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현 상태 제어
Port state control
항만국가통제(PSC)는 국기국가가 아닌 항만 내 외국인 등록 선박을 검사하고, 준수하지 않는 선박에 대해서는 국가가 조치를 취하는 검사 체제다. PSC를 위한 검사관은 PSC 임원(PSCO)이라고 불리며, SOLAS, MARPOL, STCW, MLC 등 국제 협약의 요건 준수를 조사해야 한다. 점검에는 해당 국제법에 따라 선박이 유인·운항되고 있는지 확인하고, 선장과 임원의 역량, 선박 상태 및 장비 등을 검증하는 작업이 포함될 수 있다.[2]
역사
깃발. | 파리 블랙리스트 | 도쿄 블랙리스트 | USCG 대상 목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978년, 다수의 유럽 국가들은 헤이그에서 ILO의 규정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선상 노동조건 감사를 위한 각서에 합의했다. 그해 아모코 카디즈가 침몰한 뒤 안전과 공해 관행도 감사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1982년 유럽 14개국이 파리항만국관리 양해각서(MOU)에 합의해 항만국가통제체제를 구축했다. 오늘날 26개의 유럽 국가들과 캐나다는 파리 MoU의 서명국이다. PSC는 그들의 조사와 인증 책임을 분류 사회에 위임했던 국기 국가들, 특히 편의 주의 국기들이 실패한 것에 대한 반응이었다.
파리의 양해 각서에 젊고, 여러 다른 지역의 양해 각서들, 도쿄 MOU(태평양)[5]Acuerdo 라틴계나 Acuerdo 드 Viña 델 마르(남과 중앙 아메리카)[6]캐리비안 MOU,[7]등에 서명하신 지중해 MOU,[8]은 인도양 MOU,[9]은 아부자 MOU(서부와 중앙 대서양 아프리카)[10]는 흑해 MOU,[11]과 리영호다.yadh MOU(페르시아 만).[12]
점검 및 시행
항만국관리국(PSC)은 항만국관리국(PSCO)이 취항하는 선박을 검사한다. 파리 MoU 연차보고서는 2007년 항만국 관리 검사에서 총 7만4713건의 결함이 기록되었으며, 이 결함으로 그해 1250명이 구금되었다고 보고했다.[13] 선박의 억류는 PSCO가 선박에서 결함을 발견했을 때 취할 수 있는 마지막 조치다.
PSCO가 결함이 있는 선박에 부과할 수 있는 조치 과정은 다음과 같다([14]중력 상승 순서).
- 경미한 위반에 대해서는 14일 이내에 결함을 시정할 수 있다.
- 구체적인 조건 하에서는 배가 다음 항구에 도착할 때 결함이 시정될 수 있다.
- 배가 출항하기 전에 결함을 고쳐야 한다.
- 선박의 억류 사태가 발생한다.
제재
항만국들은 또한 벌금과 함께 위반을 제재할 수 있다(구금 등 제외). 항만 국가는 또한 특정한 경우에, 예를 들어 선박이 MARPOL 부속문서 6의 0.5% 황 한계치를 위반하는 경우, 공해상에서 발생하는 그러한 위반에 대한 관할권을 주장할 수 있다. 이러한 집행과 제재에 대한 치외법권적 관할 근거는 유엔해양법협약(UNCLOS) 제 XII절의 특별 규정에서 찾을 수 있다.[15]
참조
- ^ Viña del Mar Agreement: Latin American Agreement on Port State Control of Vessels (PDF). Acuerdo de Viña del Mar. Retrieved 7 May 2018 – via Центр Морского Бизнеса.
- ^ 포트 스테이트 컨트롤 – 파리 MoU – 마르셀라 라자리니 – LJMU 2015의 성과
- ^ "Shipping Industry Flag State Performance Table 2020/2021" (PDF). International Chamber of Shipping.
- ^ "Current Registries Listed as FOCs". International Transport Workers' Federation.
- ^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Port State Control in the Asia-Pacific". www.tokyo-mou.org.
- ^ ":: Acuerdo Viña del Mar 1992 ::". alvm.prefecturanaval.gob.ar.
- ^ "Home CaribbeanMOU". www.caribbeanmou.org.
- ^ http://www.medmou.org
- ^ "Home- Welcome to Indian Ocean Memorandum of Understanding on Port State Control". www.iomou.org.
- ^ "Abuja MOU". www.abujamou.org.
- ^ "Black Sea MOU". www.bsmou.org.
- ^ "Riyadh MoU". www.riyadhmou.org.
- ^ 파리 MOU(2007), "주요 범주별 효율성", 2007년 연례 보고서 – Port State Control에 관한 파리 MoU, 22-23페이지.
- ^ 외사이어, Z.O. (2004) "포트 상태 제어의 실제적 시사점: 항만국 통제구제의 계약적 효과". 미트로풀로스, E.E. 항만 상태 제어, 2차 에드, LLP, 런던, 페이지 509, 520–521
- ^ Jesper Jarl Fanø(2019). UNCLOS를 통한 대기오염에 관한 국제해양법 시행. 하트 퍼블리싱.
외부 링크
- Paris MoU on Port State Control(공식 웹사이트)
- 항만 국가 통제 (2009년 7월 7일 국제해사기구 웹사이트 아카이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