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 D. Blumenfeld

R. D. Blumenfeld
R. D. Blumenfeld
Ralph David Blumenfeld in 1919.jpg
태어난
랠프 데이비드 블루멘펠트

(1864-04-07)7 1864년 4월
죽은1948년 7월 17일 (1948-07-17) (84세)
국적미국인 (생년); 영국인 (1907년 귀화)
기타 이름R.D.B.(펜 이름)
직업기자
제목편집자, 데일리 익스프레스
배우자테레사 블럼펠트 (1892-1948)
아이들.존 엘리엇

랄프 데이비드 블루멘펠트(R.D.B., 1864년 4월 7일 ~ 1948년 7월 17일)는 미국 태생의 저널리스트, 작가, 신문 편집자로 1902년부터 1932년까지 영국 신문 데일리 익스프레스(Daily Express)를 담당한 것으로 주로 유명하다.

전기

블루멘펠트는 1864년 4월 7일 위스콘신주 워터타운에서 데이비드 블루먼펠트와 그의 아내 낸시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뉘른베르크 출신의 전 교수인 데이비드 블루멘펠트는 1848년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그곳에서 독일어 신문인웰뷔르거를 창간했다. 아버지의 뒤를 따르기를 열망하는 블루멘펠트는 1884년 시카고 헤럴드로 옮기기 전에 아버지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 그 다음해에는 그가 유나이티드 프레스에서 일하는 것을 보았고 1887년에 그는 빅토리아 여왕의 황금 주년에 관한 기사를 쓰기 위해 영국을 방문했다. 그가 돌아온 후, 뉴욕 모닝 저널의 화재에 대한 그의 보도는 제임스 고든 베넷 주니어가 그의 논문인 뉴욕 헤럴드로 그에게 블루멘펠트를 제공하게 했는데, 그곳에서 블루멘펠트는 1892년 사임으로 이어질 때까지 기자로 일했다.[1] : 329–330

그 후 6년 동안, Blumenfeld는 라이노타이프 기계를 판매하는 성공적인 사업을 구축했다. 1894년 그는 영국으로 건너갔고, 그곳에서 기자로서의 부와 명성이 <옵저버>와 <선데이 타임즈>를 모두 사겠다고 제안했는데, 이 두 가지 모두 거절했다. 그러나 그는 저널리즘의 세계로 돌아가기를 원했고 1900년에 알프레드 해런즈워스가 <데일리 메일>의 뉴스 편집자직을 제의한 것을 열심히 받아들였다. 그는 곧 Harmsworth의 사업 거래에도 관여하게 되었고, Walter 가족으로부터 The Times를 구매하려는 그의 성공적이지 못한 노력에서 Harmsworth의 연락책 역할을 했다.[1]: 330 [2]: 80

블루멘펠트의 하르츠워스 재임 기간은 짧았다. 1902년 아서 피어슨은 경쟁사인 최근 설립된 데일리 익스프레스를 위해 블루멘펠드가 데일리메일을 떠나도록 설득했다. 받아들이면서, 블루멘펠트는 곧 신문의 운영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고, 광고 대신 1면에 뉴스를 싣는 미국의 관행과 같은 혁신을 소개했다. 1908년에 그는 회사의 이사로 임명되었고 이듬해 편집장으로 취임했다. 신문사와의 사업 관련 문제에 고심하면서, 는 맥스 에이트켄으로부터 2만 5천 파운드의 차관을 받아들였는데, 이는 1917년 언론인 남작의 후속 소유권 추정에 핵심이 되었다. Blumenfeld는 1929년까지 이 논문의 편집자로 남아 있었으나, 비버브룩이 편집 문제에 있어서 (이후 아이트켄이 고삐를 잡으면서) 간섭적인 역할을 맡으면서 점차 자신이 소외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1]: 330

정치블루멘펠트는 자유방임주의 경제학의 강력한 지지자였으며 사회주의를 신랄하게 비판했으며, 이를 위해 1908년 반사회주의 연합을 설립하고 보수당과 긴밀하게 연결시키는 데 성공했다.[3]: 319

블루멘펠트는 이 논문의 편집장을 자신의 제자인 베벌리 백스터에게 넘겨준 뒤 What is a 저널리스트(1930), The Press in My Time(1932) 등 다수의 책을 썼다. 1932년, 는 그의 여생 동안 유지했던 데일리 익스프레스 이사회 의장이 되었다. 1928년 언론인협회장, 1931년부터 1933년까지 뉴스메이커 컴퍼니의 명장, 1931년부터 1935년까지 디스트리뷰터 및 신문메이커의 숭고한 컴퍼니의 부주장을 역임하기도 했다. 보수당에서 활동했지만, 그는 정치 서비스에 제안된 기사 작위를 거절했다.[1]: 331 여러 정치인의 절친한 친구였던 그는 1927년 백악관 출입기자단 방문을 이끌면서 칼빈 쿨리지가 대화를 유도한 몇 안 되는 인물 중 한 명이었다고 한다.

1935년 BBC 라디오에서 "Anywhere for a News Story"라고 불리는 일련의 회담을 방송한 후, Blumenfeld는 에식스그레이트 던모우의 농가인 Muscombs로 은퇴했다. 1936년 뇌졸중으로 무력해진 그는 12년 후 사망했다.

가족

블루멘펠트의 아들 존 엘리엇은 1898년 5월 6일에 태어났다. 그는 1922년부터 1925년까지 이브닝 스탠더드의 부편집장이 되었다.[4] 그의 후기 경력에서 그는 남부 철도의 총지배인,[5] 철도 경영자,[6] 그리고 마침내 런던 교통의 회장 직무대행을 하고 있었다.[4]

참조

  1. ^ a b c d A. J. A. 모리스 "블루멘펠드, 랄프 데이비드" 옥스퍼드 국립 전기 사전, H.C.G. 매튜와 브라이언 해리슨, 에드스. (옥스포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4), 제9권.
  2. ^ J. 리 톰슨 노스클리프: 1865-1922년 (런던: 존 머레이, 2000년) 정치계의 남작 기자
  3. ^ 피터 바버리스, 존 맥후그, 마이크 테일들리, 영국아일랜드 정치조직 백과사전: 20세기의 정당, 집단운동.
  4. ^ a b Halliday, Stephen (1 July 2013). Underground to everywhere. The History Press.
  5. ^ Rubinstein, W.; Jolles, Michael A. (27 January 2011). The Palgrave Dictionary of Anglo-Jewish History. Springer.
  6. ^ Wragg, David (1 August 2017). Southern Handbook: The Southern Railway 1923-1947. The History Press.

추가 읽기

  • "R.D. Blumenfeld 씨: 데일리 익스프레스 회장" (오비투리), 더 타임스, 1948년 7월 19일.

외부 링크

미디어 오피스
선행자 데일리 익스프레스 편집장
1909–1929
성공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