한 이란인들의 의식의 중심이다.

출처, 어원 및 출처

피시다드 왕은 페르시아 신화에 등장하는 인물아베스타를 포함한 조로아스터교 문헌과 이란의 [2]국가 서사시로 알려진 중세 페르시아 시 샤나메에 많은 [1]전설이 기록되어 있다.9세기부터 피쉬다디안들은 이슬람 [3]작가들의 아랍어 산문 작품에도 등장한다.피슈다드 왕조의 존재는 역사적 [4]근거가 없다는 것이 압도적인 증거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이야기들은 그들을 최초의 역사적인 페르시아 [1]왕조인 아케메네스 왕조 이전에 존재했던 신화적인 왕국을 통치한 최초의 이란 왕조로 묘사하고 있다.피시다드(Pishdadian, 페르시아어: يشاا pi pi, pishdadad)의 어원은 보통 "법을 처음 공포한 사람들"을 의미한다고 여겨진다.그러나 다른 견해는 아베스타의 단어인 파라다타에서 유래한 것으로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창조되었다" 또는 "처음 창조되었다"[5]는 의미이다.

현존 주요 출처의 연표
원천 날짜. 언어
아베스타 c. 1000
기원전 550년[6]
아베스탄[7]
팔라비 텍스트:
덴카도
분다히신
제9세기[8] CE 가운데
페르시아어
[8]
타바리역사 10일 새벽
cent. CE[9]
아랍어[10]
타리크나마 962 CE[10] 신페르시아어[11]
샤나메 1010 CE[12] 신페르시아어[13]
가르샤스프나마 1066 CE[14] 신페르시아어

이란의 신화적인 초기 왕들에 대한 가장 정밀한 설명은 호라산 [15]투스 출신의 페르시아 시인 아볼카셈 페르도시가 지은 11세기 초의 서사시 샤나메에 의해 제공된다.세계적으로 유명한 문학 [16]걸작으로 꼽히는 이 시는 신화의 시작부터 사산기 말기 이슬람 정복까지 이란의 역사로 피시다드 [12]왕들의 이야기로 시작한다.페르도시의 작품은 구술과 문장의 산문과 [17]시의 오랜 전통의 정점이었고, 그가 그린 이야기는 이란 [4]문화 이전인도-유럽 전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그는 10세기 중반 투스에서 편찬된 지금은 사라진 산문 서사시를 포함하여 구전과 문구를 [18]모두 사용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 서사시는 현재도 사라진 사산 연대기, 즉 '스와다이나마그'[17][19]에 바탕을 두고 있다.게다가, 페르도시는 비록 [20]그가 이것을 얼마나 했는지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이야기를 추가하거나 바꾸기 위해 자신만의 시적 상상력을 사용했을지도 모른다.페르도시는 무슬림 [22]청중을 위한 이슬람[21] 글이었지만 샤나메는 비이슬람적인 [23](일신교적이긴 하지만) 조로아스터교의 [22][note 1]관점을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있다.페르도시는 샤나메에서 이슬람 우주론과 연대를 배제하고 이슬람 이전의 페르시아 신화를 [26]서사시의 핵심 메시지로 삼고 있다.

샤나메에 이어, 신화적 영웅들에 대한 서사시를 쓰는 이란의 전통은 약 300년 [27]동안 지속되었다.피쉬다디안에 관한 중요한 자료가 담긴 유일한 것은 가르샤스프 나마로, 샤나메[14]이야기를 다시 들려주면서 시작된다.

샤나메의 신화 속 왕들은 기원전 [6]1천 년 중반까지 최종 형태에 도달한 훨씬 이전의 아베스타에 [28]나오는 인물들과 유사하다.그러나 아베스타는 다른 이름이나 [29][30]다른 이름을 사용하여 관련된 인물들에 대한 간단한 언급만 제공하며 나중에 샤나메에서 그들의 완전한 표현이 발견되는 신화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거의 없다.이것들은 주로 야슈트나 아베스탄 찬송가에 있다.이러한 언급은 짧지만, 문맥과 표현 방식에서 그들이 더 발전된 후기 조로아스터교의 [31]전통과 매우 유사한 이야기를 암시하고 있다는 것은 명백합니다.아베스타와 샤나메 사이에 있는 덴카드분다히쉰과 같은 중세 페르시아어 또는 팔라비 조로아스터교 서적이다.비록 그들은 샤나메와 거의 동시대에 존재하지만, 그들은 훨씬 더 오래된 출처의 이야기와 전통을 포함하고 고대 아베스타의 문서들과 연결고리를 제공할 수 있다.그들은 신화적인 왕들에 관한 일부 이야기에 대한 아베스탄의 언급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제공하지만, 여전히 샤나메의 방식으로 완전한 이야기를 제공하지는 않는다.경우에 따라서는 샤나메와 아베스타 [32]모두와 상충되는 설명이 있습니다.

기원후 9세기부터 대부분의 무슬림 "보편사"는 피시다 [33][34]왕에 대한 이야기를 포함하고 있다.이들 중 가장 중요하고 이슬람 이전의 전통적인 이란 서사(Ehsan Yarshater가 이란을 "국가사"라고 부른 것)를 가장 포괄적으로 다루는 것은 타바리의 10세기 초반 아랍어 [10][34]예언자들과 왕들역사이다.그의 이야기는 신화 속 페르시아 왕들의 이야기와 이슬람 [35][36]예언자들을 얽어놓으며, 피시다디아의 악마와의 갈등에 대한 조로아스터 신화를 악마 세력에 [37]대항하는 인류의 투쟁 개념에 통합한다.타바리는 페르도시와 마찬가지로 그가 사용한 [10]정보원 중에 잃어버린 Xwadai-namag를 포함시킨 것으로 생각된다.타바리의 역사[38]그를 따르는 이슬람 역사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고, 이 장르에 대한 가장 중요한 페르시아의 발전은 10세기 중반의 [39]발라미 타리크나마였다.표면상으로는 타바리의 역사를 페르시아어로 [10]번역한 것으로, 사실 발아미는 그 본문을 실질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다른 출처를 이용했다. 예를 들어, 두 명의 피시다드[note 2] 왕에 대한 설명은 발라미와 타바리 [41]사이에 현저하게 다르다.

샤나메와 조로아스터교의 이야기

개요

가요마드의 아들이자 후상의 아버지인 시아막

조로아스터교는 조로아스터교의 [43]창시자 아후라 마즈다가 이 왕조를 부활시킨 최초의 인간 가요마르[42](샤나메에서는 가요마르트, 아베스타에서는 가야 마레탄이라고도 함)에 의해 왕조가 시작되었다고 믿었다.

샤나메 왕국에서 가요마드는 세계 최초의 왕으로, 동물 가죽을 입고 산에 살면서 인류에게 먹이고 옷을 입는 법을 가르치고 왕권의 규칙을 정합니다.Gayomard의 통치 기간 동안 그의 아들인 Siyamak은 사악한 신 Ahriman과의 전투에서 죽임을 당한다.결국, 아흐리만은 가요마드와 시아막의 아들 후창과의 추가 전투에서 패배한다.가요마드는 30년간 통치했고 그가 죽자 피슈다드 [43]왕조를 세운 후창이 뒤를 이었다.

이 서사시는 피쉬다디안들이 어떻게 2천년 이상 동안 악마와 싸우고, 인류에게 지식과 기술을 제공하고, 문명을 창조했는지에 대한 이야기를 계속한다.그러나 자만심은 그들을 사악한 [12]폭군에 의해 전복시킨다.The throne is eventually restored to the Pishdadians,[44] but they divide their world realm between three different branches of the royal line, creating three new kingdoms:[45] one in the west, one in the east (Turan), and Greater Iran in the centre of the world,[46] later equated with the Sasanian concept of Ērānshahr.[47]이로 인해 이란과 투란 사이에 계속되는 불화와 장기간의 전쟁이 일어나 피시다드인들의 몰락과 새로운 왕조인 [12][48]카야니안들의 대체가 초래된다.샤마네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피시다드로 여겨지는 왕은 모두 10명.후상, 타흐무라스, 잠시드, 자하크, 페레이둔, 이라즈, 마누체르, 노우자르, 자브, 가르샤프.[43]그러나 자하크, 자브, 가르샤프는 다른 [49]군주들과 관련이 없다.

아베스타는 이런 종류의 이야기를 담고 있지 않다.가야 마레탄은 황소라는 두 가지 최초의 생물 중 하나로 언급되지만,[50]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는 설명하지 않습니다.아베스타의 야슈트, 즉 찬송가에는 피쉬다디안을 포함한 샤나메에서 나중에 등장하는 인물에 대한 언급이 산재해 있다.이것들은 보통 그들의 [51][52]속성에 대한 짧은 설명과 함께 그들의 소원이 이루어지기를 요청하기 위해 신들에게 제물을 바치는 성격에 대한 짧은 언급의 맥락이다.

왕들

샤나메에서 말한 바와 같이, 피시다 왕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베스타와 이후의 팔라비 문헌, 주로 덴카드와 분다히센에 있는 동등한 선행 문자와 함께 아래에 요약되어 있다.

샤나메[note 3] 피시다드 왕 팔라비 문자 아베스탄 선행사
Hushang (The Shahnama of Shah Tahmasp).png
후샹은 불을 피우는 방법을 발견하고 금속공예, 관개, 농업, 사냥 등 인류에게 소개한다.그는 평화롭게 죽었고 인류의 존재를 더 [53]나은 쪽으로 바꾼 것으로 기억된다.
하오스향하는[43] 천국이며, "모든 신보다 앞선 자"이며, 7대륙의 모든 신과 인간을 다스렸다.그는 "오래된" [54]신들의 3분의 2를 "타도"할 수 있는 재능을 받았다.야슈트에서는 가요마드/가야 마레탄이 [55]아니라 초대 왕인 하오스향하입니다.
Tahmuras (The Shahnama of Shah Tahmasp).png
후상의 아들인 타흐무라스는 악신 아흐리만을 물리치고 직조, 글쓰기 등 인류의 예술과 기술 범위를 넓혔다.그는 선한 영혼과 [56]악마에게서 이것들을 배웠다.그는 [57]악령을 제압하는 능력 때문에 '악마 구속자'라는 별명을 얻었고, 그들이 그에게 예술이나 [56]기술의 비밀을 준다면 악마의 목숨을 살려줄 것이다.
탁마우루파는[58] 하오스향하와 비슷한 위치에 있었지만, "악령([59]악령)이 300년 동안 지구의 양쪽 경계에서 말의 형태로 변모했다."악령"은 Ahriman 자신이다.[58]
Jamshid (The Shahnama of Shah Tahmasp).png
Tahmuras의 아들인 Jamshid는 700년 동안 통치했다.잠시드는 이란 문명의 주요 요소들을 확립했고 그의 사람들에게 그들의 무기, 옷, 그리고 이란 사회의 구조를 제공했다.하지만 그의 자존심과 거만함은 그를 사악한 자학에게 전복으로 이끈 신성한 불쾌감을 가져왔다.잠시드는 망명길에 올랐지만 결국 자학의 명령으로 [60]잡혀 처형되었다.
Yima[30] Ahura Mazda에 의해 지구의 첫 번째 왕으로 선택되었습니다.신에게 제물을 바친 후, 인명을 불멸로 만들고 기후를 개선하는 힘을 갖자는 그의 소원은 이루어졌다.그의 그 후의 자만심은 왕좌를 잃는 결과를 낳았고 그는 [59]스피티유라라는 캐릭터에 의해 반으로 잘릴 때까지 지구를 떠돌아다녀야 했다.
Mir Musavvir 002 (Zahhak).jpg
자학이[61]아라비아에서 왔다.그는 그가 죽인 선한 왕인 메르다스의 아들로, 사악한 폭군으로 그의 자리를 대신했다.악마의 표시로 [62]어깨에서 뱀이 자라고 있었다.잠시드의 왕좌를 찬탈한 후, 자학은 그가 민중 반란으로 전복되고 정당한 왕인 페레이둔에 [61]의해 살해될 때까지 1,000년 동안 통치했다.
덴카드에서 아지 다하카는 세계가 [63]끝날 때까지 다마반드 산에 있는 동굴에 트라에토나에 의해 감금된다. 아지[64] 다하카는 [59]신에게 제물을 바쳐 지구를 황폐하게 하는 힘을 부여받은 용이었다.그것은 "세 개의 턱과 세 개의 머리가 있고, 천 개의 힘을 가진 여섯 개의 눈을 가졌다"[64]고 묘사된다.그것은 결국 Thraetona에 [63]의해 죽임을 당한다.
Farîdûn, seated on his throne, surrounded by five courtiers.jpg
페레이둔은 잠시드의 [64]후손인 압틴의 아들이었다.그는 마술과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아들의 용기를 시험하기 위해 용으로 변신한다.500년을 통치한 페레이둔은 그의 왕국을 세 아들에게 나누어 주었다.살름은 서쪽의 인 렘을 받았고, 동쪽의 인 투란은 투르에게 주어졌고, 세계 한 가운데에 있는 이란은 [44][63]이라즈의 왕국이 되었다.
Bundahishn에서는 Ferydun과 그의 세 아들들에 대한 이야기가 [65]나온다.덴카드는 아지 다하카를 물리치고 그의 세 아들 살름, 도치, 드리치에게 그의 땅을 나눠주는 "엑스바니라스의 영주 페로톤"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이후 페른의 뒤를 이어 이란 왕이자 드리치의 후손인 마누시히르가 왕위에 오른다.이것은 아베스타의 [47]잃어버린 부분의 요약을 보존한다고 한다. "아스비아니"라는 별명으로 언급되는 트라에토나는 [64]전사이자 의사였으며 용 아지 다하카를 물리친 것으로 유명하다.그는 마법의 [63]힘을 가지고 있다고 여겨졌다.
Iraj (The Shahnama of Shah Tahmasp).png
라지는 페레이둔의 막내아들이었다.그의 아버지는 Iraj가 아들들 사이에서 "칭찬받을 만한 사람"이라고 판단하고 그에게 이란을 포함한 최고의 왕국을 주었다.결과적으로 이란은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세 형제는 "오랜 기간"을 통치했지만, 살렘과 투르는 이라즈에게 베풀어진 호의에 분개하는 것을 멈추지 않았고, 살렘의 격려로 투르는 결국 그를 살해했다.아직 살아있던 페레이둔은 복수를 기도했고, 그 결과 이라즈의 손자 마누체르가 살름과 투르를 죽였다.페레이둔은 마누체르에게 [47]양위했다.
아베스타에서 에어류[66]마누스치트라(마누체르)의 아버지라는 맥락에서만 언급된다.관련 구절에는 Salm에 [65]의해 상속된 토지에 대한 언급도 있다.
Manuchihr (The Shahnama of Shah Tahmasp).png
마누체르[47]그의 어머니를 통해 Iraj의 손자였고, 그의 아버지는 [67]Freydun의 조카였다.그의 통치 기간 동안 아프라시아브투란의 왕이 되어 이란을 침략하고 점령했다.평화 정착의 일환으로, 아프라시아브는 속아서 두 왕국 사이의 경계에 동의했고, 이는 예상외로 마누체르에게 [44]유리했다.
마누시치트라는[66] 파르바르딘 야슈트에서 "우리는 에어유의 아들인 신성한 마누시치트라의 프라바시[note 4] 숭배한다"[66][69]는 말과 함께 언급된다. 다른 찬송가인 잠야드 야슈트에서는 마누샤라고 [66]불리는 두 번째 산에서 태어난 마누쉬치트라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Prince Nauzar (The Shahnama of Shah Tahmasp).png
나우자르는 그의 아버지 마누체르의 뒤를 이어 죽었다.그러나 노자르는 약하고 무능하며 자신의 정부와 일반 국민 모두를 소외시킨다.나우자르 왕국이 혼란스러운 틈을 타 아프라시아브는 이란을 침공해 무찌르고 나우자르를 [70]생포해 살해한다.
팔라비 문헌(예: 분다히신)에서 노자르는 절대 왕이 되지 않고 그의 아버지 마누체르의 통치 기간 동안 아프라시아브에 [71]의해 죽임을 당한다. 아베스타에서 노자르의 이름은 후견인인 나오타라의 형태로만 나타나는데, 두 의 야슈트에는 노자르의 [72]후손들이 언급되어 있다.
Detail-of-Enthronement-of-Shah-Zav-Shahnama-Iran-Tabriz-Ilkhanid-period-ca.jpg
나우자르와 [note 5]무관한 귀족의 일원인 자브는 궁정 귀족들에 의해 왕위에 오르도록 선택된다.그렇게 함으로써 그들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노자르의 아들들을 무시한다.그러나 자브는 이란 [70]왕국의 권력을 회복하는 데 실패했다.
그는 분다히센에서 [73]투흐마스피안 아우조보라고 불리며,[49] 노우자르의 손자로 묘사된다.나중에 카야니아의 왕이 된 케이 코바드[74]어렸을 때 물에 빠진 것을 구해냈다는 이야기도 있다. Uzava[75] Farvardin Yasht에서 [76]호출됩니다.
Garshâsp son of Zav on his throne (Shahnmaeh).jpeg
Garshasp는 자브의 아들이며 자브의 죽음으로 [note 6]그의 뒤를 잇는다.그 역시 왕국의 부를 회복할 수 없었고, 그가 죽으면 왕좌는 공석이고 피슈다드 시대는 막을 내린다.이란 지도자들은 페레이둔의 후손인 카이 큐바드를 자신들의 으로 선출하는데,[70] 그는 새로운 왕조를 세운다.사실 샤마네에는 가르샤프라는 이름의 두 캐릭터가 있는데, 다른 한 캐릭터는 아베스탄 카레세스파와 더 가까운 페레이둔 시대의 전사였다.둘 다 케레스파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그 이름의 두 글자의 발달은 부분적으로 [78]혼란의 결과였다.
Keresespa는 Garshasp라는 이름의 아베스탄 형식이다.야슈트에서 케레스파는 용을 [78]죽이는 것으로 가장 잘 알려진 강력한 전사이다.

타바리와 무슬림의 이야기

페르도시와 달리 페르시아 신화 왕을 역사에 포함시킨 다른 이슬람 작가들은 이슬람의 연대와 사고에 [26]맞게 이야기를 각색하려고 했다.타바리는 이슬람 이전의 페르시아인들의 여러 혈통을 보여주고 있으며, 그들이 이슬람 예언자나 코란에 나오는 다른 인물들의 혈통과 관련이 있거나 얽혀 있을 수 있는 많은 방법들을 주장한다.이 계통들 중 하나가 피시다 [79]왕조이다.그 이야기의 다음 요약에서는 타바리가 사용하는 문자의 이름을 채택하고 있다.

이름[note 7] 변형
샤나메
타바리스
등가
가요마트 자유마트[80]
후상 오샤한지
타흐무라스 타흐무라스[37]
잠시드 잠 알 시드[37]
자학 알-다하크 또는 비스와라스크[81]
페레이던 아파리던[82]
이라즈 이라즈[83]
마누체르 마누샤르[84]
자브 자우
아프라시아브 파라시아트 또는
프라시아브[85]
[주 8]

최초의 피시다드 왕과 이블리스와의 갈등

대부분의 이슬람 서사시에서 최초의 두 왕은 후유마트와 그의 손자 오샤한즈였지만,[87] 일부는 오샤한즈를 초대 왕으로 꼽았고, 이는 아마도 후기 사산기 [88]자료들의 위치를 반영했을 것이다.타바리는 "대부분의 페르시아 학자들이 자유마트가 아담, 다른 학자들은 아담과 이브의 아들이라고 추측하고 있다"며 "다양한 진술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고, 비페르시아인들은 그가 다른 많은 성경 인물들 중 하나라고 말한다(고메르, 야벳 또는 노아).그는 또한 자신이 타바리스탄파르스의 영주였으며, 그가 페르시아인들의 "아버지"였다는 것에 "모두가 동의한다"고 말한다.만년에 그는 "아담"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폭군이 되었다.그의 아들과 딸인 마리와 마리야나는 [87]왕의 조상이었다.그의 후계자인 타바리에 따르면, 오샤한지는 정의와 공정함으로 법과 통치를 도입한 최초의 왕이었다.그의 통치 때까지 인간은 과일을 먹고 나뭇잎으로 몸을 가렸다.그는 그들에게 집을 짓고, 고기를 먹도록 가르쳤고, 동물의 가죽을 옷으로 쓰고, 나무를 자르고, 금속을 채굴하고,[89] 땅을 경작하도록 가르쳤다.

무슬림 작가들의 주제는 피시다드 왕들이 이블리스[90]악마들과 싸우는 것이다.발라미에게 있어 이 갈등은 자유마트에서 시작되어 피의 [37]앙숙으로 자리 잡고 있다.Jayumart는 그가 그의 가족과 다투던 메소포타미아를 떠나 다마반드 산에 정착한다.그곳에서 그는 그 지역에 사는 악령들을 만나게 되고, 갈등이 일어나 그들을 물리치게 된다.그러나 악마는 자유마트의 아들 파상을 살해하고, 보복으로 자유마트는 그의 아들을 살해하는 데 관련된 사람들 중 일부를 살해한다.다른 악마들은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도시"[91]인 발흐를 짓도록 강요받는다.

그러나 타바리에게 있어 분쟁은 오샤한지의 치세에 시작되어 그 기원은 [90]불명확하다.

페르시아인들이 말하길...오샤한지는 반역한 인간과 사탄에 대한 처벌과 복수를 의미했다.그들은 다시 그가 이블리스와 그의 군대를 굴복시키고 인간들과 섞이는 것을 금지했다고 말한다.흰 종이에 문서를 쓰면서, 그는 그들에게 어떤 인간에게도 맞서지 말 것을 명령하는 계약을 맺었습니다...그들은 더 나아가 이블리스와 그의 군대가 오샤한지의 죽음을 기뻐했다고 말한다.그의 죽음이 [92]아담의 자녀들의 집에 들어갈 수 있게 해주었기 때문이다.

타바리는 "페르시아인들은" 오샤한지의 후계자가 타흐무라트였다고 말한다.그는 타흐무라트의 정확한 혈통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르다고 덧붙였습니다만, 그가 언급한 두 혈통 모두 타흐무라트의 궁극적인 조상은 [93]오샤한지였다고 주장합니다.타바리는 타흐무라트의 [37]통치 기간 동안 계속된 악마들과의 투쟁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고, "신이 그에게 너무 많은 힘을 주어서 이블리스와 그의 사탄들은 그에게 복종했다"[94]고 언급한다.다른 이슬람 역사학자들은 타흐무라트에게 'Divband' 또는 'Demon-binder'라는 제목을 붙였고 그의 이야기에 많은 신화적인 사건들을 추가했다.를 들어, 비루니는 타흐마라트가 [58]홍수가 발생하기 231년 전에 홍수에 대해 경고를 받았다고 말한다.

잠 알 시드에서 자우까지: 알 다하크와 터키와의 전쟁

타바리는 "페르시아 학자들"에 따르면, 타흐무라트는 그의 동생의 아들 잠 알 [95]시드가 계승했다고 한다.무슬림 작가들은 전형적으로 "햇살"이나 "빛나기"와 같은 의미를 알-시드에게 돌렸고, 한 가지 예로, 잼을 포함한 그의 전체 이름이 [96]"달의 밝기"를 의미했다.타바리는 그의 미모 때문에 그의 [95]수브라이켓이 그에게 주어졌다고 말한다.타바리는 이어 "페르시아 학자들"이 잠 알 시드가 무기, 철기, 천, 그리고 다른 재료의 제조를 시작하였고, 군인, 종교학자, 비서, 장인, 그리고 경운가의 [note 9]네 가지 사회 계층을 만들었다고 주장한다고 말한다.그리고 그는 악마들을 제압하고 산에서 돌과 바위를 깎도록 강요했다.[98]하지만 이블리스는 그가 신이라고 설득한다.그 결과, 잠 알 시드는 신하들에게 그를 숭배하도록 요구했고, 이는 그의 전복과 [99]처형을 촉진한다.타바리는 잠 알 시드의 몰락이 이블리스에게 [96]속았기 때문이라고 공개적으로 주장하는 유일한 작가이다.

알-다하크는 페르시아인들이 비스와라스브라고 부르면서 권력을 [100]장악한다고 말한다.그는 자유마트의[101] 후손으로 잼 알 시드 이후 천 년 동안 "폭정과 억압"[100]을 보이며 통치한 "마법사"였다.결국 카비는 알-다하크에 맞서 반란을 일으킨다.후자는 잼의 후손인 아파리던에게 전투에서 패배하고, 그는 왕이 되어 [63]다마반드 산의 알아하크를 공격한다.타바리에 따르면, "어떤 마지안들은 그가 알-다하크를 포로로 잡아 산에 가두고 영마 무리를 그의 책임으로 삼았다고 주장하지만, 다른 마지안들은 그가 그를 죽였다고 주장합니다.[102]

타바리, 발라미, 타알레비, 디나바리를 포함한 이슬람 역사학자들은 본질적으로 페레이던의 샤나메(아파리던)가 그의 세 아들 사이에 왕국을 분할하고 그가 가장 좋아하는 아들인 이라즈를 살해한 것과 같은 이야기를 한다.타바리의 경우 아파리드훈은 투지에게 터키, 카자르, 중국의 땅을 주고, 럼은 슬라브족과 그루지야의 땅을 사르므에게 주고, 세계의 중심인 라란샤르는 이라즈의 [47]영토가 된다.

Tabari는 Sarm과 Tuj가 그들의 [103]형제를 죽인 후 300년 동안 지구를 지배했다고 말한다.Iraj의 [104]후손인 Manushr은 왕이 되고 Sarm과 Tuj를 죽임으로써 Iraj의 원수를 갚는다.마누쉬르의 통치는 "정의롭고 [103]관대하게 묘사되었다".그의 통치 말기에 그는 투란의 왕이자 투지의 후손인 프라시야브에게 공격을 받는다.이란 궁수에게 산에서 화살을 쏘게 하고, 그 화살이 어디에 떨어졌는지를 국경으로 하는 협정이 이루어졌다.화살은 이란과 [105]터키 사이의 경계가 되는 옥수스 강의 발흐 근처에 떨어졌다.

마누시르가 죽은 후, 타바리는 마누시르의 후손인 자우가 [105][106]왕으로 선택될 때까지 프라시야브가 페르시아를 정복하고 통치했다고 말한다.Zaw는 Frasiyab을 몰아냈고 "그의 통치로 인해 길러졌고 그의 [107]신하들에게 잘 행동했다."그는 카야니아 [108]왕가의 첫 번째 왕족인 카이쿠바드에 의해 계승되었다.

중요성

정치적 합법성에 물들기 위해 몇몇 고대 및 중세 이란 왕조는 피시다디아의 후손이라고 주장했다.이슬람 정복 이전에는 피쉬다디아인과 카야인 [109]양쪽의 혈통을 주장하는 사산인들도 있었다.정복 후 이슬람 왕조들조차도 피시다드 혈통을 주장했는데, 예를 들어 사만 [110]왕조가 그랬다.후에, 중세 왕들과 이란의 통치자들은 샤나메의 신화적인 왕들의 이야기에 큰 영향을 받았다.피쉬다디아인들과 다른 신화적인 왕들과 영웅들에게 귀속된 가치와 행동은 "왕자들을 위한 거울"로 여겨졌다.통치자들은 샤 타하스프의 샤나메나 대몽골 샤나메와 같은 호화로운 작품 원고를 계속 의뢰했는데, 이는 심지어 그 이야기의 훌륭한 복사본을 소유함으로써 통치자가 정치적 [111]정당성을 축적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샤나메와 그 전설은 이란, 아프가니스탄, 타지키스탄 [112]국민의 문화적 정체성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이란 사람들의 문화와 믿음에 대한 신화적인 이야기의 영향은 엄청나며, 이란의 교육, 문학,[113] 사회에 퍼져있다.특히, 고고학과 현대 역사 학문의 증거에도 불구하고, 피시다드 왕조와 마찬가지로 신화적인 후계자인 카야니아인들은 이란의 역사에 대한 페르시아 사람들의 관점의 핵심에 있으며 그들의 국가 [114]정체성에 대한 인식을 알려준다.이는 이란인들이 아케메네스 수도 페르세폴리스의 신화적 이름인 Takht-e Jamshdd(잠시드의 [115]왕좌)를 고집하는 데서 나타난다.

메모들

  1. ^ 그러나 A. C. S. 피콕은 페르도시가 이슬람 [24]전통을 따르지 않는다는 견해에 이의를 제기했다."…피르다우시는 죽어가는 자국의 문화를 보존하고 이란 조상들로부터 물려받은 전통을 엄격하게 지키려는 열정적인 전통주의자로서의 이미지가 완전히 [25]드러나지 않았습니다."
  2. ^ Keyumarth(게요마드)와 Jamshid.[40]
  3. ^ 의 묘사는 16세기 삽화 필사본인 샤 타흐마스프샤나메와 17세기 초 오스만 필사본인 페레이둔과 14세기 위대한 일칸 필사본으로 알려진 자브와 가르샤프의 것을 제외하고는 축소판이다.
  4. ^ Farvardin Yasht에서 볼 수 있듯이, 마누스치트라의 프라바시를 포함한 프라바시들[68]성층권에 거주하는 강력한 초자연적 존재로서 그들을 숭배하는 이들을 보호하는 죽은 영웅들의 영혼이다.
  5. ^ 샤나메에 따르면, 자브는 타흐마스프의 아들이며 다른 [49]피쉬다디아인들과는 관련이 없다.
  6. ^ Garshasp는 더 오래되고 더 진짜인 Shahnameh 필사본에서 누락되어 있기 때문에 그는 시의 가짜 [77]후기의 보간일 수 있다.
  7. ^ 타바리가 사용한 아랍어 이름의 번역은 로젠탈(1989년)과 브린너(1987년)의 타바리 번역에 따른 것이다.아래 참고문헌을 참조하십시오.
  8. ^ 브리니너는 타바리의 번역에서 "텍스트에는 프라스야트가 있다(아프라스야브, 프라스야브)"고 언급하고 있으며,[86] 그는 번역에서 프라스야브를 사용한다.
  9. ^ 타바리는 또한 하인을 계급으로 언급하지만, 이것이 4계급이라는 진술과 어떻게 들어맞는지 불분명하다.후기 작가인 이븐 알-아티르는 타바리의 이야기를 반복하지만, 하인들은 다른 네 계급 각각에 대해 그려진다고 말한다.반면 발라미에는 종교학자와 함께 2급 비서진을 포함시켜 [97]4명으로 유지한다.

레퍼런스

  1. ^ a b Abdulaev 2018, 페이지 337. 오류:: 2018
  2. ^ 데이비스 2007, 13페이지
  3. ^ 브룩쇼 2020, 페이지 157
  4. ^ a b 1990년 Puhvel, 페이지 443~444.
  5. ^ 2013년 서브텔니, 페이지 44
  6. ^ a b Skjérvö 2011, 페이지 2
  7. ^ 다바란 2010, 페이지 71
  8. ^ a b Yarshater 1983, 페이지 364
  9. ^ 카몰라 2019, 페이지 98
  10. ^ a b c d e Yarshater 1983, 페이지 360
  11. ^ 피콕 2011, 페이지 65
  12. ^ a b c d 루이스 2013, 페이지 492-493.
  13. ^ Garthwaite 2005, 페이지 126
  14. ^ a b de Blois 2000, 318–319페이지.
  15. ^ 데이비드슨 2009, 264-265페이지.
  16. ^ 로렌츠 2007, 페이지 295
  17. ^ a b BeDuhn 2014, 페이지 136.
  18. ^ 데이비스 2007, 페이지 xix
  19. ^ Khalegi-Motlagh 1983, 페이지 337. 오류::
  20. ^ Zutphen 2014, 페이지 2
  21. ^ Khalegi-Motlagh 1999, 페이지 514-523. 오류::
  22. ^ a b 데이비드슨 2019, 페이지 14
  23. ^ Essa 2010, 페이지 170
  24. ^ 피콕 2018, 페이지 6
  25. ^ 피콕 2018, 페이지 11
  26. ^ a b 데이비스 2007, 페이지 xx
  27. ^ 데이비스 2006, 페이지 233
  28. ^ 기아 2016, 페이지 52-53
  29. ^ Skjérvö 2011, 페이지 22
  30. ^ a b 기아 2016, 페이지 1
  31. ^ 야샤터 1983, 페이지 412~413.
  32. ^ BeDuhn 2014, 페이지 136–137.
  33. ^ 보즈워스 1983 페이지 489
  34. ^ a b Yarshater 2004, 페이지 229–307. 오류:: 2004
  35. ^ 2020년 퀸, 페이지 113
  36. ^ 피콕 2018, 페이지 5
  37. ^ a b c d e 라스만 2021, 페이지 38
  38. ^ 사반트 2013, 페이지 46
  39. ^ 다니엘 2012, 페이지 103-104.
  40. ^ 다니엘 2012, 페이지 111
  41. ^ 다니엘 2012, 110-111페이지.
  42. ^ 그리고르 2021, 3장
  43. ^ a b c d 기아 2016, 페이지 52
  44. ^ a b c 기아 2016, 페이지 55
  45. ^ 아레시안 2013, 페이지 149
  46. ^ 기아 2016, 페이지 52, 55
  47. ^ a b c d e Shahbazi 2004, 페이지 200-202.
  48. ^ 기아 2016, 페이지 55-56.
  49. ^ a b c 피셔 2004, 페이지 78
  50. ^ Skjérvö 2011, 페이지 21
  51. ^ Skjérvö 2011, 페이지 22-24.
  52. ^ 야샤터 1983, 페이지 412~415, 420~424.
  53. ^ 카차두리아 2016, 페이지 1
  54. ^ Skjérvö 2011, 페이지 22-23.
  55. ^ 아레시안 2013, 페이지 148
  56. ^ a b Cosman & Jones 2016, 페이지 707. 오류:: Jones2016
  57. ^ 호건 2003, 페이지 114
  58. ^ a b c 기아 2016, 페이지 64
  59. ^ a b c Skjérvö 2011, 페이지 23
  60. ^ 로렌츠 2007, 페이지 297
  61. ^ a b 안사리 2012, 페이지 216-217.
  62. ^ 로렌츠 2007, 페이지 299
  63. ^ a b c d e Tafazoli 1999, 531–533. 오류:: 1999
  64. ^ a b c d 기아 2016, 페이지 18
  65. ^ a b 기아 2016, 페이지 34
  66. ^ a b c d 기아 2016, 페이지 49
  67. ^ 기아 2016, 페이지 20
  68. ^ 보이즈 2000, 195-199페이지.
  69. ^ Farvardin Yasht 1883, 131 (p.222).
  70. ^ a b c 기아 2016, 페이지 56
  71. ^ Yarshater 1984, 페이지 572. 오류:: CITREFYarshater (
  72. ^ 루바노비치 2012, 페이지 32, 주 40
  73. ^ 웨스트 1880, 페이지 136
  74. ^ 기아 2016, 페이지 47
  75. ^ 다메스테터 1883, 페이지 221, 주 9.
  76. ^ Farvardin Yasht 1883, 131 (p.221).
  77. ^ Zutphen 2014, 페이지 159
  78. ^ a b Zutphen 2014, 페이지 158-162.
  79. ^ Savant 2013, 39-40페이지.
  80. ^ 2013년 서브텔니,
  81. ^ 브리니너 1987, 페이지 1 주 1
  82. ^ Brinner 1987, 페이지 1, 7 (주 5, 30, 31).
  83. ^ 브리니너 1987, 페이지 24, 노트 76.
  84. ^ Zutphen 2016, 페이지 223. 오류:: 2016
  85. ^ Yarshater 1984, 페이지 570. 오류:: CITREFYarshater (
  86. ^ 브리니너 1991, 112페이지, 주석 623.
  87. ^ a b 2020년 퀸, 페이지 113~115
  88. ^ Yarshater 1983, 페이지 421
  89. ^ 기아 2016, 페이지 31
  90. ^ a b 라스만 2021, 37-38페이지
  91. ^ 라스만 2021, 페이지 41-42
  92. ^ Tabari 1989, 172 (페이지 342).
  93. ^ 타바리 1989, 175 (344–345페이지)
  94. ^ 타바리 1989, 176 (345페이지)
  95. ^ a b 타바리 1989, 179 (348페이지)
  96. ^ a b Skjérvö 2008, 페이지 501–522. 도움말)
  97. ^ 2002년 말로우, 페이지 79
  98. ^ 2002년 말로우, 페이지 78-79
  99. ^ 2002년 말로우, 페이지 80
  100. ^ a b 타바리 1987, 204 (p.3)
  101. ^ Tabari 1987, 203 (페이지 2)
  102. ^ Tabrai 1987, 208 (p. 8). 오류:: 1987
  103. ^ a b 타바리 1991, 434 (페이지 23)
  104. ^ 타바리 1991, 431 (p.19).
  105. ^ a b Yarshater 1984, 570–576. 오류:: CITREFYarshater (
  106. ^ 타바리 1991, 529 (112–113페이지)
  107. ^ 타바리 1991, 531 (114페이지)
  108. ^ 타바리 1991, 534 (페이지 116).
  109. ^ 페인 2012, 페이지 213
  110. ^ 다바란 2010, 페이지 157
  111. ^ 레오니 2008.
  112. ^ 기아 2016, 페이지 2
  113. ^ 나반디 2009, 245페이지
  114. ^ 시란 2017, 페이지 269
  115. ^ 안사리 2012, 페이지 104

참고 문헌

원본 번역

  • 번다히신 The Sacred Books of the East. Vol. 5: Pahlavi Texts. Translated by West, Edward William. Clarendon Press. 1880 [original text: 9th century CE]. pp. 1–152.
  • 파르바르딘 야슈트.The Sacred Books of the East. Vol. 23: The Zend-Avesta Pt. 2, The Sirozas, Yasts and Nyayis. Translated by Darmesteter, James. Clarendon Press. 1883 [original text: prior to mid-1st millennium BCE]. pp. 178–230.
  • Ferdowsi, Abolqasem (2007) [original text: c. 1010 CE]. The Shahnameh: The Persian Book of Kings. Translated by Davis, Dick. Penguin Books. ISBN 978-0-14-310832-0.
  • Tabari, Muhammad ibn Jarir ibn Yazid (1989) [original text: early 10th century]. "From the Creation to the Flood". History. Vol. 1. Translated by Rosenthal, Franz.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88706-563-7.
  • Tabari, Muhammad ibn Jarir ibn Yazid (1987) [original text: early 10th century]. "Prophets and Patriarchs". History. Vol. 2. Translated by Brinner, William 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88706-313-8.
  • Tabari, Muhammad ibn Jarir ibn Yazid (1991) [original text: early 10th century]. "The Children of Israel". History. Vol. 3. Translated by Brinner, William M.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ISBN 978-0-79140-688-5.

인용된 2차 저작물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