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이데올로기
Post-theism포스트 이데올로기는 비이데올로기의 변형으로, 신과 무신론의 분열은 구식이고, 신은 이제 과거의 인간 발전의 단계에 속한다고 제안한다. 비신앙 내에서 포스트신앙은 반독점주의와 대조될 수 있다. 이 용어는 기독교 자유주의 신학과 포스트 크리스천성에 나타난다.
프랭크 휴 포스터는 1918년 강연에서 현대 문화가 이전에 신에게 투영되었던 기관과 창의력의 힘을 인류가 장악하는 "이론주의 이후의 단계"에 이르렀다고 발표했다.[1]
데니스 터너는 칼 마르크스가 무신론보다 무신론을 택한 것이 아니라 이항인 "Feuerbachian"의 선택을 전면적으로 거부했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포스트-신론화됨으로써 필연적으로 포스트-무신론화라는 입장이다.[2] 예를 들어, 어느 순간 마르크스는 "종교 그 자체가 내용이 없고, 그것이 하늘이 아니라 땅 탓이며, 그것이 이론인 왜곡된 현실이 폐지되면서 스스로 붕괴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무신론'이라는 꼬리표를 덜 써야 한다"고 주장했다.[3]
관련 사상으로는 프리드리히 니체의 "신은 죽었다"는 선언과 폴 틸리히나 페마 처드룬의 트란스트헤이즘이 있다.
저명한 포스트이스트주의자들
참고 항목
참고 및 참조
- ^ 미국 자유주의 신학의 개리 J. 도리엔: 이상주의, 현실주의, 그리고 현대주의, 1900-1950 (2003) ISBN978-0-664-22355-7, 페이지 177f.
- ^ D. 터너, "종교: 환상과 해방"에서: Terrell Carver (edd), The Cambridge Companion to Marx (1991), ISBN 978-0-521-36694-6, 페이지 337.
- ^ 카를 마르크스, 마르크스에서 아놀드 루게 인 드레스덴에게 보낸 편지(1842)
- H. J. Adriannse, "After Theism" in: H. A. Krop, Arie L. Molendijk, Hent de Vries (eds) 포스트-이념: 유대-기독교 전통 재구성(2000), ISBN 978-90-429-0853-6.
- Christop Schwöbel, "post-theism" in S. 안데르센 (edd. ) 전통적인 신주의와 그것의 현대적 대안 (1994), 161–196.
- 빈센트 브뤼메르 "계몽 프로젝트와 신의 인간상" in: 한스-조르그 지베르츠 (ed.), 신의 인간상, 브릴, 2001, 55–72.
외부 링크
- 크리스토퍼 브래들리(2007)의 식민지 후기와 포스트이념
- 마르크스주의 인터넷 아카이브의 "무신론"에 대한 입장: 마르크스주의 백과사전
- 포스트 아테아시즘: 아포파 신학에서 미하일 엡스타인의 "미니멀 종교"까지 이 책에서: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 소비에트 문화에 대한 새로운 관점 (Alexander Genis 및 Slobodanka Bladiv-Glover와 함께, 슬라브 문학, 문화, 사회 시리즈 연구, vol. 3) 뉴욕, 옥스퍼드: 버건 북스, 1999, 528 페이지 345-3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