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투갈 리얼
Portuguese real진짜(포르투갈어 발음: [ʁiˈaɫ])는 1430년경부터 1911년까지 포르투갈의 화폐 단위였다. 1 real = 840 dinheiros의 비율로 dinheiro를 대체하였고, 그 자체가 1 escudo = 1000 réis의 비율로 (1910년 공화정 혁명의 결과) 에스코도로 대체되었다. 에스코도는 2002년 1유로=200.482에쿠도의 비율로 유로화로 추가 대체되었다.
역사
첫 번째 실물은 페르난도 1세가 1380년경 소개한 것이다.[1] 은화였고 120 딘헤이로스(팔로 10개 또는 팔로 10개)의 가치를 가지고 있었다. ½libra). 주앙 1세(1385~1433년)에는 3+1⁄2리브라의 진짜 브랜코와 7 냥의 진짜 프리토(실제 브랜코 1 ½리브라의 1/10)가 발행되었다. 1433년 두아르테 1세 왕이 즉위하기 시작할 무렵, 진짜 브랜코(840 다이네이로스에 상당함)는 포르투갈의 회계 단위가 되었다. 마뉴엘 1세(1495–1521)부터 구리에서 실제 동전을 채굴하는 전환기와 맞물려 명칭이 실명으로 단순화되었다.[2]
역사적으로 실물의 가치가 낮기 때문에, 대금은 적어도 1760년대부터 사용되어 온 용어인 1,000 réis의 milréis(또는 mil-réis)로 표현되었다.[3] 수치로 환산하면, 1밀레이스를 1,000달러로 표기하고, 시프랑이나 달러 표시는 화폐 금액의 소수점 역할을 하여, 6만500리라를 60달러500달러 또는 60.5밀리레스로 표기한다.[2]
18세기 브라질의 골드러시 이후 포르투갈의 금화는 전세계적으로, 특히 동맹국인 영국과 함께 통화가 되었다. 가장 친숙한 금화는 1달러 600센트에 3.286그램의 금화가 들어있는 금 에스카도 2배로 발행되었다.[4]
19세기 초의 나폴레옹 전쟁은 종이 밀레니스의 문제를 야기시켰고, 결국 은빛 크루저도와 금빛 에스코도보다 가치가 떨어졌다. 1837년의 화폐개혁은 금 에스코도의 가치를 1달러 600달러에서 2달러로 높여 밀레주의 낮은 가치를 인정하였다. 동전에 사용된 소수점 이하 소분법으로 주단위를 실제에서 밀레리스(1달러)[5]로 바꾸기도 했다.
1847년 포르투갈 방코 데 포르투갈이 발행한 최초의 지폐. 1854년 포르투갈은 밀레리스가 1.62585g의 순금으로 금본위제를 채택했다. 이 표준은 1891년까지 유지되었다.[2]
1911년 에스쿠도는 포르투갈 화폐단위로 1 에스쿠도 = 1000 ris의 비율로 레알을 대체했다(1600 달러 상당의 금 에스쿠도와 혼동하지 말 것). 100만 réis(또는 1,000 mill-réis, 1,000 달러라고 쓰여 있음)는 conto de réis로 알려져 있었다. 이 용어는 에스쿠도의 도입에서 살아남아 1,000 에스쿠도를 의미하며, 현재 5유로, 거의 정확히 환산한 1,000 에스쿠도 또는 100만 레(약 1콘토는 약 4.98798유로)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2]
구 브라질 헤알은 처음에는 포르투갈 헤알과 동등한 가치로 평가되었지만, 1740년부터는 10⁄11 인수로 평가되어 금 에스코도의 가치가 1달러 600에서 1달러 760으로 증가했다. 나폴레옹 전쟁 이후 브라질 부대는 더욱 평가절하되었는데, 에스쿠도는 1834년에 2달러 500센트, 1846년에 4달러까지 올랐다.
또한 동전과 지폐는 포르투갈 제국의 다른 지역에서 사용하기 위해 réis로 표시된 형태로 발행되었다. 참고 항목: 앙골란 리얼, 아조레 레알, 브라질 레알, 케이프 베르데 레알, 모잠비카 레알, 포르투갈 기니 레알, 상투메와 프린시페 레알. 브라질은 실물을 현재의 화폐단위로 부활시켰다.[2]
동전.
19세기 중반 이전에, 많은 다른 화폐들이 채굴되었는데, 종종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한 실제의 측면에서 가치관을 가지고 있었다. 예를 들어, 크루사도는 주앙 2세 때 324 리얼 브랜코 값으로 도입되었다. 주앙 3세 때 400 réis의 값으로 고정되었고, 이것은 페드로 2세 때까지 은 크루사도의 가치로 남아 있다가 480 réis로 재평가되었다. 한편 금크루즈도는 조앙 4세 때 750réis까지 가치가 상승하였고, 그 후 아폰소 6세 때 875réis까지 가치가 상승하여 소멸하였다.[2]
마지막 1개의 진짜 동전(식민지 문제 제외)은 1580년대에 채굴되었다. 이 시간 이후 가장 작은 동전은 1+1⁄2 리스의 가치가 있었다. 이것들은 1750년경까지 채굴되었고 그 후 3개의 진짜 동전은 가장 작은 유통단위가 되었다.[2]
18세기 브라질 골드러시 동안 발행된 금화는 1688-1732년의 모이도어 시리즈 또는 1722-1835년의 조안어 시리즈에 속했다. 모이도어 시리즈의 동전에 대한 설명:[4]
- 이 시리즈의 가장 친숙한 동전은 4천 리의 도장을 찍었지만 실제로는 20%나 더 높은 4,800 리의 가치를 지닌 모에다 두로(문학적으로 "금화"로, 일반적으로 영국식 모이도어로 통용되는 모에다 두로)이다. 이 동전의 무게는 3⁄8 온사(아래에 설명됨)이며, 9.86 g의 미세한 금을 함유하고 있다.
- 동전은 각각 400달러, 1000달러, 2000달러, 10000달러, 200달러, 200달러, 2달러, 12달러, 24달러(도브랑)의 동전으로 평가된다.
- 은화는 각각 400리, 200리, 80리, 40리스의 옛 가치를 새겼음에도 불구하고 480리(크루자도)와 240리, 100리(토스탕), 50리(리)로 발행되었다.
- 구리 동전은 3, 5, 10, 20, 40 리스로 발행되었다.
1722-1835년 조안 연재에 의해 은과 구리 화폐는 변동이 없었지만, 22캐럿의 28.68 g 또는 91.7%의 미세 금을 함유한 금 온스의 2진 분율 대신 금화가 발행되었다. 이 시리즈의 가장 친숙한 동전은 6달러 400센트짜리 페사 또는 ½온사이다. 다른 액면으로는 반페사 200달러, 에스쿠도 600달러, 에스코도 0달러 800달러 등이 있다.
1717년부터 영국이 금본위제였기 때문에 포르투갈 금화는 모이도어 27실링(1.35파운드), 에스쿠도어 9실링(600달러)의 비율로 그곳에서 널리 유통되었다.
19세기 초 나폴레오닉 전쟁 중과 이후 종이 밀레니스의 감가상각에 이어 1826년 13.145g의 금 페샤가 6달러400에서 7달러500으로, 1837년 8달러, 1854년(밀레오스당 1.62585g의 금본위제가 시행된 시기) 8달러085로 가치가 상승했다.
1837년에는 구리 동전(동전 1882년부터) 3, 5, 10, 20 réis, 은화 50, 100, 200, 500, 1,000 réis 및 금 1 $1000, 2$000, 2$500, 5$, 10$000 등의 소수 체계를 채택하였다. 1875년에 마지막 3개의 진짜 동전이 발행되었고, 1900년에 큐프로니켈 50과 100 réis가 발행되었다.[2]
1854년부터 1891년까지 포르투갈의 금본위제 시대 동안 영국의 금본위제 또는 1파운드의 화폐는 500달러의 가치로 유통되어 널리 받아들여졌다.
지폐
포르투갈의 첫 지폐는 1797년 정부에 의해 도입되었다.[6] 1807년까지 발행된 액면에는 1200, 2400, 5000, 6400, 1만, 1만 2천, 2만 리스가 포함되어 있었다. 이 지폐들 중 일부는 두 형제의 전쟁(1828년 ~ 1834년) 동안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재검증되었다.[7]
1820년대부터 몇몇 민간 은행들이 지폐를 발행했다. 가장 광범위한 이슈는 Banco de Lisboa에 의한 것으로, 그들의 지폐는 4,800 réis의 가치가 있는 réis와 moedas로 표시되었다. 이 은행은 1,200과 2,400개의 레이스, 1,4,10,20,50,100개의 모에다 지폐를 발행했다. 또한 Banco Commercial de Braga, Banco Commercial do Porto, Banco de Guimaraes, Banco Industrial do Porto도 지폐를 발행하였으며, 1833년부터 1887년 사이에 다수의 다른 은행에서 발행한 무기명 수표가 있다.[7]
1847년, 포르투갈 방코데는 1만과 2만 리스를 위한 지폐를 도입했다.[8] 1883년부터 5000 réis 지폐가 발행되었고, 그 후 1886년에 5만 réis가 발행되었다. 1891년 카사 데 모에다가 50, 100 레이스의 음을 도입하였고,[9] 방코 데 포르투갈은 200, 500, 1000, 2500 레이스의 음을 도입하였으며, 1894년 10만 실권이 그 뒤를 이었다.
참고 항목
참조
- ^ 누마리아 나시오날 테수로스 누미샤티코스 포르투게세스
- ^ a b c d e f g h "Portuguese real". CoinsHome. Retrieved 8 April 2020.
- ^ Snelling, Thomas (1766). "A View of the Coins at this Time Current Throughout Europe: Exhibiting the Figures of Near 300 on 25 Copper Plates, Together with Their Value, ... Intended for the Use of Travellers, ... By Thomas Snelling".
- ^ a b Eckfeldt, Jacob R. (1842). "A Manual of Gold and Silver Coins of All Nations Struck within the Past Century: Showing Their History, and Legal Basis and Their Actual Weight, Fineness, and Value, Chiefly from Original and Recent Assays".
- ^ https://www.lexico.com/en/definition/milreis
- ^ Cuhaj 2010, 페이지 981.
- ^ a b Cuhaj 2010, 페이지 982–83.
- ^ Cuhaj 2010, 페이지 983.
- ^ Cuhaj 2010, 페이지 985.
참고 문헌 목록
- Cuhaj, George S., ed. (2010).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 General Issues (1368-1960) (13 ed.). Krause. ISBN 978-1-4402-1293-2.
- Krause, Chester L.; Clifford Mishler (1991). Standard Catalog of World Coins: 1801–1991 (18th ed.). Krause Publications. ISBN 0873411501.
- Pick, Albert (1994).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 General Issues. Colin R. Bruce II and Neil Shafer (editors) (7th ed.). Krause Publications. ISBN 0-87341-207-9.
- Pick, Albert (1990). Standard Catalog of World Paper Money: Specialized Issues. Colin R. Bruce II and Neil Shafer (editors) (6th ed.). Krause Publications. ISBN 0-87341-14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