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켄더 Ka
Ka with descenderDescender가 있는 Ka(Descender қ; 이탤릭체: қ)는 구소련의 영토에서 사용되는 다수의 비슬래브어(non-slavic language)에서 사용되는 키릴 문자로서 다음을 포함한다.
- 투르크어파 카자흐어, 위구르어, 우즈베크어 및 몇 개의 작은 언어(카라칼팍어, 쇼르어어, 토파어)가 있는데, 여기서 이 언어는 무성할 수 없는 구개광선 /q/를 나타낸다.
- 타지크어, 오세트어 등의 이란어(1924년 이전, 지금은 디그람어 кк⟩⟩)로 대체되었다./q/는 아라비아 알파벳에서 ق qaf로 표현되기 때문에, қ은 "키릴 qaf"라고 부르기도 한다.
- /q/를 나타내는 칸티어의 동부 품종.
- 아브하스어(Abkhaz language)는 무성 벨라 플로시브 /k/를 나타낸다. (키릴 문자 Ka(Kirilic letter Ka, к)는 /kʼ/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1905년 압하스의 철자를 위해 도입되었다.1928년부터 1938년까지 압하스는 라틴 알파벳으로 철자를 썼으며, 그에 상응하는 문자는 설명자(ender ⱪ)가 있는 라틴 문자 K였다.
ISO 9의 번역은 ⟨ķ⟩(세디야를 사용한 kk⟩)이며, 압하스를 위해 그렇게 번역된 반면, 카자흐어와 우즈베크어의 공통 로마자 표기법은 ⟨q⟩이다.
컴퓨터 코드
미리보기 | Қ | қ | ||
---|---|---|---|---|
유니코드명 | 키릴 문자 KA WITH WITH WITH DESCENDER | 키릴 문자 작은 글자 KA WITH WITH WITH DESCENDER | ||
인코딩 | 십진법의 | 육각의 | 을 결정하다 | 육각의 |
유니코드 | 1178 | U+049A | 1179 | U+049B |
UTF-8 | 210 154 | D2 9A | 210 155 | D2 9B |
숫자 문자 참조 | Қ | Қ | қ | қ |
참고 항목
소리를 /q/로 쓸 때 사용되는 기타 키릴 문자:
- ӄ ӄ : 고리가 달린 키릴 문자 Ka
- ҡ ҡ : 키릴 문자 바쉬키르 콰
- ԛ ԛ : 키릴 문자 Qa
- ԟ ԟ : 키릴 문자 알류트 카
- 유니코드의 키릴 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