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브롤터 항

Port of Gibraltar
지브롤터 항
PortofGibraltar2.jpg
지브롤터 항
위치
나라지브롤터
위치지브롤터동부 해안
좌표36°08′55″N 5°21′55″w/36.1485°N 5.3652°W/ 36.1485; -5.3652
통계
선박입고Decrease1만350척(2011년)[1]
웹사이트
www.gibraltarport.com

지브롤터 항구(Port of Gibraltar Harbour)는 영국 해외 지브롤터 영토항구다.나폴레옹 전쟁 때는 전략적으로 중요한 위치였고, 1869년 이후에는 수에즈 운하를 통해 인도로 가는 배들의 보급지점 역할을 했다.[2]지브롤터 항구는 영국 해군이 다음 두 개의 최대 라이벌 해군을 통합하여 격퇴할 수 있도록 하는 영국 정부의 정책의 일환으로 19세기에 변형되었다.지브롤터와 몰타 둘 다 어뢰를 방증하도록 되어 있었고, 그 결과 남북 몰이 확장되고 분리된 몰이 건설되었다.3개의 대형 건조 부두가 건설되었고 1894년까지 계획을 이용할 수 있었다.2,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요구되었고 죄수 노동이 버려진 이후로 요구되지 않았던 낡은 배들에 실어야 했다.돌과 모래에 대한 수요로 인해 지브롤터의 바위관통하는 해군 터널을 건설할 필요가 있었다.[3]

1903년 에드워드 7세는 자신의 이름을 따서 새로운 지브롤터 항구의 3번 독의 이름을 짓기 위해 도착했다.[3]알렉산드라 여왕은 1906년 HMY 빅토리아와 앨버트에 도착했고 이듬해 영국 왕세자비와 프린세스 오브 웨일즈는 2번 선착장에 이름을 붙이고 1번 선착장에 이름을 붙였다.[3]

2009년부터 이 부두는 기독으로 알려져 있다.[4]

역사

항구의 역사

1704년 스페인이 지브롤터 전투에서 패한 후, 항구는 영국의 일부가 되었다.1713년, 위트레흐트 조약의 X조는 지브롤터 시에 대해 스페인이 가지고 있는 모든 권리를 공식적으로 종식시키기 위해 만들어졌다.일단 협정이 완성되자 영국은 항구를 완전히 장악하고 소유하게 되었다.[5]지브롤터 인수는 당시 영국인들이 런던에서 지중해 도시로 배를 보낼 수 있게 해준 엄청난 승리였다.이 항구는 대서양과 지중해를 연결하는 문으로 보였다.그것은 영국이 무역을 확장할 수 있게 해준 위대한 혁신이었다.결과적으로, 앤 여왕은 1706년 2월에 지브롤터 항구를 자유항으로 만들었다; 이 간단한 결정은 지역사회에 큰 경제적 영향을 미쳤다.[5]이 법은 어떠한 형태의 보상세도 지불할 필요 없이 어떤 국제 선박도 무역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북아프리카, 터키, 이탈리아 및 다른 국적의 선박들이 자유롭게 상품을 거래할 수 있도록 세금 없이 무역이 허용되어 지브롤터가 유럽에서 가장 중요한 항구 중 하나가 되었고, 전 세계 선박들이 그들의 상품을 거래하기 위해 왔다.

첫 시작

18세기 중반 지브롤터 항은 영국 해군의 해군 기지가 되었다.해군 함대 전체 함대와 4,000명의 병사가 항구에 배치되어 그들의 왕의 명령을 기다리는 중요한 전술 지점의 역할을 했다(Constantine, S. & Blinkhorn, M 2009).[6]따라서, 항구를 확보하게 된 영국은 항구의 경제적 자산을 이용하는 데 주력했다.세계 무역의 요충지로서 지브롤터 항은 지중해의 여러 도시에 와인을 수출하고 있었으므로 영국은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였다.이것은 그 도시에 주요 와인 공장이 있었기 때문에 수출의 주요 산물이었다.그러나 향신료, 면화, 그리고 많은 수입품들로 가득 찬 배들은 지브롤터 항구를 최종 목적지로 가지고 있었다.이 항구는 유럽 전역으로 물자를 배급할 수 있게 해 유럽과 지중해로 수출입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 되었다.세계에서 가장 번화한 항구 중 하나였기 때문에 일자리 창출이 가능했다.이것은 지브롤터 항을 일자리를 찾는 이민자들에게 완벽한 장소로 만들었다.주요 공급 연결고리로서 모로코(Constantine, S. & Blinkhorn, M 2009)의 테투안 시로부터 수입된 영국군을 위해 소고기, 머튼 등의 신선제품을 배출하기 위한 대규모 노동력이 요구되었다.[6]그러므로, 놀랍게도, 영국을 포함한 어떤 나라의 배라도 그들이 물자를 들여온다면, 지브롤터와 완전히 자유롭게 무역할 수 있었다.이것이 1770년대 북미에서 온 선박들이 담배, 슈가, 면, 목재, 말린 대구, 럼; 쌀을 지브롤터 항구를 통해 수입한 이유였다.그 결과 유럽과 아시아 전역으로 수입품이 유통될 수 있었다.지브롤터 항은 국제 무역 시장의 중심지로서 이번 거래에서 통화 거래량이 많았다.[6]그러나, 많은 경우에 있어서, 항구는 무역지점일 뿐만 아니라 세계의 다른 항구로 재수출되는 수송품의 교환이었다.이 새로운 혁신은 지브롤터를 오늘날까지 가장 성공적인 항구로 만든 것이다.

새로운 시민

1905년 상부타운에서 본 지브롤터 항구의 모습

지브롤터 항구의 대 성공은 전쟁과 가난에서 탈출하려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지브롤터 항은 노동력이 필요한 세계적인 무역 지점이었다.이것은 이민자들이 가족을 부양할 수 있는 안정된 직업을 얻으려고 하는 혁명을 일으켰다.지브롤터 항은 이민자들이 일자리를 찾을 수 있는 명소였다.그 결과, 지난 몇 년간 약 1,500가구가 지브롤터로 이주하여 항구에 엄청난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이민자들은 스페인이 그 항구를 지탱할 수 있는 노동력 없이 그 도시를 떠나면서, 스페인이 영토를 잃고 떠난 후에 그 항구에 대한 훌륭한 해결책이 되었다.[7]약 450명의 원주민이 그 항구에 머물렀고, 그 후 영국이 항구를 점령했다.그 결과, 열린 자리는 유럽, 북아프리카, 지중해 각지에서 온 이민자들이 차지했다.따라서 항구를 계속 운영할 뿐 아니라 도시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재복구가 필요했다.또한, 많은 이민자들이 영국의 부유한 가정의 하인으로 고용되었고 많은 이민자들은 지브롤터(Levey, D.28) 페이지 39–45에 그들 자신을 설립하기로 결정했다.[8]일단 이민자들이 자리를 잡으면 항구는 매일 항구에서 들어오는 배들을 따라잡을 수 있었다.항만 노동자들은 배를 손으로 배출하고 싣는 일을 담당했다.따라서, 영국 정부는 이민자들이 항만 운영(Levey, D.2008) 페이지 39–45를 유지하기 위해 인구의 일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허용했다.[9]따라서, 혼합 관계의 인구 사례에서, 혼합된 문화가 생성되기 시작했다.[10]이것은 세기의 새로운 혁신이었는데, 당시 혼합 관계는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에 논란을 일으켰다(Levey, D.28) 페이지 39–45.[9]당시 지브롤터에 있었던 주요 인종은 영국인, 스페인인, 제노인, 미노인, 말테인, 유대인, 인도인이었다.이들 인종간의 결혼은 지브롤타리아인으로 알려진 새로운 형태의 시민들을 만들었다.그 이후로 지브롤터인들은 지브롤터 항에 머물면서 항구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게 되었다.따라서 지브롤터리아인은 인구의 81.2%, 영국인은 11.4%, 비영국은 7.4%를 차지해 현재까지 총 29,876명이 살고 있다.[10]

로컬 비즈니스

19세기 지브롤터 항은 지브롤터 사람들에게 사업 기회를 허용한 주요 세계 무역 지점들 중 하나이다.따라서 1800년대에 항구에서 일하는 많은 사람들은 숙련된 상업 무역업자가 될 수 있었다(Brown, J.2012) 페이지 22–25.[11]상업 상인들로서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은 지역 인구 소비에 대해 도시 주변의 상품들을 불신했다.또한 이들 상인은 고객과 수입품을 운반하는 선박 사이의 중개자였다.따라서 항구로 반입된 제품을 제3자 업체로 확대하는 데 일조했기 때문에 항만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지브롤터 항은 전 세계로부터 선박을 받아 전 세계 수입품(브라운, J.2012) 22~25페이지의 수입품을 가져올 수 있는 몇 안 되는 선박 중 하나를 만들었기 때문에 국제 무역에 대한 수요는 항상 높았다.[12]따라서 지브롤터 항은 보통의 상인을 중요한 사업가로 만들어 상품을 팔고 거래함으로써 그들 자신의 부를 쌓을 수 있게 했다.수요가 많은 제품 중 하나는 타바코와 알코올로 유럽에 유통되었다.많은 지브롤터 사람들이 거래 이후 가져간 좋은 기회는 돈을 벌 수 있는 아주 좋은 방법이었다(브라운, J.2012). 22–25페이지.[11]따라서 항만경제가 절정에 달했을 때 많은 기업인들이 돈을 벌고 스스로 부자가 되고자 하는 결과를 낳았다.이러한 결과, 새로운 형태의 기업가들은 선박 역과 바를 수리하는 것으로부터 항구에 새로운 사업을 창출했다.새로운 사업은 일자리를 창출함으로써 지브롤터 항만의 경제에 도움을 주었다.그러나 지브롤타리아인들이 돈을 버는 또 다른 방법은 밀수품이었다.이것은 지브롤터 항구가 사용된 방법 중 하나였다. 많은 상인들이 세금을 내지 않았기 때문에 그들의 자본을 이렇게 만들었다.밀수업은 항만에서 경제에 가장 많은 이익을 남긴 두 번째 영업이었다.스페인과 지브롤터 둘 다 멈추려고 하는 것은 큰 문제였지만 많은 밀수업자들은 저항할 수 없었다.(Stockey, G&Grocott, C 2012) 페이지 37–42.[10]이 두 가지 수입원은 지브롤터 무역항과 밀수품의 기둥이었다.시간이 지날수록 규제가 강화되면서 지브롤터 항에서 밀수품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됐다.새로운 세기는 지브롤터 항구의 현대화를 돕기 위해 필요한 승인을 얻은 국제 기업들을 세계에서 가장 현대적인 항구로 만들었다.

지브롤터의 현대 항구

오늘날 지브롤터 항은 전략적인 위치 덕분에 대서양지중해 사이의 "결혼식 관문"으로 거듭나고 있다.[13]세계 무역의 기로에 선 이 항구는 지중해에서 가장 큰 벙커링 항구와 모든 종류의 선박에 개방된 저명한 해상 집결지가 되었다.[13][14]매년 약 2억 4천만 톤의 선박이 항구에 출항하고 있으며, 6만 척의 선박이 지브롤터 해협을 통과하고 있다.[14]이 항구는 또한 지브롤터 국제 공항과 근접해 있어 승무원 교체와 식량 및 예비 부품 공급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익을 얻는다.[14]

2005년에는 항구의 안전과 서비스 향상을 목적으로 지브롤터 항만공사를 설립하였다.[14]

이 항구에는 기독이라는 이름의 긴급 건조 도킹과 주요 수리가 가능한 조선소가 있다.[13][15][4]영국 해군이 훈련 목적으로 자주 이용하거나 아프리카와 중동으로 갈아타는 선박의 경유지로 자주 이용된다.[16]영국 해군은 또한 지브롤터 영해 경비 임무를 맡고 있는 지브롤터 대대의 일부로서 항구 내에 두 척의 경비정을 상주시키고 있다.[16][17]이 배들은 지브롤터 지위에 대한 영국과 스페인 간의 주권 분쟁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스페인의 침략을 해결하기 위해 항구로부터 정기적으로 배치된다.[18]

이 항구는 인기 있는 관광지가 되었고 유람선의 단골 요충지다.2006년에는 65척의 유람선이 항구에서 202건의 통화를 해 21만800명의 승객이 탑승했다.[15]항만에는 크루즈 터미널이 있어 관광안내소, 카페테리아, 편의점 등이 완비된 데다 중형선박 4척이나 대형선박 2척을 동시에 수용할 수 있는 길이 940m(0.94km)의 부두가 있다.[15]

2017년 지브롤터 항만청 CEO 겸 선장 밥 상구이네티 준장은 브렉시트가 항만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상구이네티에 따르면 브렉시트는 항구 침대의 30%를 보관하는 스페인의 알헤시라스를 비롯해 부품과 식량, 사람 이동에 지장을 줄 수 있는 국경 제한까지 추가하면서 EU의 일부지만 부가가치세 미사용 연료를 훼손하는 위험을 감수했다.연료가 [19]흐르다

참조

  1. ^ "Statistics – Ships Calling". gibraltarport.com. Port of Gibraltar. Retrieved 29 August 2012.
  2. ^ "An Outline of the Port Infrastructure". Port of Gibraltar Handbook 2010–11. Gibraltar Port Authority. 2011. p. 13. Retrieved 29 August 2012.
  3. ^ a b c Jackson, Sir William G. F. (1990). The rock of the Gibraltarians : a history of Gibraltar (2nd ed.). Grendon: Gibraltar Books. pp. 257–267. ISBN 0948466146.
  4. ^ a b 지브롤터 크로니클 Cammell Laird Gibraltar가 Wayback Machine에 2012년 2월 27일 보관된 'Gibdock'이 됨
  5. ^ a b Stockey, G&Grocott, C(2012년).지브롤터:현대사.웨일즈 대학교 출판부.http://site.ebrary.com/lib/csum/detail.action?docID=1063980에서 검색됨
  6. ^ a b c 콘스탄틴, S. & Blinkhorn, M (2009)공동체와 정체성: 1704년 이후 현대 지브롤터를 만들었다.맨체스터:맨체스터 대학 출판부.http://site.ebrary.com/lib/csum/reader.action?docID=10623326에서 검색됨
  7. ^ 머스틴, J(2011) 넬슨의 피난처: 나폴레옹 에이지의 지브롤터.해군 기관 기자단.http://site.ebrary.com/lib/csum/detail.action?docID=10500079에서 검색됨
  8. ^ 레비, D(2008)지브롤터의 언어 변화와 변화존 벤자민 출판사http://site.ebrary.com/lib/csum/detail.action?docID=10217823에서 검색됨
  9. ^ a b 레비, D(2008)지브롤터의 언어 변화와 변화존 벤자민 출판사http://site.ebrary.com/lib/csum/detail.action?docID=10217823에서 검색됨
  10. ^ a b c 콘스탄틴, S. & Blinkhorn, M (2009)공동체와 정체성: 1704년 이후 현대 지브롤터를 만들었다.맨체스터:맨체스터 대학 출판부.http://site.ebrary.com/lib/csum/reader.action?docID=10623326에서 검색됨
  11. ^ a b 브라운, J(2012년).마그립의 역사와 사회에 관한 연구, 제2권: 해협을 건너다 : 18세기 모로코, 지브롤터, 19세기 영국.브릴 리커버 프롬 http://site.ebrary.com/lib/csum/detail.action?docID=10562450
  12. ^ 브라운, J(2012년).마그립의 역사와 사회에 관한 연구, 제2권: 해협을 건너다 : 18세기 모로코, 지브롤터, 19세기 영국.브릴 리커버 프롬 http://site.ebrary.com/lib/csum/detail.action?docID=10562450
  13. ^ a b c "Gibraltar Port Authority Handbook 2015–17" (PDF). Gibraltar Port Authority.
  14. ^ a b c d "Port Information". Gibraltar Port Authority. Retrieved 22 October 2020.
  15. ^ a b c "Port of Gibraltar". World Port Source. Retrieved 22 October 2020.
  16. ^ a b "Gibraltar Squadron". Royal Navy. Retrieved 22 October 2020. With its rocky terrain and Mediterranean climate, the island is used primarily for training purposes and as a stopover for ships and aircraft on their way to or from Africa or the Middle East.
  17. ^ "Territorial Waters: The Royal Navy's Role In Gibraltar". BFBS. 20 February 2020. Retrieved 22 October 2020.
  18. ^ "Government Response to the House of Commons Foreign Affairs Committee's Second Report of Session 2014–2015 (HC 461) Gibraltar: Time to Get Off the Fence" (PDF). UK Parliament. Retrieved 22 October 2020.
  19. ^ "Brexit Could Have Severe Impact on Gibraltar's Bunkering". Offshore Energy. 2 March 2017. Retrieved 22 October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