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AF 기지 앰벌리
RAAF Base AmberleyRAAF 기지 앰벌리 | |||||||||
---|---|---|---|---|---|---|---|---|---|
입스위치(호주 퀸즐랜드) | |||||||||
![]() KC-30과 F/A-18F 항공기를 배경으로 RAF 기지를 이륙하는 RAAF C-17 Globemaster III | |||||||||
퀸즐랜드 소재지 | |||||||||
좌표 | 27°38(26°S) 152°42°43°E/27.64056°S 152.71194°E | ||||||||
유형 | 공군 기지 | ||||||||
지역 | 1,600헥타르(4,000에이커) | ||||||||
사이트 정보 | |||||||||
주인 | 국방부 | ||||||||
교환입니다. | ![]() | ||||||||
사이트 이력 | |||||||||
지었다. | 1940년 6월( | ||||||||
사용중 | 1940년 6월 ( | 현재||||||||
주둔지 정보 | |||||||||
거주자 | |||||||||
비행장 정보 | |||||||||
식별자 | ICAO: YAMB | ||||||||
승진 | 28 미터 (91 피트) AMSL | ||||||||
| |||||||||
출처:호주 AIP 및 비행장[1] 차트 |
RAAF 기지 앰벌리(ICAO: YAMB)는 호주 퀸즐랜드주 입스위치 남서쪽 8km(5.0mi), 브리즈번 CBD 남서쪽 50km(31mi)에 위치한 왕립 호주 공군(RAAF) 공군 기지입니다.현재 1편대(F/A-18F 슈퍼호넷 운용), 6편대(EA-18G 그로울러 운용), 33편대(에어버스 KC-30A 운용), 35편대(C-27J 스파르타 운용), 36편대(보잉 36편대)가 주둔하고 있다.앰벌리는 또한 제9지원대대를 구성하는 육군 부대의 본거지이기도 하다.1,600ha(4,000에이커)에 위치한 RAAF 앰벌리는 5,000명 이상의 제복 및 민간 인력을 [2]고용한 RAAF 최대 작전 기지입니다.기지에는 훈련 대학이나 정비 구역 등 다양한 편대가 있습니다.앰벌리의 인원 면에서는 가장 큰 비행대가 주둔지와 배치된 전투 지원을 모두 제공하는 382 원정 전투 지원 비행대 RAF(ECSS)이다.앰벌리는 우주왕복선의 [3]Transoceanic Abort (TOA) 착륙 장소로 지정된 호주의 두 개의 비행장 중 하나였다.Amberley는 현재 6,400만 호주달러의 재개발 프로그램을 진행 중입니다.RAAF는 앰벌리를 F/A-18F 슈퍼호넷, KC-30A, C-17 글로브마스터, C-27J 스파르타 기지로 운용할 계획이다.
역사
브리즈번 RAAF 기지의 필요성은 1930년대에 확인되었다.입스위치 시에서 남서쪽으로 8km 떨어진 882에이커(357ha)의 육지가 1938년 12월 12일 방위 목적으로 관보되었다.
이 땅은 원래 자제라, 유게라, 우가라풀 [4]가문의 땅주인들이 지브로필리라고 불렀습니다.Jeebropilly라는 이름은 그 지역의 범람원을 의미한다.[5]
이 기지는 당초 300명의 장교와 병력으로 구성된 범용 함대를 수용할 계획이었다.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했을 때 벽돌 건물들은 여전히 불완전했고 많은 추가 건물들은 목재와 섬유로 빠르게 지어졌다.이 기지는 1940년 6월 개교했으며, 제1부대는 제24비행대대였다.1942년 5월부터 기지는 비행 운영에서 주로 [4]항공기의 조립과 수리로 역할이 바뀌었다.
그 기지는 1942년과 1943년 사이에 미국 육군 항공대의 주요 기지였다."앰벌리 필드"에 배정된 제5공군 부대는 다음과 같다.
구성 단위 | 항공기 | 맡겨진 | 재할당 완료 | 엠벌리에서의 시간 | 메모들 |
---|---|---|---|---|---|
제22폭격대 | B-26 마루더 | 1942년 3월 7일 ( | 1942년 4월 7일 ( | 31일 | |
제38폭격대, 본부 | B-25 미첼 | 1942년 4월 30일( | 1942년 6월 10일 ( | 41일 | |
제69폭격비행대대 | B-26 마루더 | 1942년 5월 20일 ( | 20일 | ||
제70폭격비행대 | 1942년 5월 11일 ( | 1943년 8월 14일 ( | 1년 95일 | ||
제475전투단, 본부 | P-38 라이트닝 | 1942년 5월 14일 ( | 1년 92일 | ||
제431전투비행대 | 1943년 7월 1일( | 44일 | |||
432d 전투기 편대 | 1943년 6월 11일 ( | 64일 | |||
433d 전투기 편대 | 1943년 6월 17일 ( | 58일 |
미국의 시설은 [6]1947년에 호주로 이전되었다.전쟁 후 이곳은 1, 2, 6번 중대가 운영하는 RAAF의 중폭격기 기지가 되었다.예비군 23번(브리즈번시) 비행대는 1955년 RAAF 기지 아처필드에서 앰벌리로 이전했다.
1965년, 미국은 "무선 통신에 대한 영향을 특히 강조하면서 대기 또는 우주에서의 장애의 물리적 영향을 측정하기 위한 공동 연구 프로그램"을 RAAF 기지 피어스에서 앰벌리의 [7]기지로 확장했다.
현재 레이아웃
현재 공항의 배치는 [8]3km와 1.5km 길이의 두 개의 활주로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단위
다음 유닛은 RAAF Base Amberley에 [9][10][11]근거하고 있습니다.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 ||||
---|---|---|---|---|
구성 단위 | 풀네임 | 포스 요소 그룹 | 항공기 | 메모들 |
HQ82WG | 본사 82동 | 공중전투단 | ||
1SQN | 제1중대 | 공중전투단 | F/A-18F | |
6SQN | 제6중대 | 공중전투단 | EA-18G | |
278SQN DET AMB | 278 편대 파견 앰벌리 | 공중전투단 | ||
33SQN | 제33중대 | 항공 모빌리티 그룹 | KC-30A | |
35SQN | 제35중대 | 항공 모빌리티 그룹 | C-27J 스파르타어 | |
36SQN | 제36중대 | 항공 모빌리티 그룹 | C-17 글로브마스터 III | |
452SQN AMB FLT | 452 편대 앰벌리 비행 | 감시 및 대응 그룹 | ||
HQCSG | 본부 전투 지원단 | 전투지원단 | ||
HQ 95WG | 본부 95동 | 전투지원단 | ||
382SQN | 제382중대(대전대응중대) | 전투지원단 | ||
295SQN | No 295 편대 (훈련 및 기준) | 전투지원단 | ||
1CCS DET AMB | 제1전투통신비행대대 앰벌리 | 전투지원단 | ||
2초 | 제2보안대대 | 전투지원단 | ||
HQ 96WG | 본부 96동 | 전투지원단 | ||
23SQN | 23번(브리즈번 시) 편대 | 전투지원단 | ||
HQHSW | 본부 보건 서비스 본부 | 전투지원단 | ||
1EHS | 제1원정 건강중대 본부 | 전투지원단 | ||
3AMES DET AMB | 제3항공의료대 파견 앰벌리 | 전투지원단 | ||
HOCU | 건강 운영 전환 유닛 | 전투지원단 | ||
RAAFSFS | RAAF 보안 및 소방학교 | 공군 훈련단 | ||
할스포 | 중형 에어 리프트 시스템 프로그램 사무소 | 방위 물질 기구 | ||
SRSPO | 타격 정찰 시스템 프로그램실 | 방위 물질 기구 | ||
아두 | 항공기 연구 개발 부대 앰벌리 분견대 | 항공 우주 운용 지원 그룹 | ||
오스트레일리아 육군 | ||||
6 ESR | 제6 엔지니어 지원 연대(20 EOD Sqn 제외) | 제6여단 | ||
9 FSB | 제9지원대대(AD 176년 제외) | 제17지속여단 |
「 」를 참조해 주세요.
- 오스트레일리아 주둔 미국 육군 공군 (제2차 세계 대전)
- 퀸즐랜드의 공항 목록
- 오스트레일리아 공군 시설 목록
레퍼런스
이 문서는 공군역사연구국 웹사이트 https://www.afhra.af.mil/의 퍼블릭 도메인 자료를 통합한 것이다.
- ^ YAMB – Amberley (PDF)Airservices Australia의 AIP En Route Supplement, 2022-03-24, 항공 차트
- ^ "RAAF Base Amberley" (PDF). Department of Defence. Australian Government. 1 October 2013. Retrieved 14 August 2017.
- ^ Pike, John. "Space Shuttle Emergency Landing Sites". www.globalsecurity.org.
- ^ a b "The Heritage Values of RAAF Base Amberley" (PDF). defence.gov.au. Retrieved 29 January 2021.
- ^ Cook, Margaret (2019). A River with a City Problem. St Lucia, Qld.: University of Queensland Press. ISBN 9780702260438.
- ^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Australia and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concerning Aerodrome Facilities. ATS 4 of 1947."". Australian Treaty Series. Australasia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Retrieved 15 April 2017.
- ^ "Exchange of Notes constituting an Agreement between the Government of Australia and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regarding a Joint Research Program for Measuring the Physical Effects of Disturbances in the Atmosphere or in Space with particular emphasis on their effect on Radio Communications. ATS 4 of 1965". Australian Treaties Library. Australasian Legal Information Institute. Retrieved 15 April 2017.
- ^ "Airservices Australia". Airservices Australia. Retrieved 29 January 2021.
- ^ Nelson, Laraine; McAuley, Joanne (2019). The heritage values of RAAF Base Amberley : from Hornet Moth to Super Hornet (PDF). Canberra: Defence Publishing. ISBN 9781925890051. Retrieved 11 January 2020.
- ^ Department of Defence (March 2015). 17th Construction Squadron Relocation Infrastructure Project - RAAF Base Amberley, Queensland - Statement of Evidence (Report). Retrieved 12 January 2020.
- ^ "RAAF Base Amberley". Royal Australian Air Force. Retrieved 12 January 2020.
추가 정보
- Maurer, Maurer(1983)제2차 세계 대전의 공군 전투 부대.맥스웰 AFB(앨라배마):공군사국입니다.ISBN 0-89201-092-4.
- Maurer, Maurer, ed. (1982) [1969]. Combat Squadrons of the Air Force, World War II (PDF) (reprint ed.). Washington, DC: Office of Air Force History. ISBN 0-405-12194-6. LCCN 70605402. OCLC 725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