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제리의 빈곤

Poverty in Algeria
알제리의 국기

알제리지중해 연안을 따라 북아프리카에 위치한 나라다. 지리적으로 북아프리카에서 가장 큰 나라이며 인구는 약 4천 2백만 명이다.[1] 1980년대까지만 해도 알제리는 기름값 호황으로 경제가 살아나면서 1962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한 뒤 상대적 부를 누렸다. 알제리의 빈곤은 80년대 중반 경제 성장이 붕괴되면서 심각한 문제가 되었다. 1980년대 이후 국제시장에서 유가가 하락하면서 알제리는 경기 침체를 겪으면서 실업률과 빈곤의 증가에 기여했다.[2] 민주주의와 정치적 갈등, 정부 지출의 부족도 빈곤을 초래했다.[3]

이코노미

세계은행에 따르면 알제리 경제는 주로 탄화수소의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는 알제리 국내총생산(GDP)의 약 30%, 예산 수입의 60%에 해당한다.[4] 알제리는 세계 10위의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천연가스 수출국으로는 6위다. 천연가스와 석유를 합치면 알제리 수출 실적의 95%를 차지한다.[4] 알제리의 대규모 천연가스와 석유 매장량은 알제리가 상대적인 거시경제 안정을 유지할 수 있게 했다.[5]

알제리는 비탄소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고군분투해왔다. 정부가 세수를 늘려야 했기 때문에 유가 변동은 알제리 인구의 복지에 큰 영향을 미쳤다. 2013년 이후 알제리의 외환보유액은 40%[4] 이상 줄었다. 사업 지연이 반복되고 투자 유치에 어려움이 큰 탓이다. 가스 및 석유수입 감소는 알제리 정부가 지출을 줄이고 유가 하락을 상쇄하기 위해 2016년 연방예산안에 시정조치를 채택하는 결과를 낳았다. 2016년 예산에는 4%의 세수 증가와 9%의 지출 삭감이 포함되었다.[4] 알제리 정부는 의료, 교육, 정부 지원 주택 프로그램에 대한 보조금을 직접 삭감하는 것을 자제해왔다.[6]

빈곤유병

통계청에 따르면 알제리는 1995년 14.1%에서 2011년 5.5%로 떨어지는 등 빈곤수준이 크게 줄었다. 하루 2달러 미만으로 생존하는 인구 비율이 1988년 81%에서 1995년 14.1%로 안정됐지만 이후 2011년 5%로 떨어졌다. 알제리의 가장 가난한 20%가 차지하고 있는 소득점유율은 1990년 6.5%에서 2010년 9.4%로 높아졌다.[7]

중앙정보부에 따르면 2011년 기준 알제리의 빈곤선 이하 인구는 5.[8]5%로 추산되며 극빈율은 0.5%에 머물고 있다. 그러나 알제리 인구의 10%는 조건이 그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경우 빈곤에 다시 빠지기 쉽다고 인식된다.[9] 가난하게 살고 있는 알제리인의 약 75%가 도시에 살면서 비공식적인 일을 완성한다. 지역적 차이로 인해 알제리 사하라에 거주하는 빈곤층 인구가 두 배, 그리고 전국 평균 초원에 사는 인구가 세 배로 늘어났다.[9]

세계 헝거 지수에 따르면 119개 예선 국가 중 알제리가 9.4점으로 39위에 올라 상대적으로 배고픔 수준이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점수는 지난 20년 동안 꾸준히 향상되었다. 2000년 알제리는 15.6점(이상 기아 수준)을 기록했고 2010년에는 10.6점(이상 기아 수준)을 받았다.[10] 또 영양실조자 비율은 2000년 10.7%에서 2018년 4.7%로 줄었다. 다만 5세 미만 영양실조 아동 유병률은 2018년[10] 3.1%에서 4.1%로, 5세 미만 아동 유병률은 2.6%(2009년)로 줄었다.[11] 게다가, 2016년 현재 알제리의 출생 기대수명은 76.078이다.[12]

높은 실업률이 알제리의 빈곤의 주요 원인이다. 유엔 아프리카 경제위원회의 분석 결과 알제리의 성별과 연령에 따라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 실업률은 11.2%로 추정됐지만 16~24세 연령대는 30%에 육박했다. 이 외에도 실업률은 남성보다 거의 두 배나 많은 여성들에게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여성의 실업률은 16.6%로 추산된다.[11] 세계은행에 따르면, 지속적인 청년 실업은 가계 생활 환경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치며, 많은 젊은이들이 적절한 임금과 적절한 생활 수준을 얻을 수 없게 한다.[13]

2001년의 노동력은 전체 인구의 29%인 900만명 정도가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세계은행 통계에 따르면 알제리 인구의 3분의 1 이상이 농촌과 외딴 지역에 70%가 거주하면서 빈곤에 허덕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3] 알제리인들이 고용을 확보할 수 없다는 점, 경기 침체가 예고된 점 등이 맞물리면서 불안정한 상황에 처한 가구 수와 전반적인 빈곤율의 증가 가능성에 대한 우려를 낳고 있다. 전체 인구의 약 10%는 알제리인 400만명에 상당하며, 만약 상황이 계속 그들을 상대로 공모한다면 빈곤 속으로 빠져들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였다.[14]

알제리 빈곤의 역사적 뿌리

알제리의 프랑스 식민지화

1517년에서 1830년까지 알제리는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다. 알제리에 대한 오스만 제국의 지배력이 약화되면서 1830년 프랑스 군주가 완전한 점령의 의도로 전쟁을 개시할 때까지 짧은 시간 동안 해방되었다. '플라이 휘파람 사건'의 결과, 프랑스는 1827년 알제리에 대해 3년간 봉쇄를 선언했다.[15] 알제리의 마지막 오스만 통치자였던 데이 후세인은 프랑스가 알제리에 진 빚에 대한 데이의 질문에 제대로 대답하지 못하자 프랑스 집정관을 후려쳤다. 프랑스의 알제리 정복도 프랑스 군주의 쇠퇴하는 위상을 높이기 위해 조정되었다. '플라이 휘파람 사건'에 대응하여, 프랑스는 프랑스 지배를 강요할 목적으로 1830년 알제리의 완전한 정복 선언을 하기로 결정했다. 3주 후, 알제리는 프랑스에 의해 붙잡혀 합병되었다.[15]

프랑스 식민지화의 영향

1830년 알제리의 프랑스 식민지화는 알제리의 국가 정체성과 사회 체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 식민지화 이후 이탈리아, 스페인, 프랑스에서 알제리로 주로 노동자 계층의 유럽인들이 대거 유입되었다.[15]

프랑스 군인에 의한 알제리의 약탈은 많은 원주민 알제리 농부들이 유럽의 식민지 개척자들에게 넘겨지면서 그들의 땅에서 추방되는 결과를 낳았다.[16] 프랑스 당국은 명분도 보상도 없이 알제리 원주민 소유의 토지를 매각해 현재 유럽인이 소유한 토지에 대한 노동력을 최소 임금으로 남겨두고 있다.

1950년대 말까지, 알제리의 프랑스 인구는 100만 명으로 추정되었고, 이 정착민들 대부분은 알제리의 비옥한 땅의 대부분을 소유했다.[16]

알제리 토지의 약탈과 그에 따른 그들의 몰수는 프랑스 식민지 개척자들이 알제리 원주민의 인구를 기본적인 인간재료로 제한함에 따라 알제리의 전통적인 제도들을 해체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1940년부터 1945년까지 알제리의 무슬림 아동 인구 중 9%만이 초등학교에 입학했고, 성인의 문맹 추정 비율은 86%[13]에 불과했다. 1988년에는 빈부격차가 계속 커지고 생활수준이 떨어지면서 실업률이 25%로 높아졌다.

사회 영역 내에서 알제리인 대다수가 프랑스 식민주의자들의 지속적인 탄압으로 사회적 지위를 잃으면서 알제리인들은 사회적으로 실향되었다. 유럽 정착민들은 굴종과 빈곤의 위치에 있던 알제리인보다 더 많은 권력을 쥐고 더 많은 수입을 얻었다.

알제리 사태

1980년대 중반에, 기초 거시경제 지표가 1987년과 1995년 사이에 악화되어 경기침체가 장기화되고, 국가부채의 비율이 높으며, 사회적 불행이 가중되었다. 알제리의 경제성장이 부족하다는 것은 고용창출이 부재하다는 것을 의미했고, 그 결과 1994년에는 실업률이 27%까지 상승했다.[17] 앞서 정부는 공공부문 고용을 강화해 일자리 증가세에 대응했다. 그러나 경제활동이 줄고 유가가 무너지면서 공공부문 고용이 둔화돼 빈곤율이 높아졌다.[17]

1986년까지 알제리는 석유 가격이 전년보다 50% 하락하면서 정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 직면했다.[18] 이는 알제리의 GDP 성장률이 마이너스 2.[18]7%로 떨어지는 결과를 낳았다. 유가의 하락은 보다 자유로운 민주주의에 발맞춰 보다 효율적인 정책을 위한 경제위기의 해결과 정계개편을 요구하는 시위대가 거리로 나서면서 경제정치적 위기로 이어졌다.

정부 대응

알제리는 1990년대 말 빈곤 감소와 사회 발전 정책을 강화하여 알제리 인구의 생활 수준 향상을 촉진하였다.[11] 2016년 재정법안 조항은 예산의 대부분을 교육(15.9%), 보건(7.9%), 고용지원(4.7%) 등 부문에 배정해 생활수준 향상과 빈곤율 감소가 가능했다. 실업률은 지난 10년 동안 떨어졌는데, 2008년 보고서에서는 30세 미만 개인의 실업률이 극히 높은 70%를 기록했다고 한다. 높은 실업률과 낮은 삶의 질이 결합되면서 알제리 청년들은 유럽에서 일자리를 찾기 위해 불법 이민과 같은 고육지책을 감행할 수밖에 없었다.[3]

보조금 및 이전

탄화수소를 수출함으로써 얻어지는 자원 때문에, 다른 사회적 이동 중 소매 가격 보조금을 포함한 사회적 지원 프로그램이 가능하다. 이는 사회적 압력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되며, 알제리가 인적 자본 개발에 보다 많은 투자를 할 수 있게 하여 빈곤을 줄일 수 있게 한다.[11]

사회주택

알제리 주 전체 장비 예산의 14.21%를 보유하고 있는 알제리 주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주택에 대한 인구 접근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주로 국가 주택 개량 개발 기구가 있다.[11]

소비자물가

알제리는 보조금 덕분에 전세계 석유와 가스의 질병 가격 중 하나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가는 해수 담수화를 위해 해안 도시 내 가정에 급수를 보조하고 있다. 또한 우유, 시리얼 및 기타 필수품을 지원함으로써 이러한 품목들을 인구를 위한 저렴한 가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11]

알제리가 직면한 도전

불평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알제리 국가에게 중요한 도전이다. 소비율 불평등이 높고 빈부격차가 27.7%로 1988년 40.2%에 비해 크게 개선됐다.[9][19]

가난을 타개하기 위해, 가장 큰 원인인 실업 문제를 해결하는 은 알제리에게 필수적이다. 이를 이해하면서 정부는 실업률을 낮추기 위한 여러 가지 시책을 내놓았다. 이는 국가 청년 고용 제공 기관에서 시행하는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당수의 미취업 청년을 노동력으로 촉진 및 통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더불어, 정부는 실업자들에게 재정적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복리후생 제도를 마련하여 실업자들에게 다시 노동력으로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필요한 기술을 제공하였다.[11]

정부의 개입으로 2010~2015년 알제리의 청년 150만명 이상이 노동에 투입되었다. 그러나 이는 빈곤율에 크게 기여하는 높은 청년실업률을 감안할 때 부적절한 숫자다.[11]

실업과 별개로 알제리는 교육, 건강, 기본 서비스 이용과 같은 사회적 지표가 실질적인 발전을 기록하는 등 최근 몇 년간 사회와 인간의 발전이 눈에 띄게 증가했다. 알제리는 현재 높은 소득수준과 인적발전을 기록하고 있다.[11] 이것은 실업률을 낮추려는 시도와 결합되어 알제리가 빈곤과 싸우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정치적 분열과 민주주의의 결여

국가 경제적 지위를 정당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많은 알제리인들은 효과적이지 않고 반응이 없는 정치적 리더십을 비난한다. 민족해방전선은 나라를 파산으로 전락시켜 알제리 내 빈곤 수준에 기여했다. 게다가, 1991년에서 2001년 사이의 정부와 무장 이슬람 반군 사이의 알제리 내전은,[20] 전쟁 후의 정치적 긴장과 함께, 국가 경제 및 정치적 안정을 악화시켰고, 알제리 인구의 삶의 질을 떨어뜨렸고, 나아가 빈곤의 수준을 증가시켰다.[3]

민주연구소의 부재는 알제리의 빈곤의 또 다른 원천이다. 80세의 압델라지즈 부테플리카 알제리 대통령은 국가를 내전에서 벗어나게 하고 전투적이고 급진적인 지하디 집단을 제거하여 존경을 받고 있지만, 그의 지시를 받은 행정부는 정치적 갈등과 언론에 대해 참을 수 없게 되었다. 또 진보적 민족해방전선 정당과 보수적 이슬람전선 사이에 권력 다툼이 벌어지고 있다. 정치적 불안정은 빈곤율에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3]

참조

  1. ^ "Algeria". UNICEF Annual Report 2017. 2017 – via Unicef.
  2. ^ "Algeria: Growth, Employment and Poverty Reduction". The World Bank. Retrieved 11 October 2018.
  3. ^ Jump up to: a b c d Kakar, Aslam (October 2017). "Addressing Four Main Causes of Poverty in Algeria". The Borgen Project.
  4. ^ Jump up to: a b c d "The World Bank in Algeria". The World Bank. Retrieved 11 October 2018.
  5. ^ Lowi, Miriam R. (June 2013). "Response to Pauline Jones Luong's review of Oil Wealth and the Poverty of Politics: Algeria Compared". Perspectives on Politics. 11 (2): 598. doi:10.1017/S1537592713000868. ISSN 1537-5927.
  6. ^ "Errata". African Studies Review. 20 (1): 131. 1977. doi:10.2307/523868. JSTOR 523868.
  7. ^ "CountryProfile". Retrieved 2018-10-23.
  8. ^ "The World Factbook – Central Intelligence Agency". www.cia.gov. Retrieved 2018-09-14.
  9. ^ Jump up to: a b c "Poverty has Fallen in the Maghreb, but Inequality Persists". World Bank. Retrieved 2018-09-14.
  10. ^ Jump up to: a b "Algeria - Global Hunger Index - Official Website of the Peer-Reviewed Publication". www.globalhungerindex.org. Retrieved 2018-10-19.
  11. ^ Jump up to: a b c d e f g h i Biha, Giovanie (2017). Country profile Algeria 2016. Biha, Giovanie. Addis Ababa, Ethiopia. ISBN 9789994470198. OCLC 1023498269.
  12. ^ "Algeria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18-10-23.
  13. ^ Jump up to: a b c Tiliouine, Habib; Cummins, Robert A.; Davern, Melanie (January 2006). "Measuring Wellbeing in Developing Countries: The Case of Algeria". Social Indicators Research. 75 (1): 1–30. doi:10.1007/s11205-004-2012-2. ISSN 0303-8300.
  14. ^ O El-Kikhia, Mansour (17 April 2014). "Algeria: The challenge of poor choices". ALKAZEERA. Retrieved 14 September 2018.
  15. ^ Jump up to: a b c "French Algeria 1830-1962". The Algerian Story. Retrieved 19 October 2018.
  16. ^ Jump up to: a b Renkveren, Deniz (17 June 2016). "How French colonisation shaped Algeria's future". DAILY SABAH FEATURE. Retrieved 16 October 2018.
  17. ^ Jump up to: a b "Poverty Analysis - Algeria: Growth, Employment and Poverty Reduction". web.worldbank.org. Retrieved 2018-10-19.
  18. ^ Jump up to: a b "The Algerian Crisis". The Algerian Story. Retrieved 19 October 2018.
  19. ^ "GINI index (World Bank estimate) Data". data.worldbank.org. Retrieved 2018-10-19.
  20. ^ "Algeria: The Obstacles to Democracy". E-International Relations. Retrieved 2018-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