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네로르치스
Ponerorchis포네로르치스 | |
---|---|
![]() | |
일본 고자이쇼 산에 있는 포네로치스 그라미니폴리아 | |
과학적 분류 ![]() | |
킹덤: | 플랜태 |
클래드: | 기관지동물 |
클래드: | 안기오스페름스 |
클래드: | 모노코츠 |
순서: | 아스파라갈목 |
패밀리: | 난초과 |
하위 패밀리: | 난초아과 |
부족: | 난초과 |
하위 트리뷰: | 난초과 |
속: | 포네로르치스 Rchb.f.[1] |
동의어[1] | |
|
포네로르치스(Ponerorchis)는 아시아 육지 결핵성 난초(가족 난초과)의 속이다.온대 유라시아, 폴란드에서 일본까지, 인도 아대륙 북부와 인도차이나 북부가 원산지다.[1][2]
그것들은 온대, 산악지역의 상록수림과 초원에서 발견될 수 있다.일본 고유종인 포네로치스 치도리(Ponerorchis chidorii) 종도 경식적으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itation needed]
원예 무역에서 이 속은 "Pnr"[citation needed]로 약칭된다.주로 포네로치스 그라미니폴리아의 다양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지만, 일본 외에서는 거의 재배되지 않는다.[3]
설명
포네로키스 종은 난형결절에서 자란다.그들은 가느다란 식물로 보통 1-3개의 살집이 약간 있는 잎을 가지고 있다.꽃은 모두 줄기의 같은 면에 맺혀 있다.위쪽 세팔과 두 개의 측면 꽃잎이 후드를 형성한다.그 기둥은 짧고 분명한 측면 부속물이 있다.오명으로부터 폴리니아를 분리하는 로스텔룸이 있다.[4]
2014년에 그 속은 실질적으로 확장되었기 때문에, 오래된 서술이 개정된 속에는 반드시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포네로르치스는 비시디움(폴리늄 밑부분의 끈적끈적한 패드) 주위에 부르시클이나 '삭'이 있어 아미토스티그마, 네오티안테와 차별화되었다고 한다.그러나 이 특징은 이전에 아미토스티그마에 할당된 일부 종에서 존재하며 포네로르치스의 일부 종에서는 검출이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확장된 속에서는 부르시클이 존재하지만 다른 속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4]
분류학
계통발생 및 분류
포네로치스속은 1852년 하인리히 구스타프 레이첸바흐가 포네로치스 그라미니폴리아 종을 위해 세웠다.1997년과 2003년 사이의 혈전학 연구는 포네로르치스가 광범위하게 정의되었을 때, 아미토스티그마, 네오티안테, 헤미필리아와 함께 쇄골을 형성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포네로르치스는 당시 제한되었던 것처럼 단핵이 아니었다.2003년, 더 많은 종을 포함하는 추가 연구 이전에 포네로르치스는 추수아를 포함하도록 확대되었고, "오페란" 종은 포네로르치스에서 헤미필리아 브레비칼카라타(Hemipilia brevialcarata로 옮겨졌다.[5]2014년 보다 상세한 분자 계통생성학 연구는 아미토스티그마, 네오티안테, 포네로르치스 사이의 강한 관계를 확인시켜 주었는데, 그 종은 한 개의 쇄에 함께 섞여 3개의 생식 중 어느 것도 그때그때 할례를 받은 것이 아니었다.아미토스티그마와 네오티안테는 포네로르치스로 소분되어 상당히 큰 속성이 되었다.[4]
포네로치스는 이전에 폴리니아를 둘러싸고 있는 부르시클(푸치처럼 생긴 콘센트)이 존재하여 관련 제네라와 구별되었다.난초에서 적어도 네 번은 독립적으로 생겨났던, 부르시클의 유무에 대해서는 유용한 진단적 성격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4]
포네로치스는 난초 하위 가문인 난초과, 난초 부족인 난초과에 위치한다.위에서 설명한 대로 제네라를 다시 동그라미를 친 후, 포네로르치스와 나머지 하위 리브 사이의 관계는 아래 클래도그램과 같다.[4]
난초과 |
| ||||||||||||||||||||||||
종
2018년 3월 현재 승인된 종:[6]
- 포네로치스 알페스트리스 (후쿠이). X.H.Jin, 슈이트. & W.T.진 – N. & 센트럴 타이완
- 포네로치스 암플렉스폴리아(탕앤에프티)왕)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W. 쓰촨)
- 포네로르치스 바시폴리아타 (피넷)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S.E. 쓰촨, N. 윈난)
- 포네로치스 비두펜시스 (Aver.) X.H.Jin, 슈이트. & W.T.진 – S. 베트남
- 포네로르치스 비폴리타(Tang & F.T.왕)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N. 쓰촨, S. 간쑤)
- 포네르치스 브레비칼카라타 (피넷) 소오 – 중국 (S.W. 쓰촨 ~ N.W. 윈난)
- 포네로치스 캄프토케라스(롤프 전 헴슬) X.H.진, 슈이트 & W.T.진 – 중국 (W. & S.W. 쓰촨)
- 포네로르치스 카피타타(Tang & F.T.왕)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시촨, W. 후베이)
- 포네로치스 치도리이 (마키노) 오위 – 일본
- 포네로치스 추수아(D.돈) 소오 – 시베리아에서 히말라야로
- 포네로치스 콤팩타 (Schltr.)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W. 쓰촨)
- 포네로르치스 크레눌라타 소오 – 중국 (N.W. 윈난)
- 포네로치스쿠쿨라타(L.) X.H.진, 슈이트.&W.T.진 – 폴란드로 일본, 히말라야로
- 포네로르치스 돌리초센트라(Tang, F.T.왕앤케이.랑)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W. 쓰촨)
- 포네로키스 엑실리스 (Ames & Schltr.) SC.첸 – 중국(중앙 & N.E.윈난)
- 포네로치스 파베리 (롤페)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시촨, N.W. 윈난, N.E. 구이저우)
- Ponerorchis farreri (Schltr.) X.H.Jin, Schuit. & W.T.진 – S.E. 티벳에서 중국으로 (N.W. 윈난)
- 포네로치스 후지산엔시스(K)이노우에) J.M.H.쇼 – N. & 센트럴 재팬
- 포네로치스 공가샤니차(K.Y.Lang)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S.W. 쓰촨)
- Ponerorchis gracilis (Blume) X.H.Jin, 슈이트 & W.T.Jin – China to Temp.E. 아시아
- 포네로치스 그라미니폴리아 Rchb.f. – 한국, S. Central & S. Japan
- 포네르치스 헴피필리오아데스 (피넷) 소오 – 중국 (N.W. 윈난, 중부 구이저우)
- 포네로치스 주이오키아나 (마키노) 나카이 – N. Korea, Japan (중앙혼슈)
- 포네르치스 케이스케 (피넷) X.H.Jin, 슈이트 & W.T.진 – 일본(W. 혼슈).시코쿠)
- 포네로치스키노시테 (마키노) X.H.Jin, 슈이트 & W.T.진 – S. 쿠릴 열도 일본행 (호카이도, N. 혼슈)
- 포네로치스키라이센시스(하야타 주) 오위 – 타이완
- 포네로치스 레피다 (Rchb.f.) X.H.Jin, 슈이트. & W.T.진 – 일본 (S. 큐슈)에서 중앙 난세이 쇼토까지
- 포네르치스 림프리히티(슐트르) 소오 – 중국 중부
- 포네로르치스 루테올라(K.Y.Lang & S.C.첸)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N.W. 윈난)
- 포네로치스 모난타 (피넷) X.H.Jin, 슈이트 & W.T.진 – S.E. 티벳에서 중국 중앙으로
- 포네로치스 오브롱가 (K.Y.Lang)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N.W. 윈난)
- 포네로치스 오미샤니카(탕, F.T.왕앤케이.랑) SC첸 – 중국(시촨:에메이 샨)
- 포네로치스 오바타 (K.Y.Lang)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W. 쓰촨)
- 포네로르치스 파필리오나아과(Tang, F.T.왕앤케이.랑)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N.W. 쓰촨)
- Ponerorchis parcflora (Finet)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N.E. 쓰촨, 충칭)
- 포네로치스 파타키아나(Av.바타차르지) J.M.H.쇼 – 아루나찰 프라데시
- 포네로르치스 물리체라스 (Schltr.) X.H.Jin, 슈이트 & W.T.T.진 – 중국 (N.W. & W. 쓰촨)
- Ponerorchis puberula (King & Pantl.) 버름 – E. 히말라야
- 포네로치스 푸게엔시스 (K.Y.Lang) SC.Chen, P.J.Cribb & S.W.게일 – 중국 (S.W. 쓰촨)
- 포네로치스 렌지이 데바&H.B.나이타니 – W. 히말라야
- 포네로치스 세쿤디플로라 (Kraenzl.)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행 히말라야(W. 쓰촨, N.W. 윈난)
- 포네로치스 쓰촨성(K.Y.Lang) SC.Chen, P.J.Cribb & S.W.게일 – 중국(W. 쓰촨)
- Ponerorchis simplex (Tang & F.T.왕)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W. 쓰촨, N.W. 윈난)
- 포네로르치스 타이완엔시스(후쿠이) 오위 – 센트럴 & S.타이완
- 포네르치스 다카사고 몬타나(마삼). 오위 – 센트럴 & E.타이완
- 포네로치스 테트라로바 (피넷)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S.W. 쓰촨, W. 윈난)
- 포네로르치스 타이이카(세이덴프). & 티스통) X.H.Jin, 슈이트 & W.T.진 – N.태국.
- 포네로치스 티베티카 (슐트르) X.H.Jin, 슈이트. & W.T.진 – S.E. 티벳에서 중국으로 (N.W. 윈난)
- 포네로치스 토미나개 (하야타) H.J.수앤 주니어 J.첸 – 타이완
- 포네로르치스 트리푸르카타(Tang, F.T.왕앤케이.랑)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N.W. 윈난)
- 포네로치스 완샤넨시스(W.H.Chen, Y.M.수이앤케이.랑) X.H.Jin, 슈이트 & W.T.진 – 중국 (연난)
- 포네로치스유에아나(탕앤에프티)왕) X.H.Jin, 슈이트 & W.T.진 – S.E. 티벳에서 중국으로 (N.W. 윈난)
분배
포네로키스 종은 주로 온대 지방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나 북부 인도-중국까지 분포하고 있다.유럽에서는 폴란드와 동유럽에서 발견된다.온대 아시아에서는 시베리아에서 러시아 극동, 몽골, 중국, 동아시아까지 뻗어 있다.인도 아대륙(서쪽 히말라야, 네팔, 동쪽 히말라야, 아삼 지역) 북쪽과 인도차이나 북부(미얀마, 태국, 베트남)에서도 발견된다.[1]
참조
- ^ a b c d "Ponerorchis".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Royal Botanic Gardens, Kew. Retrieved 2018-03-22.
- ^ 중국의 Flora v 25 p 92, 小红门属 xiao xiao 샤오홍남란슈, 포네로르치스
- ^ Stewart, Joyce (1994). "Ponerorchis: alpine orchid gems from Japan". The New Plantsman. 1 (1): 29–35.
- ^ a b c d e Jin, Wei-Tao; Jin, Xiao-Hua; Schuiteman, André; Li, De-Zhu; Xiang, Xiao-Guo; Huang, Wei-Chang; Li, Jian-Wu & Huang, Lu-Qi (2014). "Molecular systematics of subtribe Orchidinae and Asian taxa of Habenariinae (Orchideae, Orchidaceae) based on plastid matK, rbcL and nuclear ITS".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77: 41–53. doi:10.1016/j.ympev.2014.04.004. PMID 24747003.
- ^ Bateman, Richard M.; Hollingsworth, Peter M.; Preston, Jillian; Luo, Yi-Bo; Pridgeon, Alec M. & Chase, Mark W. (2003).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of Orchidinae and selected Habenariinae (Orchidaceae)". Botanical Journal of the Linnean Society. 142 (1): 1–40. doi:10.1046/j.1095-8339.2003.00157.x.
- ^ "Search for Ponerorchis".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Royal Botanic Gardens, Kew. Retrieved 2018-03-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