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티 스피리츠

Pretty Persuasion
프리티 스피리츠
Prettyposter.jpg
극장판 발매포스터
연출자마르코스 시가가
작성자스칸더 할림
생산자
  • 마르코스 시가가
  • 맷 위버
  • 토드 다그레스
  • 칼 레빈
주연
시네마토그래피램지 니켈
편집자니콜라스 에라스무스
음악 기준길라드 베남람
생산
회사들
배포자
출시일
러닝타임
109분[1]
나라미국
언어영어
예산250만 달러
박스오피스$537,100[2]

Pretty Conception》은 마르코스 시가가 감독하고 스칸더 할림이 쓴 2005년 미국 흑인 코미디 영화에반 레이첼 우드, 제임스 우즈, 론 리빙스턴, 엘리자베스 하노이스, 제인 크라코프스키 등이 주연을 맡았다. 이 영화의 줄거리는 베벌리힐스 엘리트 학원의 15세 학생이 자신의 드라마 선생님을 성추행으로 고발한 데 따른 것이다.

플롯

킴벌리 조이스는 비벌리 힐즈의 엘리트 예비학교인 록스베리 아카데미의 조숙하고 나르시시즘적이며 소시오패스적인 고등학생이다. 그녀와 그녀의 가장 친한 친구 브리트니는 최근 중동에서 이민을 온 새로운 무슬림 학생인 랜다를 그들의 휘하에 앉힌다. 킴벌리의 가정생활은 골치 아프고 불만을 품은 전자회사 임원이었던 그녀의 아버지 행크는 그녀의 삶에 별 관심을 보이지 않는 반면, 그녀의 수척한 새엄마 캐시는 그녀의 거친 언행과 태도에 대해 끊임없이 그녀를 질책하려 한다. 킴벌리는 여배우를 꿈꾸며 학교 연극에서 안네 프랑크 역으로 탐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학교 드라마 교사 퍼시 앤더슨은 어느 날 수업을 방해했다는 이유로 킴벌리와 란다에게 방과 후 구금을 명령하고, 킴벌리가 자신의 잘못을 반성하는 글을 쓰도록 강요한다. 퍼시는 그날 저녁 에세이를 집으로 가져가 아내 그레이스를 두 사람이 섹스를 하기 전에 역할극으로 도발적으로 읽게 한다. 킴벌리는 브리트니가 연기 연습 도중 퍼시에게 공개적으로 굴욕을 당한 후, 그가 그들 각자를 성희롱했다고 고발할 계획을 세운다. 변호사를 선임할 여유가 없었던 퍼시는 변호사 역할을 하는 그의 친구 로저에게 동의한다. 법정에서 로저는 킴벌리가 유대인 동창인 조쉬의 변호사 아버지를 '돈벌이를 하는 부랑자'라고 지칭한 후 학교 연극에서 교체된 것에 대한 보복이라고 제안한다.

이 사건은 현지 레즈비언 기자인 에밀리 클라인에 의해 광범위하게 보도되는 언론의 센세이션이 된다. 재판이 시작된 직후 킴벌리는 에밀리와 성적인 만남을 갖는다. 그녀는 구두로 조쉬를 조종하여 유명한 변호사인 그의 아버지 래리가 퍼시 프로 보노를 변호하도록 설득한다. 래리가 브리트니를 조사했을 때, 그녀는 스탠드에서 자신과 킴벌리, 랜다가 혐의를 조작했다고 고백한다. 에밀리가 법원 밖에서 에밀리와 마주치자 킴벌리는 이들의 성적인 만남을 촬영했다고 폭로하고 이를 협박으로 삼아 유리한 언론 보도를 받게 된다.

가족들에게 잘못된 비난으로 인해 야기된 수치심에 압도당한 랜다는 학교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그레이스는 이제 퍼시가 킴벌리에 의해 쓴 에세이를 알고 그를 떠난다. 언론의 폭풍이 몰아치는 가운데 에밀리는 킴벌리를 단순한 사회의 '피해자'로 추앙하고, 이어지는 언론은 할리우드 제작자들이 킴벌리에게 낮 드라마조금이나마 출연하도록 부추긴다.

브리타니가 킴벌리를 집으로 방문했을 때, 킴벌리는 그녀가 조쉬에게 그의 아버지가 퍼시를 변호하도록 조작했다고 폭로한다. 그녀는 그것이 브리트니가 법정에서 압박을 받게 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브리트니가 이유를 묻자 킴벌리는 브리트니가 전 남자친구 트로이를 훔쳐간 것에 대한 복수와 함께 스스로 명성을 얻기 위해 계산된 음모를 꾸몄다고 설명한다. 브리트니는 그녀를 질겁하게 하고 다시는 그녀와 말하지 않겠다고 맹세하면서 떠난다. 킴벌리는 텔레비전을 켜서 연속극의 에피소드에 나오는 자신을 본다. 그녀가 화면에서 자신을 지켜보면서, 눈물이 그녀의 얼굴에서 흘러내리기 시작한다.

캐스트

테마

이 줄거리는 주로 한 15세 소녀의 행동이 가져올 파장과 더불어 학교 시스템 내의 성희롱 고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그러나 이 영화는 또한 현대 미국 문화의 다른 많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논평을 하고 있는데, 그 중 많은 문제들이 논란이 되고 있다. 논평되는 주제들 중에는 인종주의, 무지, 차별, 성 정체성, 동성애, 편협성, 이민, 10대 행동, 자살, 육아, 기만, 나르시시시즘, 연예계 및 연예계에 대한 매혹 등이 있다.

제작노트

Krakowski and Wood posing for a photo
크라코프스키와 우드는 프리티 설득을 촬영하면서 그림을 그렸다.

악보는 길라드 베남람이 작곡했다. 그 영화는 의도적으로 어떤 인기 있는 음악 노래도 다루지 않는다.[3] 마찬가지로 의상이나 소품도 현대적인 브랜딩을 특징으로 하지 않는다.[3]

수상

임계수신호

로저 에버트프리티 설득을 "다링하고, 행동도 잘했다"고 평가하면서도 "코미디와 풍자 사이의 어딘가에서 불안하게 드러난다"[4]고 말했다. 애리조나 데일리 스타의 필 빌라레알은 이 영화를 "비겁하고 우스꽝스러운 사회 풍자"라고 불렀다.[5] 뉴욕 타임즈의 스티븐 홀든이 이 영화를 칭찬한 반면, "음란한, 염세적인 브로케 풍자는, "귀여운 설득"은 너무 유쾌하게 고약해서, 이 영화가 만들어지고 개봉되었다는 사실조차 놀랍다. 많은 것들이 또한 극도로 웃기다. 어떤 풍자가든 그 염치가 있는 풍자는 불쾌함을 두려워해서는 안 되며, '귀여운 설득'은 대담무쌍한 대담성으로 사방으로 진흙을 튀긴다.[6] 채널 4의 제임스 모트램은 "코미디와 풍자 사이에서 불편하게 굴지만, 예쁜 설득은 결코 균형을 제대로 잡지 못한다"[7]고 말했다. 카를로 카바그나는 "다크 틴 코미디가 되기 위해 너무 열심히 노력하는 다크 틴 코미디"[8]라고 생각했다.

시애틀 포스트인텔리전서는 이 영화를 "못되고, 값싼 풍자의 시도"라고 비난했고,[9] 슬랜트 잡지는 이를 "예쁜 비침습적 강의"[10]라고 평했다. 옹호자의 애덤 바리는 이 영화를 "정치적 부정확함이 넘쳐난다"[11]고 말했다. 비평가 아몬드 화이트는 이 영화를 "거짓말"[12]이라고 생각했다.

이 영화는 79개 리뷰를 기준으로 로튼 토마토에서 33%의 "회전" 등급을 받았으며, 평균 5/10의 평점을 받았다. '예쁜 설득은 높은 풍자를 지향하지만 너무 많은 흑색 유머에 의존하여 순진함에 못 미치고, 인간성을 되찾아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13]는 것이 이 사이트의 공통된 의견이다.

참조

  1. ^ "Pretty Persuasion". American Film Institute Catalog. Retrieved June 23, 2018.
  2. ^ "Pretty Persuasion (2005) - Box Office Mojo". Box Office Mojo. Retrieved 2010-08-07.
  3. ^ a b Marcos Siega. "Pretty Persuasion: Anatomy of a Not So Teen Movie". Landmark Theatr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8, 2007. Retrieved 2007-12-27.
  4. ^ Ebert, Roger (August 26, 2005). "Pretty Persuasion". Chicago Sun-Times. Retrieved June 22, 2018.
  5. ^ 썩은 토마토 리뷰- 예쁜 설득 (2005년 9월 22일)
  6. ^ Holden, Stephen (August 12, 2005). "A High School Princess who treats the world like a frog".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March 20, 2018. closed access
  7. ^ Mottram, James. "Pretty Persuasion Review". Channel 4 Film. Retrieved December 27, 2007.
  8. ^ Cavagna, Carlo. "Pretty Persuasion". Online Film Critics Society. AboutFilm.com. Retrieved June 22, 2018.
  9. ^ Axmaker, Sean (September 2, 2005). "'Pretty Persuasion' is an ugly, cheap attempt at satire". Seattle Post-Intelligencer. Retrieved December 27, 2007.
  10. ^ Schager, Nick. "Film Review: Pretty Persuasion". Slant Magazi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7, 2007. Retrieved December 27, 2007.
  11. ^ Vary, Adam B. (August 30, 2005). "Pretty persuasive". The Advocate. p. 70. ISSN 0001-8996.
  12. ^ White, Armond. "Film Review: Towelhead". NY Press. Retrieved January 7, 2009.
  13. ^ "Pretty Persuasion". Rotten Tomatoes. Retrieved March 17, 2021.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