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라하라다나타카

Prahallada Nataka
프라하라다나타카
Hiranyakasipu in Prahallada Nataka.jpg
프라하라다 나타카의 라자 또는 히라냐카사파. (히라냐카사파 역의 라젠드라 파트로)
중간오디시 음악 무용극
종류들에카카(singular), 바디(두 개 대회)
기원문화오디아 문화
기원시대19세기

프라하라다 나타카(Odia: :୍୍ହଲ୍ଦଦଦଦଦଦଦ pr pr pr prକ pr prahକକ Prahallada Naṭaka) 또는 단순히 라자 나타카는 인도 오디샤 주가 원산인 전통 놀이다. 뮤지컬-드라마는 비슈누의 맨라이온 아바타뉘링하 또는 나라심하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으며, 옛 남부 오디샤의 작은 왕국 잘란타라의 왕 라자 라마쿠루스나 초타라야의 텍스트를 바탕으로 현재 안드라프라데시 주의 스리카쿨람 지구에 있다.[1]

역사

히라냐카사파(만차 위에 서 있음)는 그의 두아리를 주문한다.

간잠 지구에는 18명의 봉건 족장, 즉 자미다르가 있었는데, 그들은 스스로를 라하스라고 불렀다. 그들은 예술, 문학, 문화의 후원자였다. 프라할라다 나타카는 그런 왕국, 즉 자민다리에서 태어났다.[2]

프라할라다 나타카의 원문은 19세기 중반 라자 라마쿠루스나 초타라야가 썼다.[3] 바가반 팬더 박사는 1829-1927년, 수레쉬 발라반타라이 박사는 1857-1905년, 존 에미 박사는 1870-80년으로 그 연대를 짓는다.[4][5] 라마쿠르스나는 안드라 프라데시 주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오디샤 남부 잘란타라 주의 작은 왕자성 국가 라자였다. 라자에 귀속되기는 하지만, 본문의 대부분은 파랄라크헤문디의 시인 가우라하리 파리차(Gaurahi Parichha)에 의해 쓰여졌을지도 모른다.[1][5][6]

같은 테마의 다른 여러 희곡들이 존재하는 반면, 라마쿠스나의 희곡은 일반적으로 이 루틴의 가장 좋은 예로 여겨지며 수랑이의 키쇼레 찬드라 하리찬단 자갓데브 레이, 파르마나바 나라야나 데바, 타랄라의 라마찬드라 수라데오 등 다른 라하스에 의해 모방되었다.[2][3][4]

원고는 마드라스 동양 필사본 도서관에 보존되어 1938년 3월 8일 오리사 정부의 문화 국장이 수집하여, 라벤쇼 도서관(현재의 카니카 도서관)의 후대에 안전하게 보관하고 있다. 오디샤 주립 박물관은 1920년대에 이 원고를 복사한 종이 원고를 보관했다.[4][7]

지난 세기 간잠 지구에서는 무려 172개 극단들이 이 연극을 공연했다. 1990년대 후반 현재, 이 연극은 관객의 감소로 인해 약 57개 마을 극단에 의해 공연되었다.[1] 프로 라하스의 수가 150개에서 20개로 줄어들면서 오늘날에는 약 50개 극단만이 존재한다.[6]

퍼포먼스

히라냐카사파의 음악적 기량과 생동감 넘치는 아비나야로 유명한 구루 시만찰라 파트로. 그는 미술 양식에 기여한 공로로 1990년에 산제트 나탁 아카데미 상을 받았다.

각각의 공연은 12시간 동안 지속된다. 오디샤의 남쪽 가다자타스의 왕실에서 제정된 완전한 연극은 종종 7박에 이르는 시간이 걸렸다.

프라할라다 나타카는 여러 등장인물이 있지만 극 내내 관련성이 있는 인물은 몇 명 안 된다. 여기에는 히라냐카사파 '라자', 그의 아내 라일라바티, 그들의 아들 프라할라다, 그리고 수트라다라가 포함된다. 간혹 히라냐카시파의 장관 비프라치티, 트리마스타카 등이 보초,두아리와 함께 연극 내내 무대를 점령하기도 한다. 여성 캐릭터는 남자 배우들에 의해 그려진다.

프라할라다 나타카는 야외무대에서 공연된다. 만차라는 독특한 7단 플랫폼을 사용한다. 이것은 약 6피트 높이의 나무 승강장이다. 연단의 꼭대기에는 6 x 4피트의 면적이 있으며, 그 위에 히라냐카사파의 왕좌가 놓여 있다. 만차는 보통 접을 수 있고 쉽게 분해된다. 그것은 공연이 시작하기 전에 세워진다. 맨차 앞의 공간이 무대로 사용된다. 이 공간은 히라냐카시파의 궁정(그의 7대세계의 지배권을 나타내는 7단계 포함)으로 확인된다. 연단 위에 설치된 의자가 그의 왕좌 역할을 한다. 낭링하가 등장하는 마지막 장면을 위해 만차 맞은편에 임시 기둥이 세워져 있다.[4][7]

뉘링하에게 쓰이는 가면은 보통 1~2세기 전의 것이다. 일년 내내 마을 사당에서 정기적으로 예배를 드리며, 공연 때만 착용한다. 존경의 표시로 연주자들은 의식의 순수성을 유지하는데, 이는 보통 채식주의자가 아닌 음식과 술에서 기권하는 것을 의미한다.[7]

음악

음악은 프라할라다 나타카의 삶이다. 음악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가하카라고도 알려진 리드 싱어는 훌륭한 보컬리스트임에 틀림없다. 그는 또한 모든 레퍼토리를 암기해야 한다. 가하카는 가수가 되는 것 외에도, 공연의 통역, 해설자, 감독 역할도 한다. 정교한 메이크업이나 의상은 없지만 구체적인 노래와 대화 내용이 담겨 있다. 그는 신들의 찬사를 부르고, 청중들에게 상황을 소개하고, 인물의 면모를 이야기한다. 통역사로서, 그는 관객들에게 연극의 비밀스런 대화를 들려주기 위해 설명해야 할 임무를 가지고 있다. 산스크리트 연극에서 '수트라다하라'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과 연합하여 가하카가 전통에서는 수트라다라라고도 불리는 이유다.[3]

프라할라다 나타카는 300곡 이상의 레퍼토리를 가지고 있다. 모든 곡은 오디시 음악을 바탕으로 클래식이며, 오디시 전통 특유의 전통 라가 & 탈라를 사용한다. 각각의 라가의 디야나 슐로카들은 주어진 노래를 시작하기 전에 불려진다. 이 곡들은 오디시 음악의 특징인 파디를 자주 사용한다. 프라할라다 나타카의 음악에 사용되는 타악기는 마디라이다. 전형적으로 만차의 한쪽에 서 있는 앙상블은 마르달라, 무카비나, 지니, 자냐, 하모니움 등이 있다.[3]

인식

몇몇 연주자들이 인도의 Sangeet Natak Akademi로부터 상을 받았다. 라후나트 사타시(1980), 시만찰 파트로(1990), 크리슈나 찬드라 사후(2000), 아카데미 상 수상, 브룬다반 제나(2006), 유바 푸라스카르 수상상 프라모드 쿠마르 나하크(2008) 등이 그것이다.[8]

참조

  1. ^ Jump up to: a b c John Emigh (2013). "Crisis and Contestation in the Prahlada Nataka of Ganjam". In Kulke, Hermann (ed.). Imaging Orissa. Prafulla Publication.
  2. ^ Jump up to: a b Pattanaik, Dhirendra Nath (1998). Folk Theatre of Orissa. Bhubaneswar: Orissa Sangeet Natak Akademi. pp. 29–36.
  3. ^ Jump up to: a b c d Pani, Jiwan (2004). "Indian Folk Theatre". Back to the Roots : Essays on Performing Arts of India. New Delhi: Manohar. pp. 106–110. ISBN 8173045607.
  4. ^ Jump up to: a b c d Balabantaray, Suresh (2006). ରାଜା ରାମକୃଷ୍ଣ ଛୋଟରାୟ ବିରଚିତ ପ୍ରହ୍ଲାଦ ନାଟକ [Raja Ramakrusna Chhotaraya birachita Prahlada Nataka] (in Odia). Bhubaneswar: Bahi Patra.
  5. ^ Jump up to: a b Emigh, John (September 2001). Katyal, Anjum (ed.). "Use of Adversity: Embodiments of culture and crisis in the Prahlada nataka of Orissa". Seagull Theatre Quarterly. Seagull Foundation for the Arts. 31: 33–55.
  6. ^ Jump up to: a b Patnaik, Sunil (28 December 2010). "Rare art form finds few takers - 150-year-old traditional dance languishes in neglect". The Telegraph. Retrieved 18 October 2018.
  7. ^ Jump up to: a b c Chhotray, Raja Ramakrushna (1973). Panda, Bhagaban (ed.). ପ୍ରହ୍ଲାଦ ନାଟକ [Prahlād Nāṭaka]. Orissa Oriental Text Series (Oriya) (in Odia). Bhubaneswar: Directorate of Cultural Affairs.
  8. ^ "SNA List of Awardees". sangeetnatak.gov.in. Retrieved 2018-10-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