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부두다사나야케
Pubudu Dassanayake개인정보 | ||||||||||||||||||||||
---|---|---|---|---|---|---|---|---|---|---|---|---|---|---|---|---|---|---|---|---|---|---|
풀네임 | 푸부두 바티야 다사나야케 | |||||||||||||||||||||
태어난 | 캔디, 스리랑카 | 1970년 7월 11일 |||||||||||||||||||||
배팅 | 오른손잡이 | |||||||||||||||||||||
역할 | 위켓키퍼 | |||||||||||||||||||||
국제정보 | ||||||||||||||||||||||
국면 | ||||||||||||||||||||||
시험 데뷔 (cap 57) | 1993년 8월 25일 스리랑카 대 남아프리카 사건 | |||||||||||||||||||||
마지막 테스트 | 1994년 10월 20일 스리랑카 대 짐바브웨 사건 | |||||||||||||||||||||
ODI 데뷔 (캡 71) | 1993년 9월 2일 스리랑카 대 남아프리카 사건 | |||||||||||||||||||||
마지막 ODI | 1994년 12월 8일 스리랑카 대 뉴질랜드 사건 | |||||||||||||||||||||
국내팀정보 | ||||||||||||||||||||||
몇 해 | 팀 | |||||||||||||||||||||
1990 | 콜츠CC | |||||||||||||||||||||
1990–2001 | 블룸필드 CAC | |||||||||||||||||||||
1992 | 신할리스 SC | |||||||||||||||||||||
1992–1995 | 센트럴 주 | |||||||||||||||||||||
경력통계 | ||||||||||||||||||||||
| ||||||||||||||||||||||
푸부두 바티야 다사나야케(/ddsˈnaɪkə/də-sə-NY-ə-kə; 1970년 7월 11일생)는 스리랑카와 캐나다를 국제적으로 대표하고 네팔 대표팀의 현직 사령탑인 스리랑카 출신 캐나다 출신 전 국제 크리켓 선수다.그는 이전에 에베레스트 프리미어리그의 바이라하와 글래디에이터스 감독을 맡았다.그는 일찍이 캐나다와 네팔의 감독으로 재직했던 미국 국가대표팀의 감독이기도 했다.[1]null
다사나야케는 스리랑카의 캔디에서 태어났다.위켓 키퍼였던 그는 1990년 19세의 나이로 1급 크리켓에 데뷔했다.다사나야케의 국제 데뷔는 1993년 8월 남아프리카공화국을 상대로 이루어졌다.1994년 뉴질랜드 투어에서 마지막 국제 경기를 치르면서 그는 스리랑카의 1선발 위켓 키퍼로 1년 남짓 보냈다.다사나야케는 11번의 테스트와 16번의 ODI 경기에서 스리랑카를 대표했다.주로 블룸필드 크리켓과 애슬레틱 클럽에서 뛰었던 그의 국내 경력은 2000-01시즌까지 이어졌다.null
캐나다로 이민을 간 다사나야케는 2005년 ICC 트로피에서 캐나다로 국제 데뷔했다.2005년과 2006년 ICC 인터컨티넨탈컵에서도 대표팀을 대표했다.선수 은퇴 후, 그는 감독 대행으로 몇 달을 보냈던 2007년 8월에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다사나야케는 2011년 월드컵에서 캐나다의 성공적인 예선 통과를 감독하며 대회 종료 후 감독직을 사임했다.2011년 10월 네팔의 코치로 부임해 2015년 10월까지 근무하며 2014년 월드 2020에서 팀을 지도했다.다사나야케는 2016년 9월 미국 사령탑에 선임됐다가 2019년 7월 사임했다.null
선수생활
스리랑카
다사나야케는 스리랑카 중부 캔디에서 태어났다.[2]위켓 키퍼였던 그는 1989-90년 라크스프레이 트로피 시즌에 콜츠 크리켓 클럽에서 뛰며 19세의 나이로 1990년 1월에 1등석에 섰다.[3]다사나야케는 1990-91시즌을 위해 블룸필드 크리켓과 애슬레틱 클럽으로 이적했지만 단 한 번의 제한 오버 경기만 치렀다.그는 다음 시즌에 또 다른 네 번의 하루 경기에 출전하여 하트나 트로피에서 블룸필드에서 두 번, 프리마다사 트로피에서 신할레스 스포츠 클럽에서 두 번 뛰었다.[4]다사나야케는 1992년 중반부터 중부 지방 1급 토너먼트와 스리랑카 23세 이하 팀을 맡아 대표 팀으로 선발되기 시작했다.[3]1992년 12월 스리랑카 A사와 함께 방글라데시를 둘러봤고,[4] 다음 달에는 스리랑카 24세 이하 쪽과 함께 남아공을 둘러봤다.[5]null
에슐리 데 실바와 로메시 칼루위다라나(스리랑카의 이전 시리즈에서 사용된 두 위켓 유지군)를 선발로 기용한 다사나야케는 1993년 8월 남아프리카공화국과의 홈 시리즈에서 3번의 테스트와 2번의 ODI를 소화하며 국제무대에 데뷔했다.[6][7]1차 테스트에 앞서 그는 스리랑카 보드 XI의 평가전에서 1이닝 동안 6개의 해고를 기록함으로써 선정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주었다.[8]데뷔 시리즈가 끝난 뒤 다사나야케의 다음 인터내셔널은 1993년 12월 서인도제도와의 일회성 테스트였다.다음 달, 그는 3번의 테스트와 1번의 ODI에서 뛰면서 인도 투어에 선발되었다.1994년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호주-아시아컵에서 다사나야케는 호주, 뉴질랜드와 처음으로 ODI를 치렀다.그의 다음 국제 경기는 1994년 8월 파키스탄과의 홈 시리즈에서 나왔다.이어 싱어 월드시리즈(스리랑카에서 주최하는 4각형 ODI 토너먼트)와 짐바브웨 순방이 이어졌다.[6][7]null
다사나야케는 1994년 12월 만델라 트로피(남아공에서 개최되는 일회성 ODI 토너먼트)에서 마지막 국제 경기를 치렀다.[7]그는 11번의 시험에서 평균 13.06점, 16번의 ODI에서 10.62점으로 국제 경기에 요구되는 기준에서 그의 타선을 유지할 수 없었다.[2]대표팀에서 탈락한 뒤 첫 국내 시즌에서 다사나야케는 파나두라 스포츠 클럽과의 경기에서 블룸필드에서 통산 144승을 거두는 등 2개의 1등 세기를 득점했다.[9]스리랑카 대표팀에 복귀한 적은 없지만 1995년 12월 아랍에미리트와 인도 A, 1997년 2월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A, 1998년 2월 잉글랜드 A에 출전하는 등 스리랑카 A에서 여러 시리즈를 더 뛰었다.블룸필드에서의 국내 선수 생활은 2000-01 시즌 이후 끝났다.[3][4]null
캐나다
다사나야케는 2001년에 캐나다로 이민을 와서 온타리오에 정착했다.[10]레지던트 자격을 갖춘 뒤 아일랜드에서 열린 2005년 ICC 트로피에서 캐나다로 국제 무대에 데뷔했다.소속팀 7경기에 모두 출전해 8차례의 해직(캐치 5회, 그루터기 3회)을 기록하고 76득점을 올리며 스코틀랜드전에서는 최고점 36점이 아웃되지 않았다.[11]다사나야케는 올해 말 버뮤다와 케이맨 제도와의 ICC 인터컨티넨탈컵 경기에서 캐나다를 대표해 존 데이비슨이 빠진 상황에서 주장 역할을 했다.버뮤다와의 경기에서, 그는 오로지 배트맨으로서 뛰었고, 아시쉬 바가이가 장갑을 가져갔다.다사나야케는 2006년 8월 케냐와의 인터컨티넨탈컵 경기에서 캐나다에 최종 출전했다.당시 그는 36살이었고, 다시 배트맨으로만 뛰었다.[3]null
코치 경력
캐나다
2007년 8월 앤디 픽을 대신해 6월부터 임시 감독을 맡고 있는 캐나다의 상임 코치로 임명되었다.다사나야케는 캐나다를 거의 4년 동안 지도하면서 2011 크리켓 월드컵에 진출시켰는데, 이 월드컵은 캐나다에서 사상 두 번째밖에 우승하지 못했다.월드컵에 이어, 다사나야케는 크리켓 캐나다와의 재계약을 하지 않기로 결정했다.null
네팔
네팔 크리켓협회(CAN)는 2011년 8월 23일 6개월간 네팔 크리켓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그를 선임했다.[12]동료 스리랑카인 로이 디아스는 2011년 떠나기 전 9년간 네팔 크리켓 팀을 지도했다.null
다사나야케는 네팔 크리켓의 형성에 있어서 다작의 조각가였다.네팔은 2013 ICC 세계 크리켓 리그 디비전 3을 확정지었다.지금까지 다사나야케는 네팔 크리켓에 대한 그의 말에 충실했다.3년 전 트라이부반 국제공항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네팔 크리켓 팀이 지금까지 ICC 크리켓 월드컵을 치르게 하겠다고 언급한 네팔 크리켓 팀은 방글라데시에서 열린 2014 ICC 월드 2020에 자리를 잡았다.null
다사나야케 감독은 2015년 10월 개인적 이유를 들어 네팔 감독직에서 물러났고, 4년간의 감독 임기를 마쳤다.그의 마지막 경기는 2015년 11월 파푸아 뉴기니와의 경기였다.[13]그는 세계 크리켓 리그의 나미비아와의 경기와 ICC의 특별 요청에 의한 MCC와의 경기를 위해 네팔의 고문 코치로 임명되었다.
다사나야케는 2021년 12월 네팔 크리켓팀 감독으로 재선임됐다.네팔 크리켓 협회는 15명의 최종 후보 코치 중 푸부두를 네팔의 코치로 재선정했다.[14]null
미국
다사나야케는 2016년 7월 미국 대표팀 감독 공석 후보 4명 중 한 명이었다.[15]선발 과정의 일환으로 국가대표팀 훈련장에서 객원 코치를 맡았으며, 웨스트 인디즈 크리켓 보드 19세 이하 토너먼트에서 ICC 아메리카 합숙 초청팀을 지도하기도 했다.[16]2016년 9월 다사나야케는 LA에서 열리는 2016년 세계 크리켓 리그 디비전 4 대회로 첫 메이저 대회를 주관하며 우승을 차지했다고 발표하였다.[17]미국이 이 대회에서 우승했고, 다사나야케는 "결승에서 준우승을 차지하지 못했을 것"이라며 "결승에서 상황이 어떻게 흘러갔는지 매우 기쁘다"[18]고 말했다.다사나야케는 2019년 7월 미국 대표팀 감독직을 사임했다.[19]2020년 8월 다사나야케는 뉴저지에서 프랜차이즈 크리켓 코치를 맡을 것임을 공식화했다.[20]null
참조
- ^ "The Associate coach who changes fortunes". ESPN Cricinfo. Retrieved 8 May 2017.
- ^ a b 스리랑카 / 선수 / 푸부두 다사나야케, ESPN크라이신포.2016년 9월 3일 회수.
- ^ a b c d 퍼부두 다사나야케, 크리켓아치브가 펼치는 1등전.2016년 9월 3일 회수.
- ^ a b c 크리켓아치ive의 Pubudu Dassanayake가 하는 A매치 리스트.2016년 9월 3일 회수.
- ^ 크리켓아키티브의 푸부두 다사나야케가 펼치는 잡다한 경기들.2016년 9월 3일 회수.
- ^ a b 통계 / Statsguru / PB Dassanayake / 테스트 일치, ESPNcricinfo.2016년 9월 3일 회수.
- ^ a b c 통계 / Statsguru / PB Dassanayake / ODI 일치, ESPNcricinfo.2016년 9월 3일 회수.
- ^ 스리랑카 보드 XI 대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3년 스리랑카), 크리켓아치브.2016년 9월 3일 회수.
- ^ 크리켓아키티브의 푸부두 다사나야케가 매 시즌 1등 타선과 야수.2016년 9월 3일 회수.
- ^ 2010년 2월 5일 데일리 뉴스, "캐나다를 ICC 하루의 완전한 상태로 이끌려고 하는 푸부두"2016년 9월 3일 회수.
- ^ ICC 트로피, 2005 - 캐나다 / 기록 / 타율 및 볼링 평균, ESPNcricinfo.2016년 9월 3일 회수.
- ^ Singh, Pradeep (30 September 2011). "Pubudu Dassanayake is Cricket Coach for Nepali Team". Nepali Blogger. Retrieved 13 May 2016.
- ^ "Dassanayake steps down as Nepal coach". ESPN. 6 October 2015.
- ^ "Pubudu Dassanayake appointed coach of Nepali cricket team 2nd time". SCRILING. 11 December 2021.
- ^ 2016년 7월 29일 ESPN크리신포 '다사나야케 미국 감독 후보' 피터 델라 페나2016년 9월 4일 회수.
- ^ 피터 델라 페나, 2016년 9월 3일 ESPN크리신포 "WCL 디비전 4에 앞서 인디애나폴리스에서 5일 캠프를 개최한다"2016년 9월 4일 회수.
- ^ 2016년 9월 8일 ESPN크리신포 "다사나야케가 미국 대표팀 감독을 선임했다"2016년 9월 10일 회수.
- ^ "'I wouldn't have settled for runner-up' - Dassanayake". ESPN Cricinfo. Retrieved 11 November 2016.
- ^ "USA coach Pubudu Dassanayake resigns, Kiran More to take charge". ESPN Cricinfo. Retrieved 13 July 2019.
- ^ "Pubudu Dassanayake to coach New Jersey Minor League Franchise". Emerging Cricket. Retrieved 2 August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