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트르 샤프라노프
Pyotr Shafranov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 샤프라노프 | |
---|---|
![]() 1965년 샤프라노프 | |
태어난 | 1901년 1월 22일 [O.S. 9] 볼쇼예 프롤로보예, 테토시스키 우예즈드, 카잔 주, 러시아 제국 |
죽은 | 1972년 11월 4일 모스크바, 소비에트 연방 | (71)
얼리전스 |
|
서비스/지점 | 적군(소련군) |
근속년수 | 1919–1965 |
순위 | 대령 |
보유된 명령 | |
전투/와이어 | |
수상 |
|
표트르 그리고리예비치 샤프라노프(러시아어: пё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ари
1919년 붉은 군대에 징집된 샤프라노프는 보병으로 러시아 내전에 참전했다.1920년대에 그는 포병부대의 하급 지휘관이 되었고 1930년대 후반에 포병 참모진에서 근무했다.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된 후 포병 연대를 지휘하기 위해 파견되었고, 1941년 말 제16 경비병 소총 사단이 된 제249 소총 사단의 포병 사령관이 되었다.샤프라노프는 1942년부터 1943년 사이에 후자를, 1943년부터 1944년까지 36기갑 소총 군단, 1944년 말 잠시 동안 5기갑군, 1945년 1월부터는 31기갑군을 지휘했다.샤프라노프는 동프루시안 공세 31군단의 지도력을 인정받아 '소련의 영웅'이 됐다.전후에는 국가 방공군 지휘관직을 역임하고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 대한 바르샤바 조약기구 통합군 최고사령관직을 끝으로 1965년 은퇴하였다.
초기 생활, 러시아 내전, 전쟁 기간
샤프라노프는 1901년 1월 22일(오월 9일) 티토시스키 우예즈드 볼쇼예 프롤로보예 마을(현재의 타타르스탄주 부윈스키 구역)에서 농민 가정에서 태어났다.[1]그는 테츠시에서 초등학교를 다녔고 1914년에 차리친으로 떠났으며, 그곳에서 1917년까지 선원과 조타수로 일했다.[2]러시아 남북전쟁 중 1919년 10월 적군에 징집되었고, 처음에는 적군인 신분으로 카잔의 제4예비소총연대에 파견되었다.샤프라노프는 라트비아군과 핀란드군을 상대로 서부전선에서 싸웠던 13소총사단 112소총연대로 이송됐다.1920년 7월부터 15소총 사단 제131소총연대에서 분대장을 지냈다.샤프라노프는 후자와 함께 카홉카 교두보, 북타우리다 공격, 페레코프-총가르 작전 등에서 브라겔 군대와 싸웠다.[3]
브란겔의 패배 후 샤프라노프는 1921년 5월 15소총 사단의 레터드 회사에서 적군인이 되었다.1921년 9월 제6차 사라토프 포병 코스에 입학한 그는 학생 분견대와 함께 1922년 5월부터 11월까지 바스마치 운동에 맞서 투르케스탄 전선에서 분대장으로 싸웠다.1923년 2월 이 과정을 졸업하자 샤프라노프는 자이토미르에 주둔하고 있는 44소총사단 포병대대에서 총사령관과 부소대장이 되었다.그해 10월 체르카시 99포병연대에서 소대장과 보조전지사령관이 되었다.샤프라노프는 1926년 10월부터 키예프 포병학교에서 공부한 뒤 수미 포병학교로 전학해 생도전지의 스타시나 역할을 했다.1928년 3월 졸업과 동시에 pskov에 있는 레닌그라드 군구 56포병 연대에 파견되어 배터리 지휘관과 연대장 등을 역임하였다.[3]
샤프라노프는 1930년 6월부터 F.E. 드제르진스키 적군 군사기술학교(1932년 F.E. 드제르진스키 포병학교로 개칭)에서 공부했으며, 1934년 11월 졸업 후 이 학원에서 부교장(원학생)이 되었다.1935년 5월부터 홍군의 주력 포병국장에서 최고 자격의 엔지니어로 근무하다가 1937년 9월 국장(국장)에서 부장이 되었다.샤프라노프는 1938년 7월부터 인민위원회 국방위원회에서 부문·부서장을 지냈다.[3]
제2차 세계 대전
1941년 6월 독일의 소련 침공 바르바로사 작전이 시작된 후 샤프라노프는 7월 예비전선 31군 제247소총사단 제778포병연대를 지휘하게 되었다.10월부터는 제249소총사단의 포병대장을 맡아 칼리닌과 노스웨스턴 전선에서 제22·4 쇼크군과 전투를 벌였다.샤프라노프는 1942년 1~2월 페노, 안드레아폴, 토로페츠, 벨리즈를 위해 싸우다 1942년 1월 31일 붉은 배너 훈장을 받은 '대포-영유병 협력과 포격 지원'을 능숙하게 조직한 공로를 인정받았다.그는 지난 3월 제249단이 16기갑 소총사단으로 전환된 이후에도 계속 자리를 지켰다.[3]
샤프라노프는 이때쯤 대령으로 8월 16일 사단장이 되었고, 11월 27일 소장으로 진급했다.[4]1943년 2월까지 서부전선 30군단의 일원으로 스타리차 지역에서 방어전투에서 사단을 이끌었다.샤프라노프는 지난 3월 중 라셰프-비야즈마 전략공세(Rzhev-Vyazma Strategic Agency)에서 소장으로 진급해 사단이 볼가를 넘어 라제프를 점령하기 전에 "전진적 방어의 돌파구를 능숙하게 조직했다"고 밝혔다.그 후 브리안스크 전선의 제11경비대와 함께 쿠투조프 작전과 1943년 중반 카라체프와 고로독 전투에서 사단을 이끌었다.쿠투조프 작전에서의 "전투 임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샤프라노프는 쿠투조프 2등 훈장을 받았다.[3]
샤프라노프는 9월 초 제36경비대 소총군 사령관으로 임명되어 1943년과 1944년 공습을 받을 때 브라이안스크, 제2·제1 발트해, 제3 벨로루스 전선과 함께 제11경비대의 일원으로 후자를 이끌었다.1944년 6월 말 비테브스크-오르샤 작전 바게레이션의 "실력 있는 지휘력"으로 측면 기동을 하고 오르샤의 철도 분기점을 점령한 그는 보그단 흐멜니츠키 2등 훈장을 받았다.7월 카우나스 공세 때 군단은 네만을 넘어 사흘 만에 50km(31mi) 전진해 칼바리자를 사로잡았다.[3]그는 9월 13일에 중장으로 진급했다.[5]
10월 16일 제3 벨로루스 전선 제5군단의 지휘권을 부여받은 샤프라노프는 12월 15일 제1 우크라이나 전선 제31군단 사령부로 이양하여 후자를 나머지 전쟁 기간 동안 이끌었다.그의 지휘 아래 군대는 쾨니히스베르크에 접근하는 것을 가린 쉬르윈트, 라비아우, 베흘라우, 타피아우 등을 사로잡으며 동 프러시아 공세에서 싸웠다.공세를 이어가며 쾨니히스베르크 남쪽에 있는 프리체스 하프 해안에서 마지막 독일군 거점인 헤이리겐베일을 점령하고, 3월 중 동프로이센에서 포위된 독일군의 파괴를 완료했다.샤프라노프는 '재능있는 리더십'으로 1945년 4월 19일 소련 영웅 칭호와 레닌 훈장을 받았다.[1]그는 5월 초 프라하 공세로 전쟁을 끝냈다.[3]
전후
전쟁이 끝난 후에도 샤프라노프는 계속해서 군대를 지휘했다.1948년 8월 보로실로프 고등군사관학교 고등학과를 졸업하고 돈바스 방공지역 부대의 사령관이 되었다.1952년 6월부터 바쿠 방공 지역, 1954년 4월부터 우랄 방공 지역을 연속 지휘한 샤프라노프는 1954년부터 1955년 사이에 우랄 방공군을 지휘하면서 동시에 방공용 우랄 군사 지구 부대의 부사령관을 지냈다.1955년 5월부터는 항공 방어를 위해 트라사카시아 군사구 부사령관(부사령관)을 역임한 뒤 1956년 7월 보로실로프 고등군사관학교 방공부장이 되었다.그해 12월 방공군 육군지휘사관학교장으로 전보된 샤프라노프는 1958년 대령으로 진급했다.1959년 11월 헝가리 인민군의 최고 군사 고문이 되었다.1961년 8월, 그는 1965년 은퇴하기 전 마지막 직책인 헝가리 인민 공화국에 바르샤바 조약 기구 통합군 최고사령관의 대표가 되었다.샤프라노프는 모스크바에 살았고, 1972년 11월 4일 노보데비치 묘지에 안장되었다.[3][1]그는 아들과 딸 하나를 남기고 죽었다.[6]
수상 및 수상
샤프라노프는 다음과 같은 소련의 상과 훈장을 받은 사람이었다.[3][1]
- 소비에트 연방의 영웅
- 레닌 훈장 (2)
- 적반하장(3)
- 수보로프 훈장, 2등
- 쿠투조프 훈장, 2등
- 보그단 흐멜니츠키 훈장, 2급
그는 1943년 다른 소련의 고위 장교들과 함께 대영제국 명예사령관이 되었다. 그의 목 장식은 1944년 5월 10일 기념식에서 아치발드 클라크 커 소련 주재 영국 대사가 비야슬라프 화염병 인민위원회에 수여했다.[7]
샤프라노프는 소비에트 연방의 최고 소비에트 연방의 제3차 소집단 대표였다.[3]해사부 배 한 척과 부인스크 거리 한 척이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1]
참조
인용구
- ^ a b c d e 슈카도프 1988, 페이지 764.
- ^ "Открылась выставка:" Шафранов П.Г. - командир 16(249) гвардейской с.д.". Новости". velizh.museum67.ru. Retrieved 2019-03-09.
- ^ a b c d e f g h i j Tsapayev & Goremykin 2014, 페이지 978–980.
- ^ 소련 국방부의 주요 인사국장, 304페이지.
- ^ 1964년 소련 국방부의 주요 인사국장, 페이지 53.
- ^ "Сын Шафранова собирается в Буинск". buinsk.tatarstan.ru (in Russian). Retrieved 2019-03-09.
- ^ "Вручение английских орденов и медалей" [Presentation of English orders and medals] (PDF). Krasnaya Zvezda (in Russian). 11 May 1944. p. 1. Retrieved 10 October 2018.
참고 문헌 목록
- Main Personnel Directorate of the Ministry of Defense of the Soviet Union (1964). Командование корпусного и дивизионного звена советских вооруженных сил периода Великой Отечественной войны 1941 – 1945 гг [Commanders of Corps and Divisions in the Great Patriotic War, 1941–1945] (in Russian). Moscow: Frunze Military Academy.
- Shkadov, Ivan, ed. (1988). Герои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краткий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Heroes of the Soviet Union: A Brief Biographical Dictionary] (in Russian). Vol. 2. Moscow: Voenizdat. ISBN 5203005362.
- Tsapayev, D.A.; et al. (2014). Великая Отечественная: Комдивы. Военный биографический словарь [The Great Patriotic War: Division Commanders. Military Biographical Dictionary] (in Russian). Vol. 5. Moscow: Kuchkovo Pole. ISBN 978-5-9950-04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