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크리티
Pokrytie҇ | ||||||||||||||||||||||||||||||||||||||||||||||||||||||||||||
---|---|---|---|---|---|---|---|---|---|---|---|---|---|---|---|---|---|---|---|---|---|---|---|---|---|---|---|---|---|---|---|---|---|---|---|---|---|---|---|---|---|---|---|---|---|---|---|---|---|---|---|---|---|---|---|---|---|---|---|---|
포크리티 | ||||||||||||||||||||||||||||||||||||||||||||||||||||||||||||
| ||||||||||||||||||||||||||||||||||||||||||||||||||||||||||||
《포크리타이(Pokrytie, ҇ )》는 구 교회 슬라보닉, 후기 중세 키릴 문학전통, 현대 교회 슬라보닉에서 사용되었던 키릴어의 역사적 분음 부호 중 하나이다.
키릴 문자(일명 '커버링(covering)')를 합친 커버(이름을 러시아어로 '커버링(covering)')에 맞게 변형된 티틀로를 개조한 것이다. sk, ′, although, з, х의 수정체를 조합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않지만, 특히 스코로피스에서는 예외가 발생한다.
이 캐릭터는 2008년 4월 유니코드 5.1에 도입되었다.
참고 항목
외부 링크
- Everson, Michael; Birnbaum, David; Cleminson, Ralph; Derzhanski, Ivan; Dorosh, Vladislav; Kryukov, Alexej; Paliga, Sorin; Ruppel, Klaas (2007-03-21), Proposal to encode additional Cyrillic characters in the BMP of the UCS (PDF), ISO/IEC JTC1/SC2/WG2 N3194R L2/07-003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