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준공주

Princess Xijun

류시쥔(중국어: 劉細君; 핀인:Liú Xìjūn; Wade–Giles: Liu Hsi-chün, 123?–101 BC),[1] also known as Princess Xijun (細君公主), Princess of Jiangdu (Chinese: 江都公主) or the Princess of Wusun (Chinese: 烏孫公主), was a princess of the Han dynasty sent to marry the King of Wusun as marriage alliance.그녀에 의해 쓰여진 시는 이름난 여인에게 귀속된 것으로 가장 일찍 알려진 한시 중 하나이다.

인생

류시쥔은 장두왕(장쑤 양저우 현대)의 딸로, 류젠(劉建)의 딸로, 한() 우(武) 천황의 동생류페이(劉 liu)의 손녀였다.시준이는 아직 아기였을 때 고아가 되었다.그녀의 아버지는 근친상간하고 잔인하며 타락한 사람으로 묘사되었고, 반란을 일으킨 후 자살해야만 했다.그녀의 어머니 또한 같은 해에 마법을 행한 죄로 처형되었다.망신당한 부모의 딸로서 한법원에서 신분이 낮을 것 같다.[1]

기원전 105년 시쥔의 지위는 높아졌고 그녀는 우황제에 의해 공주가 되었다.황제는 우순과 동맹을 맺고 시온누의 연합을 해체할 생각으로 그녀를 우순의 왕(군미 또는 군모)인 리자오미(李j美)와 결혼시키고자 했다.우순의 말 천 필을 한궁에 보낸 후, 그녀는 일리계곡 일대 5,000마일 떨어진 우순에 관리, 내시, 하인, 마차 등 100여 필의 레티뉴를 가지고 파견되었다.결혼 후 그녀는 시온누 출신 좌파의 부인에 종속된 직책인 우파의 부인으로 임명되었다.그러나 그녀의 남편은 늙었고, 그녀는 그를 거의 보지 못했고 그와 의사소통할 수 없었다.죽기 직전 그는 손자인 겐조우(陳ou)가 그녀와 결혼할 수 있도록 그녀와 이혼하고 싶었다.시준은 한족 풍습에서 부적절하다고 여겨졌던 이러한 재혼을 예상하고 한황제에게 항의했지만, 한황제는 시온구(西ionu)[2]를 물리치기 위해 우순과의 동맹이 필요하다고 여겨 이에 응해야 한다고 대답했다.그녀는 리지아오미가 죽은 후 왕이 된 겐조우와 정식으로 결혼했다.그녀는 기원전 102년에 그와 함께 딸을 낳았고, 이듬해 죽었다.다른 공주 지유 공주는 죽은 후 겐조우와 결혼하기 위해 보내졌다.[2]

우순공주는 피파의 발명에 관한 이야기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악기는 한황제의 명에 따라 말을 타고 음악을 연주하여 우순으로 가는 길에 그리운 마음을 달래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한다.[3][4]그러나 피파는 중국인이 아닌 출신일 가능성이 높다.[5]그녀의 이야기는 진나라 작가 시총이 시준을 위한 이야기에서처럼 왕자오준의 여행 중에 피파도 연주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한 후 왕자오준의 이야기와 자주 혼동된다.[6][7]

시준에게 바친 시는 한수(漢水)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8]

悲愁歌
吾家嫁我兮天一方,
遠托異國兮烏孫王。
穹廬為室兮旃為牆,
以肉為食兮酪為漿。
居常土思兮心內傷,
願為黃鵠兮歸故鄉。
슬픔의 노래
우리 가족은 나를 세상의 끝자락에 시집보냈다.
멀리 우순왕의 낯선 땅까지
돔형 오두막은 나의 방이고, 내 벽은 펠트형이다.
고기는 내 음식이고, 우유를 발효시켜 마신다.
이곳에 살면서 내 땅을 그리워하고 가슴이 아프다.
내가 노란 백조가 될 수 있기를 바라며,[A] 그리고 나의 옛 집으로 돌아간다.

메모들

  1. ^ 황조(黃祖, Huanhu)는 중국의 전설적인 새로 천 마일[9] 쉬지 않고 날 수 있다.

참조

  1. ^ a b Lily Xiao Hong Lee; A.D. Stefanowska (eds.).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inese Women: Antiquity Through Sui, 1600 B.C.E–618 C.E. Routledge. p. 168. ISBN 9781317475910.
  2. ^ a b Ping Wang; Nicholas Morrow Williams (eds.). Southern Identity and Southern Estrangement in Medieval Chinese Poetry. Hong Kong University Press. pp. 82–83. ISBN 9789888139262.
  3. ^ 송수》 《송수》는 《푸쉬안( (傅)》, 《피파( pipa)에게 오데( quoting quoting)》의 앞선 작품을 인용한 《송수집》이다.Original text: 琵琶,傅玄《琵琶賦》曰: 漢遣烏孫公主嫁昆彌,念其行路思慕,故使工人裁箏、築,為馬上之樂。欲從方俗語,故名曰琵琶,取其易傳於外國也。 Translation:피파 - 푸쉬안의 '피파에게 보내는 송가'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한황제는 우순공주를 보내 건미와 결혼하게 했고, 그녀의 여정에 대한 생각과 갈망을 염두에 두고, 말 위에서 놀기에 적합한 악기를 만들기 위해 중국인과 를 바꾸도록 지시했다.따라서 피파라는 옛 용어가 외국으로 전해졌기 때문에 흔히 쓰이게 되었다."
  4. ^ Millward, James A. (10 June 2011). "The pipa: How a barbarian lute became a national symbol". Danwei.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3 June 2011.
  5. ^ Picken, Laurence (March 1955). "The Origin of the Short Lute". The Galpin Society Journal. 8: 32–42. doi:10.2307/842155. JSTOR 842155.
  6. ^ Stephen H. West; Wilt L. Idema, eds. (2010). Monks, Bandits, Lovers, and Immortals. Hackett Publishing Company. p. 158. ISBN 9781603844338.
  7. ^ Ping Wang; Nicholas Morrow Williams (eds.). Southern Identity and Southern Estrangement in Medieval Chinese Poetry. Hong Kong University Press. p. 85. ISBN 9789888139262.
  8. ^ Kern, Martin (2004). "The Poetry of Han Historiography" (PDF). Early Medieval China. 10–11 (1): 23–65.
  9. ^ "黃鵠(黄鹄)". ZD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