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인하르트 펜드리히

Rainhard Fendrich
레인하르트 펜드리히
Fendrich in concert with Austria3 in 2006.
Fendrich는 2006년 오스트리아3와 협력했다.
배경 정보
출생명레인하르트 위르겐 펜드리히
로도 알려져 있다.레이니
태어난 (1955-02-27) 1955년 2월 27일 (66)
기원오스트리아
장르, 포크록, 뉴웨이브, 오스트로팝
직업음악가, 작곡가, 배우, 연예인
계기기타
년 활동1980-현재
관련 행위오스트리아3
웹사이트rainhard-fendrich.at (독일어로)

레인하르트 위르겐 펜드리히(Rainhard Jürgen Fendrich, 1955년 2월 27일생, 비엔나 출생)는 오스트리아의 가수, 작곡가, 연예인, 배우다. 는 호주에서 가장 성공한 음악가 중 한 명이며, 그의 노래는 비엔나 독일어로 쓰여져 있다. 그는 오스트리아에서 매우 인기가 있지만 다른 독일어권 국가에서는 그렇지 않다. 독일어가 아닌 나라에서는 그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1990년 이후의 그의 노래인 "I Am from 오스트리아"(제목을 제외한 가사는 비엔나 독일어로 되어 있다)는 곡은 오스트리아에서 여전히 인기가 있다.[citation needed]

조기생활과 교육

Fendrich의 어머니는 수데텐 독일인이었고 그의 아버지의 가족은 세르비아에서 기원했다. 그의 아버지는 기계 기술자였고, 어머니는 모델이었다.[1] 하랄드 펜드리히라는 남동생이 있는데, 그는 6살 아래고 밴드에서도 베이스 기타를 연주한 뮤지션으로 현재 WIR4(울리 베어, 게리 룩스, 해리 스탬퍼)에 소속되어 있다.[2] Fendrich는 10살 때 가톨릭 기숙학교에 보내졌고, 그곳에서 17살까지 살았다. 기숙학교에서 그는 제단 소년이었고 합창단에서 노래를 불렀다. 그는 수학을 너무 못해서 피아노 레슨이 취소되었다.[3] 자신의 진술에 따르면, 그는 어렸을 때 별로 매력적이지 않고 '추비'라고 생각했다.[4] 15세 때 기타를 얻었을 때, 그는 스스로 화음을 가르쳤고 가사도 쓰기 시작했다. 당시 소녀들과의 답답한 경험은 나중에 시라노(1991년)나 프리다(2001년) 같은 노래에서 그들의 표정을 발견한다. 그는 다양한 직업을 통해 연기와 노래 레슨을 받기 위해 법대를 중퇴했다.

경력

1980년 펜드리히는 뮤지컬 'Die Graefin voom Naschmarkt'에서, 1982년 시카고 예수 크라이스트 슈퍼스타에서 공연했으며(빌리 플린, 1998년), 2002년 해롤드 팔터마이어와 공동 집필한 뮤지컬 '웨이크 업(Wake Up)'에서 제프 조디악 역을 맡았는데, 이 작품들은 모두 오스트리아 빈에서 실패했다. 그는 수많은 오스트리아와 독일 영화에 출연했다.[citation needed]

연예인으로서는 ARD TV쇼인 헤르츠블랫에서 루디 카렐을 따랐고,[5] 오스트리아판 '백만장자되고 싶은 사람'의 첫 진행자로, 잠시 ORF와 ARD가 제작한 자신만의 TV 코미디쇼 '닉스 이즈 픽스'를 진행하기도 했다.[citation needed]

펜드리치는 TV 오락으로 오스트리아 골든로미상을 받았다.[citation needed] 1994년, 1995년, 2000년에 아마데우스 오스트리아 음악상 후보에 4번 올랐다가 2002년에 수상하였다. 오스트리아의 NEWS 잡지 독자들은 같은 해에 그에게 "10년 최고의 엔터테이너"라고 투표했다.[citation needed]

2007년, 비엔나, 도나우인셀페스트

1997년, 그는 그의 친구들과 오스트리아의 가수 기타리스트, 게오르크 댄저볼프강 암브로스를 모아 노숙자들에게 혜택을 주기 위한 유익한 콘서트를 열었다. 그들의 성공은 압도적이었고, 세 명의 개인주의자들은 그날부터 2006년에 그 프로젝트를 중단하기로 결정할 때까지 오스트리아3로 무대에 올랐다.[citation needed] 그러나 2007년 4월 16일 비엔나에서 열린 게오르크 댄저의 컴백 콘서트에서는 몇 곡의 노래를 위해 다시 만났고, 2008년 재결합에 대해 공개석상에서 '생각'까지 했다. 댄저가 2007년 6월 21일 폐암으로 사망했기 때문에 이런 일은 있을 수 없다.[citation needed]

Fendrich가 "대신 그리고 게오르그 댄저"에게 준 "대신 그리고 게오르그 Danzer" 콘서트는 2007년 6월 23일 200,000명의 팬들이 몰렸다.[citation needed]

사생활

펜드리치는 1984년부터 2003년까지 안드레아 사토르와 결혼했으며, 두 아들을 두었다. 그들의 딸은 1989년 17개월의 나이로 바이러스성 질환으로 사망했다.[6]

펜드리치는 2006년 4월 초 경찰 수사 과정에서 마약상을 사들인 사실이 드러나자 15년간 코카인을 사용해왔다고 자백했다. 곧바로 자발적 탈퇴를 거쳐 이후 마약퇴치 운동에 참여했지만 코카인 소지 및 (대부분 버려진) '마약통행'으로 지난 5월 무조건 벌금 3만7500유로를 선고받았다.

2010년 12월 4일 펜드리치는 오랜 여자친구인 이나 나딘 와글러와 베를린에서 결혼식을 올렸다. 그들의 아들은 2011년 3월 10일에 태어났다.[7] 2012년 부부가 헤어진 뒤 2016년 11월 이혼했다.[8]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날짜 제목 차트 위치
GER
[9]
자동
[10]
SWI
[11]
1980 Ich Wolte nie einer von denenen sein - 16 -
1981 undes는 ganz Anders word'n. - 1 -
1982 즈위첸 eins und vier - 1 -
1983 Auf und Davon - 2 -
1985 빈베이 나흐트 - 1 16
1986 킨 숄너 랜드 - 3 -
1988 볼러 몽드 - 12 -
1989 폰 지트 주 지트 - 3 -
1991 Nix is fix 44 1 -
1993 브뤼데르 64 1 -
1997 금발 51 1 21
2001 므네르사체 30 1 62
2002 웨이크업 캐스트 앨범 - - -
2004 오플레벤 43 1 -
2006 상형+제트 43 1 -
2010 마인 지트 55 1 -
2013 베서 우르드의 니콜트 38 1 56
2016 슈바르조데르바이스 28 1 69
2017 톱3
(볼프강 암브로스게오르크 댄저와 함께)
- 43 -
2019 스타크레겐 17 1 39

라이브 앨범

날짜 제목 차트 위치
GER
[9]
자동
[10]
SWI
[11]
1983 오픈 에어
(볼프강 암브로스와 함께)
- 4 -
1985 알레 지트 데어 웰트 - 9 -
1989 다스 콘저트 27 5 21
1992 비너 페스트보헨
(빈 교향악단과 함께)
- 1 -
1998 슈베렐로스 - 36 -
2002 아인 사이튼스프룽 - 6 -
2009 Best of Live – 30 Jahre Rainhard Fendrich - 9 -
2018 Für inmer a Wiener - Live und akustisch 57 2
[12]
-

컴파일 앨범

날짜 제목 차트 위치
GER
[9]
자동
[10]
SWI
[11]
1987 레인하르트 펜드리히의 히트패레이드 - 12 -
1992 다스 베스테 폰 레인하르트 펜드리히 - 39 -
1993 스트라다... 오스트리아 - 10 -
1994 리거 밋 게풀 70 7 -
1995 재활용됨 - 2 -
2001 라리테텐
(라인하르트 메이, 마리안 멘트와 함께 희귀한 듀엣 포함)
- 4 -
2005 그러니까, 내장을... Die Grö hitsten Hits aus 25 Jahren. 83 2 -
2006 소에인 극장 - 디 쇤스텐 발라든 und libeser - 51 -
2009 Best Of – Wenn das kein Beweis는 ... - 20 -
2015 Auf den zweiten Blick - 5 -
Zwischen heute & girlg – 다이 최후통첩성 Lyedersamlung - 6 -
Zwischen greamute & heute – 다이 최후통첩성 Lyedersamlung - 7 -

오스트리아3

  • 1998: 오스트리아3 - 라이브(볼프강 암브로스와 게오르크 댄저와 함께)
  • 1998: 오스트리아3 - 라이브 Vol. 2 (볼프강 암브로스와 게오르크 댄저 포함)
  • 2000: 오스트리아3 - 디 드리트 (볼프강 암브로스와 게오르크 댄저와 함께)

DVD

  • 2002년: 아인 사이튼스프룽
  • 2004: Jetzt

싱글스

이름 연도 오스트리아
즈웨이어베지흥 1981 16
"스트라다솔레" 1
"시케리아" 1982 1
"라치아" 9
"오벤오네" 1
"에스레브 데르 스포츠" 7
에로빅트 1983 9
아이치빈 에인 네거란트 1984 10
"우즈드 헤르츠 헤스트 위아 아 버그워크" 3
빈베이 나흐트 1985 19
"히마티드" 16
"Vü shöner is des G'fühl"
"트렌 트로켄 슈넬" 1987 15
"더 윈드" 1988 24
마초 시 1
탱고 코럽티 5
"본 지트 주 지트" 1990 17
"나는 오스트리아 출신이다" 6
"블론드" 1997 1
리틀 드러머 보이 16
"엔체즐리히 헤테로" 2001 47
"위르 신드 유로파" 2007 49

참조

  1. ^ "Audio Interview". Retrieved November 23, 2020.
  2. ^ ""Er hat sich selber in die Scheiße geritten": Harald Fendrich über seinen großen Bruder". news.at. Retrieved November 23, 2020.
  3. ^ "Audio Interview". Retrieved November 23, 2020.
  4. ^ "Fendrichs intime Lebensbeichte"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3-10-29. Retrieved August 27, 2014.
  5. ^ ""Prosit, "Herzblatt"!"". wunschliste.de. Retrieved May 24, 2021.
  6. ^ ots.at: Bei Claudia Stöckl …의 Rainhard Fendrich Erklrt in Frühstuk bei mir" bei Claudia Stöckl …, 15를 토한다. 예너 2006년
  7. ^ orf.at: 레인하르트 펜드리히 모자 게히라떼, 10. 2010년 12월
  8. ^ news networld Internetservice GmbH (2012-09-14), "Rainhard Fendrich: Resignierender 1. Auftritt nach Ehe-Aus • NEWS.AT", News.at (in German), retrieved 2017-02-06
  9. ^ a b c "Discographie von Rainhard Fendrich". GfK Entertainment. Retrieved 27 September 2019.
  10. ^ a b c Austriancharts.at: 레인하르트 펜드리히
  11. ^ a b c Hitparade.ch: 레인하르트 펜드리히
  12. ^ http://oe3.orf.at/charts/stories/oe3austriatop40longplay/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