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성층권 구름
Polar stratospheric cloud극성층권 구름 | |
---|---|
약어 | PSC |
고도 | 15,000–25,000m (49,000–82,000피트) |
분류 | 기타 |
외관 | 선명한 무지개빛 컬러로 화사하게 빛나는 |
강수 구름? | 아니요. |
극성층권 구름(PSC)은 고도 15,000–25,000m(49,000–82,000ft)의 겨울 극성층권에 있는 구름이다. 그것들은 해가 지평선 아래 1도에서 6도 사이에 있을 때, 겨울과 더 북쪽 위도에서 가장 잘 관찰된다.[1] PSC의 한 가지 주요 유형은 대부분 과냉각된 물방울과 질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오존 구멍 형성에 관여한다.[2] 다른 주요 유형은 해롭지 않은 얼음 결정으로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유형의 PSC는 무지개(/ˈnerekri/s/, nacre 또는 진주의 어머니)라고도 한다.
포메이션
성층권은 매우 건조하다; 대류권과 달리, 그것은 좀처럼 구름을 형성하지 못하게 한다. 그러나 극지 겨울의 혹한기에는 다른 유형의 성층권 구름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물리적 상태와 화학적 구성에 따라 분류된다.[3]
높은 고도와 지구 표면의 곡률 때문에, 이 구름들은 지평선 아래로부터 햇빛을 받아 그것을 땅으로 반사할 것이며, 새벽이나 해질녘이 되기 훨씬 전에 밝게 빛날 것이다.
PSC는 -78°C(-108°F) 이하의 매우 낮은 온도에서 형성된다. 이러한 온도는 극지방의 겨울에 낮은 성층권에서 발생할 수 있다. 남극의 경우 -88°C(-126°F) 미만의 온도로 인해 II형 PSC가 자주 발생한다. 북극에서는 이런 저온 현상이 더 드물다. 북반구에서 산에 의한 이파 발생은 지역적으로 낮은 성층권을 냉각시키고 렌즈콩 PSC의 형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구름 속의 햇빛을 앞으로 가리는 것은 진주처럼 하얀 모습을 연출한다. 광학적으로 얇은 구름 안에 있는 입자들은 회절에 의해 색상의 간섭을 일으킨다. 색상의 가시성은 편광 필터를 사용하여 향상시킬 수 있다.[1][4]
종류들
PSC는 두 가지 주요 유형으로 분류되며, 각 유형은 여러 개의 하위 유형으로 구성된다.
- 제1형 구름은 일반적으로 지층이나 아지랑이를 닮은 성층형 모양을 하고 있다.[5] 그것들은 때때로 LIDAR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화학적 성분에 따라 하위 분류된다. 이 기술은 또한 구름의 높이와 주변 온도를 결정한다.[4] 그것들은 물, 질산, 그리고/또는 황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극지방 오존 고갈의 원인이다.[6] 오존 고갈에 대한 영향은 오존 파괴를 촉진하는 활성 염소를 생성하는 화학 반응을 지지하고 또한 오존 고갈을 증가시키는 방법으로 기체 질산, 변성 질소, 염소 사이클을 제거하기 때문에 발생한다.[7]
- 타입 Ia 구름은 질산 3하이드레이트(NAT)로 구성된 대형 비구체 입자로 구성된다.[4]
- Ib형 구름은 황산, 질산, 물의 STS(Supercooled Ternary Solution)의 작은 구형 입자(비분극화)를 포함한다.[4]
- Type Ic 구름은 고체상에서의 측정 가능한 수분이 풍부한 질산으로 구성된다.[8]
- 북극에서 매우 드물게 관측되는 제2형 구름은 권태형과 렌즈형 아형을 가지며, 물 얼음으로만 구성된다.[4]
제2종 구름만이 반드시 무감각한[1] 반면 제1종 구름은 다른 구름과 마찬가지로 특정 조건에서 무지개빛을 보일 수 있다. 세계기상기구는 더 이상 이 기사에서 볼 수 있는 영숫자 명칭을 사용하지 않으며, 초냉각 성층산-물 PSC와 권형-고환성 PSC만 구별한다.[10]
참고 항목
참조
- ^ a b c "Polar stratospheric clouds / Observations". Australian Antarctic Division.
- ^ "Why is the ozone hole over Antarctica?". United State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09-30.
- ^ Lowe, Douglas; MacKenzie, A. Robert (2008). "Polar stratospheric cloud microphysics and chemistry" (PDF). Journal of Atmospheric and Solar-Terrestrial Physics. 70: 13. Bibcode:2008JASTP..70...13L. doi:10.1016/j.jastp.2007.09.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8-03-14. Retrieved 2018-03-14.
- ^ a b c d e Maturilli, Maturilli. "Polar Stratospheric Clouds Above Spitsbergen". Alfred Wegener Institute for Polar and Marine Researc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8-24.
-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ed. (2017). "Nitric acid and water PSC, International Cloud Atlas". Retrieved 3 April 2019.
- ^ "Nacreous and Polar Stratospheric Clouds". atoptics.co.uk.
- ^ "Scientific Assessment of Ozone Depletion" (PDF).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02. 특히 섹션 3.2.2 (PDF 파일의 3.21페이지, 195페이지, 이하)[dead link]
- ^ "The presence of metastable HNO3/H2O solid phases in the stratosphere inferred from ER 2 data" (PDF).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데드링크]
-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ed. (2017). "Nacreous PSC, International Cloud Atlas". Retrieved 3 April 2019.
- ^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ed. (2017). "Upper atmospheric clouds, International Cloud Atlas". Retrieved 31 July 2017.
외부 링크
Wikimedia Commons에는 다음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극성층권 구름(범주) |
리서치
- Nacreous Clouds atoptics.co.uk
- 알프레드 베게너 연구소의 스피츠베르겐 상공의 극성층권 구름
뉴스 리포트
- "Rare cloud spotted". Sydney Morning Herald. AAP. August 1, 2006.
- https://news.yahoo.com/s/ap/20060801/ap_on_sc/antarctica_clouds_4[데드링크]
- http://www.cnn.com/2006/TECH/science/08/01/antarctica.clouds.ap/index.html[데드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