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성 연수개 파열음

Voiceless velar plosive
무성 연수개 파열음
k
IPA 번호109
부호화
엔티티(10진수)k
유니코드(16진수)U+006B
X-SAMPAk
점자⠅ (braille pattern dots-13)
오디오 샘플

무성개 파열음 또는 정지음은 거의 모든 구어권에서 사용되는 자음의 한 종류이다. 소리를 나타내는 국제음성문자의 기호는 "k"이며, 이에 대응하는 X-SAMPA 기호는 다음과 같습니다.k.

[k] 소리는 언어적으로 매우 일반적인 소리입니다.대부분의 언어에는 적어도 하나의 [k]가 있으며, 일부 언어에는 여러 품종이 있습니다.힌디어와 벵골어와 같은 대부분인도-아리아어 언어들은 흡음어 평음[k]의 쌍방향 대조를 보인다.일부 언어에만 무성 연수개 파열음이 없다.타히티어몽골어.

일부 언어에는 무성 전음순 [1]파열음이 있으며, 이는 원형 경구개 파열음만큼 전방은 아니지만 원형 경구개 파열음의 관절 위치에 비해 약간 더 전방으로 표현된다.

반대로, 일부 언어에는 무성 후음순 파열음이 [2]있으며, 이는 원형 구개수 파열음만큼 되돌아오지는 않지만 원형 구개수 파열음의 관절 위치보다 약간 뒤에 발음된다.

특징들

Voiceless velar plosive.svg

무성 연수개 파열음의 특징:

  • 그것의 관절 방식폐쇄적이며, 이것은 성관의 공기 흐름을 방해함으로써 만들어짐을 의미합니다.자음도 구강으로 비강 배출구가 없기 때문에 기류가 완전히 차단되고 자음은 유성음이다.
  • 그것의 관절의 위치연수개이며, 이것은 의 뒷부분(등쪽)이 부드러운 입천장에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그것의 발성은 무성하며, 이것은 성대의 진동 없이 만들어 진다는 것을 의미한다.어떤 언어에서는 성대가 활발하게 분리되어 있어서 항상 소리가 나지 않고, 다른 언어에서는 코드가 느슨해서 인접한 소리들의 목소리를 맡을 수 있습니다.
  • 그것은 입을 통해서만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구강 자음이다.
  • 그것은 중심 자음인데, 이것은 옆구리가 아니라 혀의 중심을 따라 공기를 보내면서 만들어 낸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기류 메커니즘은 펄스 방식이며, 이는 대부분의 소리와 같이 와 횡격막만으로 공기를 밀어내는 방식으로 연결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품종

IPA 묘사
k 플레인 k
흡인 k
구개음화 k
순음화 k
k, 가청 해제 없음
유성 k
시제 k
이젝트 k

발생.

언어 단어 IPA 의미. 메모들
압하스인 ̇лakak / akhalhalakh' [카칼락] 'the city' '압하스 음운론'
아디게 삽수그 ★★★★★/★★ [깔끔] '실패' 방언: 다른 방언에서는 [t͡]]에 대응합니다.
테미르고이 сėppsk / pskn [퍽] '기침하다'
아흐나 기탄 [kɪstʰn] '6'
알류트[3] 키악스 [kikaka] '딸기 덤불
아랍어 모던 스탠다드[4] ك ت /kut / ibib [카타브] '그는 썼다' '아랍어 음운론' 참조
아르메니아어 동부[5] '/'/gh / 카악 [끄덕끄덕분에 '타운' 숨을 쉬지 않는 형태와 대비됩니다.
앗사메 / / kom [끄윽] '적음'
아시리아어 ctava [카타바] '책' 우르미아어, 노치야어를 제외한 대부분의 변종에서 사용
여기서 [teature]에 해당합니다.
바스크어 카투 [카츠] '고양이
벵골어 / / kom [끄윽] '적음'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벵골어 음운론' 참조
불가리아어 акkak / kakkak [아쉬움] '어떻게' '불가리아의 음운론' 참조
카탈로니아어[6] 코르스 [나꼼수] '실패' '카탈로니아 음운론' 참조
중국인 광둥어 / / ā [카닥카닥] '집' 흡인 또는 순음화 형태와 대비됩니다.'광둥어 음운론' 참조
호킨 코아 [쿠아] '노래'
표준 중국어 / / 가오 [끼익] '높다'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중국어 음운론' 참조
추바시 кукка [ku'k'k'k] '어머니 오빠'
체코어 코스트 [코스트] '체코어 음운론' 참조
덴마크어 표준[7] 고스 [나꼼수] '실패' 통상, IPA 로 「」또는 「」로 변환됩니다.보통 IPA에서 "k" 또는 "k"로 표기되는 흡인 형식과 대조됩니다.'덴마크 음운론' 참조
네덜란드어[8] 코닝 [코엔] '왕 '네덜란드 음운론' 참조
영어 키스하다 [끄덕끄덕] '키스' '영어 음운론' 참조
에스페란토 라콘토 [라콘토] '테일' '에스페란토 음운론' 참조
에스토니아어 카익 [끼익] '모두' 에스토니아 음운학 참조
필리핀 사람 쿠토 [쿠토] '이'
핀란드어 카쿠 [꼬꼬] '케이크 '핀란드어 음운론' 참조
프랑스어[9] 캐비닛 [(웃음)] '오피스' '프랑스어의 음운론'
그루지야어[10] ვა / kva [크크크크크크크크]
독일의 케피그 [ˈkʰɛːfɪç] '실패' '표준 독일어 음운론' 참조
그리스어 α】【α [카이로] '실패' '현대 그리스어 음운론' 참조
구자라티 카데 [kɑndo] '실패' '구자라티 음운론' 참조
히브리어 ס k k / kesef [소식] '돈' '현대 히브리어 음운론'
힐리가이논 카도루 [법칙] '웃음'
힌두스탄어 ाम / / مممم [끄윽] '작업'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힌두스탄어 음운론 참조
헝가리어 악코 [아끼꼬] '그럼' '헝가리 음운론' 참조
이탈리아의[11] 케이스 [käää] '하우스' '이탈리아 음운론' 참조
일본인입니다[12] / / kaban [카바] '실패' 일본어 음운학 참조
가게야넨[13] 칼라그 [카다카] '실패'
크메르어 쿰페체아 [우치] '캄보디아' 크메르 음운론 참조
한국인입니다 캄자 [나꼼수] '실패' 한국어 음운학 참조
라코타 키미멜라 [꼬마멜라] '실패'
룩셈부르크어[14] geess [삐걱삐걱] '실패' 목소리[ɡ]의 빈도가 낮다.IPA에서는 보통 "k"로 표기되며 보통 "k"[14]로 표기되는 흡인 형식과 대조됩니다.'룩셈부르크어 음운론' 참조
마케도니아어 кој [끄덕끄덕] '누구' 마케도니아 음운론 참조
마라티 वच [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 '실패'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마라티 음운론' 참조
말레이어 카키 [카키] '레그 일부 단어에서는 음절 코다로 발표되지 않음, 말레이 음운론 참조
네팔어 केरा [끼익] '실패'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네팔어 음운론' 참조
노르웨이어 카케 [꼬꼬] '케이크 '노르웨이 음운론' 참조
오디아 카마/카마 [카메] '작업'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
파슈토어족 ★★★★★★ [끼익] '년'
페르시아어 ارk / karrd [k7rd] '실패'
폴란드의[15] [북] 너도밤나무 '폴란드 음운론' 참조
포르투갈어[16] 콜포 [코뿌] '본체' '포르투갈어 음운론' 참조
펀자비 ਰک / /kar / kar [끼익] '도'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
루마니아어[17] 카운드 [아쉽다] '언제' '루마니아 음운론' 참조
러시아어[18] 코로키 [kɐrotkʲj] '짧다' '러시아어 음운론' 참조
세르보크로아티아어[19] ★★ [kȏ̪ [] '세르보-크로아티아 음운론' 참조
슬로바키아어 인식하다 [kkk] '슬로바키아 음운론' 참조
스페인어[20] 케이스 [kkä]] '하우스' '스페인어 음운론" 참조
스웨덴어 [우당탕탕] '실패' '스웨덴어 음운론' 참조
실헤티 ★★★★★★★★★★★★★★★★★★★ [끼끼끼끼] '뭐야'
타밀어 ★★★★★★★★★★★★★★★★·카이 [끼익] '손' '타밀어 음운론' 참조
텔루구 카키/카키 [카키] '까마귀' 흡인된 형태와 대비됩니다.
태국어 ่ / k ̀̀ [kajj] '실패' 흡인된 형태와 대조됩니다.
터키어 쿠랏쿠락 [kʰuɫk] '귀' '터키어 음운론' 참조
우비크 ★★★★★★★★★★★★★★★★★★ [마이너스] '슬랫 주로 외래어로 발견되죠'유비크 음운론' 참조
우크라이나어[21] ★★★★★★★ [나꼼수] '바퀴' '우크라이나 음운론' 참조
베트남의[22] 카메라 [아쉬움] '실패' '베트남어 음운론' 참조
웨일스어 카론 [kalswn] '하트 웨일스 음운론 참조
서부 프리지안 키루 [끼익] '실패' '서프리지아 음운론' 참조
§ / ge [끼익] '실패' 흡인 형태와 비흡인 형태를 대비합니다.
자포텍 틸키아판[23] 칸자 [칸자] '걷기'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전음순" 대신 "진행음순", "전음순", "후음순", "후음순", "후음순", "후음순", "후음순", "후음순", "후음순"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2. ^ "후두개" 대신 "추정개골", "등개골", "전두개골", "진행개구개골" 또는 "전두개골"로 불릴 수 있습니다.
  3. ^ Ladefoged (2005), 페이지 165.
  4. ^ Thelwall (1990), 37페이지.
  5. ^ Dum-Tragut (2009), 13페이지.
  6. ^ Carbonell & Listerri(1992), 53페이지.
  7. ^ 바스뵐 (2005:61)
  8. ^ 구센호벤(1992), 페이지 45.
  9. ^ Fougeron & Smith (1993), 페이지 73.
  10. ^ Shosted & Chikovani (2006), 페이지 255.
  11. ^ Rogers & d'Arcangeli (2004), 페이지 117.
  12. ^ 오카다(1999년), 페이지 117
  13. ^ 올슨 연구진(2010), 페이지 206–207.
  14. ^ a b 길레스&트루베인 (2013:67~68)
  15. ^ 자셈(2003), 페이지 103.
  16. ^ Cruz-Ferreira(1995), 페이지 91.
  17. ^ DEX Online : [ 1 ]
  18. ^ Padgett (2003), 페이지 42.
  19. ^ 란다우 연구진(1999), 페이지 66.
  20. ^ 마르티네스-셀드란, 페르난데스-플라나스 & 카레라-사바테(2003), 페이지 255.
  21. ^ 단옌코 & 바쿨렌코(1995), 페이지 4
  22. ^ 톰슨(1959), 페이지 458-461.
  23. ^ 메릴(2008), 페이지 108.

레퍼런스

  • Basbøll, Hans (2005), The Phonology of Danish, ISBN 0-203-97876-5
  • Carbonell, Joan F.; Llisterri, Joaquim (1992), "Catala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2 (1–2): 53–56, doi:10.1017/S0025100300004618, S2CID 249411809
  • Cruz-Ferreira, Madalena (1995), "European Portugues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5 (2): 90–94, doi:10.1017/S0025100300005223, S2CID 249414876
  • Danyenko, Andrii; Vakulenko, Serhii (1995), Ukrainian, Lincom Europa, ISBN 9783929075083
  • Dum-Tragut, Jasmine (2009), Armenian: Modern Eastern Armenian,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Fougeron, Cecile; Smith, Caroline L. (1993), "Frenc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3 (2): 73–76, doi:10.1017/S0025100300004874, S2CID 249404451
  • Gilles, Peter; Trouvain, Jürgen (2013), "Luxembourgish" (PDF),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43 (1): 67–74, doi:10.1017/S0025100312000278
  • Gussenhoven, Carlos (1992), "Dutc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2 (2): 45–47, doi:10.1017/S002510030000459X, S2CID 243772965
  • Jassem, Wiktor (2003), "Polis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3 (1): 103–107, doi:10.1017/S0025100303001191
  • Ladefoged, Peter (2005), Vowels and Consonants (Second ed.), Blackwell
  • Martínez-Celdrán, Eugenio; Fernández-Planas, Ana Ma.; Carrera-Sabaté, Josefina (2003), "Castilian Spanish",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3 (2): 255–259, doi:10.1017/S0025100303001373
  • Merrill, Elizabeth (2008), "Tilquiapan Zapotec" (PDF),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8 (1): 107–114, doi:10.1017/S0025100308003344
  • Okada, Hideo (1999), "Japanese", in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ed.),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117–119, ISBN 978-0-52163751-0
  • Olson, Kenneth; Mielke, Jeff; Sanicas-Daguman, Josephine; Pebley, Carol Jean; Paterson, Hugh J., III (2010), "The phonetic status of the (inter)dental approximant",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40 (2): 199–215, doi:10.1017/S0025100309990296, S2CID 38504322
  • Padgett, Jaye (2003), "Contrast and Post-Velar Fronting in Russian", Natural Language & Linguistic Theory, 21 (1): 39–87, doi:10.1023/A:1021879906505, S2CID 13470826
  • Rogers, Derek; d'Arcangeli, Luciana (2004), "Italia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4 (1): 117–121, doi:10.1017/S0025100304001628
  • Shosted, Ryan K.; Chikovani, Vakhtang (2006), "Standard Georgian" (PDF),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6 (2): 255–264, doi:10.1017/S0025100306002659
  • Thelwall, Robin (1990), "Arabic",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0 (2): 37–41, doi:10.1017/S0025100300004266, S2CID 243640727
  • Thompson, Laurence (1959), "Saigon phonemics", Language, 35 (3): 454–476, doi:10.2307/411232, JSTOR 411232
  • Landau, Ernestina; Lončarića, Mijo; Horga, Damir; Škarić, Ivo (1999), "Croatian",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6–69, ISBN 978-0-521-65236-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