퀸즈우드 스쿨
Queenswood School퀸즈우드 스쿨 | |
---|---|
![]() | |
주소 | |
![]() | |
, , AL9 6NS 잉글랜드 | |
좌표 | 51°42′54″N 0°09′59″W / 51.715°N 0.166389°W좌표: 51°42′54″N 0°09′59″W / 51.715°N 0.166389°W/ |
정보 | |
유형 | 독립학교 요일과 탑승 |
좌우명 | 호르티스 레지나에("퀸즈 가든에서")[1] |
종교적 소속 | 감리교 |
확립된 | 1894 |
지방 당국 | 허트퍼드셔 주 |
주임 | 조안나 캐머런 |
성별 | 소녀들은. |
나이 | 11 대 18 |
등록 | 430 |
집 | 4 |
색상 | 보라색, 회색 집 색깔: 빨간색, 녹색, 노란색, 파란색 |
출판 | 퀸즈우디안 매거진 |
전학생 | 올드 퀸즈우디안 |
웹사이트 | www |
퀸즈우드 스쿨은 런던에서 20마일 떨어진 허트포드셔 주 해트필드 근처에 위치한 여학생 전용 독립 학교다. 11세, 13세, 16세(제6종)에 입장할 수 있다.
좋은 학교 가이드 2013은 퀸즈우드를 "다른 사람들이 열망해야 할 여자 학교"라고 묘사했다.
역사
이 학교의 기원은 1869년 런던 클랩튼에 설립된 "웨슬리언 목사의 딸들을 위한 교육원"이 있다. 클라팜 공원으로 전학한 후 1894년 현재의 이름으로 개교하였다.[1] 머리는 마리온 월러였고 그녀는 이 학교의 설립자 데이비드 월러의 딸이었다. 마리온 월러는 에델 트레우를 조수로 데리고 도착했다. 월러는 1897년에 결혼하기 위해 떠났고 트레우는 학교를 이끌겠다는 자신의 야망을 포기하도록 설득당했다.[2]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학교는 살로니카로 보내진 구급차에 자금을 대기 위해 기금을 모았다.[3]
트레우 감독의 지도 아래 이 학교는 1925년 허트퍼드셔주 해트필드의 썸웰 하우스로 이전했고 예비학교가 설립됐다. 원학교와 원장의 집은 1936년에 불타 거의 똑같은 건물로 교체되었다. Trew는 많은 성공을 거두었지만 1944년에 은퇴하는 데 너무 많은 시간이 걸렸다.[2] 그녀는 주지사 회장인 남작 스탬프와 함께 학교의 미래를 계획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한 에니드 "엠마" 에사메에 의해 대체되었다. 에사메는 1930년대 초에 수석 지명자로 확인되었고 트레우가 은퇴하기를 오랫동안 기다리면서 다른 제안을 거절했었다.[4] 에사메는 학교 지지자들에게 영감을 주었고 학교를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돈이 발견되었다. 1957년에 새로운 과학 블록과 도서관이 추가되었다.[1] 에사메는 1971년까지[5] 복무했고 그녀는 마가렛 리치의 뒤를 이었다. 1981년 퀸즈우드에서 교육을 받은 오드리 버틀러가 그녀의 차례를 이어받았다.[6]
이름
'퀸즈 가든에서'라는 학교의 모토와 함께 '퀸즈 레지닌슈'(1819~1900)와 함께 '퀸즈 가든에서'라는 이름은 여성교육과 사회 여성의 지위를 상징하는 존 러스킨(1819~1900)에게 경의를 표한다. 1865년 그는 이름과 좌우명이 근거한 "퀸즈 가든" 강연을 출판했다.[1] 이 강의는 1864년 12월에 행해진 '세사메와 백합' 시리즈 중 하나였다.
목회자 돌봄
퀸즈우드는 감리교 학교인 만큼 모든 여학생들은 예배당 예배에 참석해야 한다. 새로운 소녀들을 환영하는 특별 예배가 열리며 상위 6위 탈주자들을 작별한다.
가정교사 제도는 그 학교의 목회적 돌봄의 핵심 부분이다. 소녀들은 작은 그룹으로 조직되어 가정교사나 가정교사에게 배정된다.[7]
하우스 시스템
7, 8세 소녀들은 45명의 하숙인을 수용하는 스탬프 하우스에 속해 있다.
7학년 때, 소녀들은 네 집 중 한 집에 무작위로 배정되지만 9학년 때에만 바뀐다.[8]
- 하틀리
- 클라팜 노스
- 클라팜 남방
- 왈러
탑승
그 집에는 통합이 가능하도록 하숙녀와 낮잠녀들이 섞여 있다. 탑승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유연하며 시간제 탑승자를 수용할 수 있다. 낮잠은 임시방편이나 평일에만 자도 된다.
각 집은 여주인 및 하숙 보조원의 감독을 받는다. 스탬프 하우스는 12명의 튜터와 3명의 상주 직원을 두고 있다.
저명한 전학생.
- 나오미 카바데이, 테니스 선수
- 헬렌 매크로리 (1968–2021), 여배우
- 무리엘 니셀(1921~2010), 통계학자[9] 및 공무원
- 나탈리 핑크햄, 텔레비전 및 라디오 진행자
- 앨리슨 리처드 케임브리지대 부총장
- 마거릿 대처 수상의 딸 캐롤 대처
- 조지 톰슨, 텔레비전 진행자
1980년대 동안 배우 폴 베타니는 그의 아버지인 테인 베타니는 연극부의 상주 책임자로 학교에 정기적으로 머물렀다.[10]
참조
- ^ a b c d "A History of Queenswood". Queenswood. 3 August 2018.
- ^ a b "Trew, Ethel Mary (1869–1948), headmistress".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doi:10.1093/ref:odnb/52390. Retrieved 16 October 2020.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 ^ Norris, John (1 September 2012). World War II Trucks and Tanks. History Press. ISBN 978-0-7524-9073-1.
- ^ Butler, Audrey M. B. (2004). "Essame, Enid Mary [Emma] (1906–1999), headmistress".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online ed.). Oxford University Press. doi:10.1093/ref:odnb/73466. Retrieved 17 October 2020. (구독 또는 영국 공공도서관 회원 필요)
- ^ "DMBI: A Dictionary of Methodism in Britain and Ireland". www.dmbi.online. Retrieved 16 October 2020.
- ^ "Queenswood and Hatfield - Part 2". www.hatfield-herts.co.uk. Retrieved 17 October 2020.
- ^ 튜터제[영구적 데드링크]
- ^ "Life in the Middle School - Queenswoo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September 2015. Retrieved 1 October 2015.
- ^ Bindel, Julie (28 November 2010). "Muriel Nissel obituary".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December 2017. Retrieved 27 October 2018.
- ^ Julie McCaffery (16 May 2006). "Tragedy, Drugs and a Dad Who Wanted to Have a Sex Change Op". Daily Mirror.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December 2008. Retrieved 14 January 2008.
추가 읽기
- Watson, Nigel (1994), In hortis reginæ : the story of Queenswood School, 1894-1994, London: James & James, ISBN 0-907383-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