펀치 트렁크
Punch Trunk펀치 트렁크 | |
---|---|
연출자 | 찰스 M. 존스 |
스토리 바이 | 마이클 말티즈 |
생산자 | 에드워드 셀저 (미인증) |
주연 | 멜 블랑 로버트 C. 브루스 (미수) 마리안 리치먼(미인증)[1] |
음악 기준 | 칼 스털링 |
애니메이션 기준 | 켄 해리스 로이드 본 벤 와삼 |
레이아웃 기준 | 모리스 노블 |
배경: | 필립 드 가드 |
컬러 공정 | 테크니컬러 |
생산 동행이 | |
배포자 | 워너 브라더스. 사진들 비타폰 주식회사 |
출시일자 |
|
러닝타임 | 7분 |
언어 | 영어 |
펀치 트렁크는 1953년 워너 브라더스다. Mike Maltese가 쓰고 Chuck Jones가 감독한 Looney Tunes 만화.[2] 단편은 1953년 12월 19일에 발매되었다.[3]
플롯
줄거리는 내레이터(미인증되지 않은 로버트 C의 목소리)로 시작된다. 5인치 키의 왜소 코끼리를 소개하는 브루스)이다. 그것의 거대한 굉음은 부두 노동자를 기절하게 한다. 다음 장면에서 코끼리는 마당에서 새 목욕을 독차지하고 있다. 그 집의 주인은 경찰에 전화를 하지만, 그들은 그가 미쳤다고 믿기 때문에 정신 병원에 실려 갈 뿐이다.
다음으로 다른 마당에서 빨래를 널고 있는 여자가 코끼리에게 옷핀을 건네준다. 그녀는 알아차리면 공포에 질려 비명을 지르고 세탁기로 피신하며 안으로 뛰어든다.
그 다음, 한 남자가 새 안경을 쓰고 검안 클리닉을 빠져나오지만, 그 작은 코끼리를 보자 다시 안으로 행진해 검안관을 주먹으로 때리고, 그리고 나서 떠난다. 왜냐하면 그는 의사가 그곳에 없는 것들을 보게 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고층 아파트에서, 한 엄마는 딸로부터 자신의 방에 코끼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회의적인 어머니는 그녀를 다시 침대에 눕힌다. 나중에, 딸은 코끼리에게 케이크 한 조각을 가져오고 있다. 이번에는 엄마가 인형집을 들여다보기 위해 자기 방으로 들어간다. 작은 코끼리가 그녀에게 소리를 지르면, 엄마는 충격으로 기절한다.
나중에 술 취한 남자가 술집을 나서 작은 코끼리(포효하여 남자의 주의를 끄는 코끼리)를 본다. 그는 시계를 확인하고는 간단히 이렇게 말한다: "늦었구나." 그는 방황하면서 혼자 중얼거린다. "그는 항상 분홍색이었어!"
그 후, 서커스에 있는 코끼리들은 다른 코끼리들 중 하나를 놀라게 하는 작은 코끼리를 포함한다. 고양이는 텐트 밑에서 쥐를 쫓지만, 대신 작은 코끼리를 잡는다. 울면 고양이는 원숭이로 변한다.
이후 정신과 진료실에서 한 여성이 자신의 삶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는데 정신과 의사가 (마시는 잔의 물을 막 다 마신) 그 작은 코끼리를 보자 그는 그 여자와 자리를 바꾼다.
그리고 나서, 그 만화는 깃대를 그리는 한 남자의 모습을 그린다. 군중들이 아래를 지켜보고 있다. 코끼리가 다가가 울부짖는 바람에 구경꾼들이 깃대 화가에 합류한다.
그 후, 다양한 신문 헤드라인들은 도시의 공포를 묘사한다: "대량의 환각" "작은 코끼리를 봤다고 주장하는 수백 명" "나는 그것을 보았다" "피카유네 파키데름 패닉스 포퓰레이스" "알람된 시민들을 진정시키기 위해 비행기로 데려갈 공증 과학자들".
마지막 헤드라인은 마지막 세트피스로 이어진다: 과학자인 로버트 브루스 카메론은 코끼리가 모든 사람들의 상상력의 산물일 뿐이라고 말한다. 이 작은 코끼리는 망각한 과학자의 마이크를 움직이며 시야에 들어온다. 그는 그 기이한 광경에 겁에 질린 사회자에게 자신의 진술을 읽으면서 말이다. 진행자는 카메론의 관점이 반드시 방송국의 관점을 대변하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이 작은 코끼리는 만화가 끝나갈 때 으르렁거린다. (주최자는 워너 브라더스에게 고개를 끄덕이는 "미스터 프랫"이라는 이름이다. DePatie-Freleng Enterprises의 핑크 팬더 캐릭터를 계속해서 만들었던 레이아웃 아티스트 Hawley Pratt).
레거시
이 작은 코끼리는 1959년 '자연스럽지 못한 역사'에서 카메오를 만든다.
이 만화는 Daffy Duck's Quackbusters로 편집되었다. 여기서는 조류 목욕 장면에서 시작해 고층 아파트, 서커스 장면, 고양이, 깃대 장면 등을 빼놓는다. 또한 신문 헤드라인들이 서로 바뀌어서 "대량의 환각 그립 시티", "피카유네 파키데름 패닉스 포퓰라시스", "작은 코끼리를 본 적이 있다고 주장하는 백년대계", "I Seeed it" 등 순서에 따라 보여진다. 마지막 헤드라인은 "공중으로 데려갈 공증 과학자들"에서 "작은 코끼리의 목격들"로 바뀌었고, 마지막 헤드라인을 통해 집단 공황에 대해 읽었던 다피 덕은 제드 토펠과 함께 Fearline에서 인터뷰를 했고 코끼리의 목격은 단순한 허튼소리에 불과하다고 일축했다.코끼리가 그의 책상을 지나갈 때 공개적으로 망신을 당했다.
홈 미디어
이 짧은 내용은 Looney Tunes Golden Collection의 디스크 4의 보너스 기능이다. 제6권.
참조
- ^ Ohmart, Ben (2012). Mel Blanc: The Man of a Thousand Voices. BearManor Media. p. 522. Retrieved 14 January 2021.
- ^ Beck, Jerry; Friedwald, Will (1989). Looney Tunes and Merrie Melodies: A Complete Illustrated Guide to the Warner Bros. Cartoons. Henry Holt and Co. p. 256. ISBN 0-8050-0894-2.
- ^ Lenburg, Jeff (1999). The Encyclopedia of Animated Cartoons. Checkmark Books. pp. 100–102. ISBN 0-8160-3831-7. Retrieved 6 June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