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사 칼자

Raissa Calza
라이사 칼자
Raissa Calza.jpg
태어난
라이사 사모일로브나 구레비치

(1894-12-28) 1894년 12월 28일
우크라이나, 오데사
죽은1979년 1월 24일(1979-01-24)(84)
매장지오스티아, 라치오, 이탈리아
국적.우크라이나어
기타 이름레이사 로크
교육에콜 뒤 루브르
직종.
  • 발레 무용수
  • 배우.
  • 고고학자
배우자Georgij Krol', Georgio de Chirico, Guido Calza
어워드이탈리아 문화 예술 훈장, 1967년

라이사 사모일로브나 칼자(Raissa Samojlovna Calza, 1894년 12월 15일 ~ 1979년 1월 24일)는 우크라이나의 무용수로 로마 초상화의 저명한 고전 고고학자가 되었다.그녀가 어렸을 때, 그녀는 러시아 혁명에 따라 이탈리아와 프랑스로 도망쳤다.

에콜 뒤 루브르 박물관에서 고고학을 공부한 후, 그녀는 이탈리아로 돌아와 오스티아 안티카 발굴 현장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그곳에서 그녀의 세 번째 남편 귀도 칼자를 만났다.그녀는 오스티아의 고고학 유적지에 관한 많은 책을 출판했고 1967년 6월 2일 으로 된 이탈리아 문화 예술 훈장을 받았다.그녀는 1979년에 사망했고 오스티아 안티카 근처의 산테르콜라노 교회에 묻혔다.

초기 생활

라이사 사모일로브나 구레비치는 1894년 12월 15일 오데사의 부유한 우크라이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그녀의 부모 사무일과 베르타는 폴란드와 핀란드에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었지만,[1] 구레비치는 1918년까지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자랐다.공부를 마치고 아버지의 권유로 라이사는 무용수와 배우가 되었다.러시아 연극계에서 그녀는 첫 남편인 러시아 유대인 감독 [2]게오르기 크롤을 만났다.

러시아 혁명에 따라, 구레비치와 크롤'은 우크라이나에서 쫓겨나 1919년 이탈리아 토리노로 이민을 갔다.부부로서, 그들은 종종 연극 제작을 하거나 연극 제작에 참여하기 위해 여행을 했다. - 그들은 1920년부터 1921년까지 로마에서, 그리고 1921년부터 [3][4]1922년까지 베를린에서 살았다.

구레비치가 공연한 '니오베의 죽음'의 데 키리코의 디자인

1923년, 로마에서, 구레비치는 테아트로 데글리 운디시에서 [1]헤르만 셰르첸이 감독한 '솔다트 역사'의 주역을 맡을 기회를 제공받았다.예술가 조르지오 데 치리코는 이 작품을 보고 오빠 알베르토 사비니오[5]함께 제작한 초현실주의 '마임 비극'인 '니오베의 죽음'의 주역을 맡아달라고 그녀를 초대했다.구레비치는 1925년 5월 14일 "라이사 로크"라는 가명으로 주역을 수락하고 그녀의 남편이 세트를 디자인하고 의상을 데 치리코에게 입혔다.구레비치와 크롤'은 1924년 말 극단과 함께 여행을 했지만, 여행이 끝날 무렵 구레비치는 크롤'을 떠나 파리로 이사했다.그녀는 1925년에 [6]드 치리코와 곧 결혼했다.

파리에서, 구레비치는 공식적인 [1]학위를 받은 적은 없지만, 샤를 피카르의 수업을 들으며 에콜루브르 대학에서 고고학을 공부했다.드 치리코가 극장 [7]제작 세트장에서 일하면서 그녀와 드 치리코는 자주 여행을 떠났지만, 1930년 데 치리코가 이사벨라 팍스워 파와 함께 도피하면서 그들의 결혼은 끝이 났다.구레비치는 1931년 데 [8]키리코와 이혼하고 [3][9]로마로 돌아왔다.

직업

공식적인 자격 요건의 부족 때문에, 구레비치는 고고학자로서의 직업을 찾을 수 없었지만, 1937년 로마 근처의 오스티아 안티카 유적지에서 사진작가와 조수가 되었다.그곳에서 그녀는 발굴 책임자인 귀도 칼자 [10]밑에서 일했다.그들은 1945년에 결혼했지만, 귀도 칼자는 불과 1년 후인 1946년 4월에 사망했다.라이사 칼자는 1935년부터 [11]1968년까지 오스티아 고고학 유적지에서 활동했습니다.

칼자의 초기 성공적인 출판물 중 하나는 1949년에 [12]1940년대 초에 발굴된 오스티안 "사이벨레의 산츄리"에 대한 그녀의 설명이었다.1950년까지, 현장에서의 작업과 많은 출판물을 통해, 칼자는 로마의 초상화와 조각,[13][14] 특히 장례 조각의 전문가로 알려지게 되었다.

1951년 말부터 1952년 봄 사이 하드리아노 회고록 삽화판을 준비하던 중 오스티아의 칼자를 찾은 마르게리트 유르세나르는 방문 [15]후에도 계속 연락을 주고받았다.1956년 1월 1일부터 1957년 1월 3일까지, 칼자는 가비네토 포토그라피코 나치오날레 보관소가 로마 조각상들의[16] 사진 컬렉션을 정리하고 분류하는 것을 도왔다. 1958년부터 1959년까지, 그녀는 포토테카 디 아치테투라 에 토포그라피아 델의 첫 번째 과학 협력자였다.이탈리아 [15]안티카

고고학자이자 학자로서 칼자의 글은 러시아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영어,[17] 독일어를 아는 그녀의 언어 실력으로 보완되었다.고고학자 마가렛 L. 레어드가 오스티안 "세데 델리 아우구스탈리"에서의 조각에 대한 그녀의 작품을 제국 숭배 [19]초상화로 잘못 인식한 것에 대해 "아이코노그래픽상의 어려움"이라고 비판했지만, 그녀는 또한 전형적인 고전 [18]조각에 대한 세부 사항들을 통찰하는 것으로도 유명하다.

이탈리아 고고학에 대한 그녀의 공헌을 인정하기 위해,[20] 칼자는 1967년 6월 2일 이탈리아 문화 예술 훈장을 받았다.

죽음.

칼자는 1979년 1월 24일 로마의 자선 [1]수녀회가 운영하는 요양원에서 사망했다.그녀는 남편 귀도 [21][22]근처에 있는 오스티아 안티카 근처의 산테르콜라노 교회에 묻혔다.

기록 보관소

Calza는 오스티아:이탈리아 중부 대학 Siena[11]의 고대 로마의 사진들 중 대부분의 광범위한 발굴 베니토 무솔리니 정부가 1939년과 1942년에서 방향에 수행 시기로부터 오는 인문학 도서관 사이에 그녀의 기록 보관소로 나누는 재단에 고대와 그녀의 개인 도서관과 문자의 사진을 떠났다..[14]

선택한 서지 목록

  • Calza, Raissa (1958). Scavi di Ostia III: Le Necropoli. Parte 1: Le tombe di età repubblicana e Augustea. Istituto poligrafico dello Stato.[23]
  • Calza, Raissa (1947). Museo Ostiense. Rome: Libreria dello Stato.[24]
  • Calza, Raissa (1955). Cronologia ed identificazione dell' "Aggripina" Capitolina. Rome: Tipografia Poliglotta Vaticana.
  • Calza, Raissa; Nash, Ernest (1959). Ostia. Florence: Sansoni.[25]
  • Calza, Raissa (1964). Scavi di Ostia V: I Ritratti, Parte I: I Ritratti greci e romani fino al 160 circa d. C. Istituto poligrafico dello Stato, Libreria dello Stato.[26]
  • Calza, Raissa (1972). Iconografia romana imperiale. Da Carausio a Giuliano (287-363 d.C.). Rome: L'erma di Bretschneider.[27]
  • Pisani Sartorio, Giuseppina; Calza, Raissa (1976). La villa di Massenzio sulla via Appia : il palazzo, le opere d'arte. Istituto di studi romani.[28]
  • Calza, Raissa (1977). Antichità di Villa Doria Pamphilj. De Luca.[29]
  • Calza, Raissa (1978). Scavi di Ostia IX: I ritratti. P. 2: Ritratti Romani dal 160 circa alla metà del III secolo d. C. Istituto poligrafico dello Stato.[30]

레퍼런스

  1. ^ a b c d Tavi, Leila (22 December 2019). "Raissa Calza: The Muse Of Giorgio De Chirico With A Passion For Ancient Rome". E-go Times. Retrieved 3 January 2020.
  2. ^ Piccolo, Laura. "Raisa Samujlovna Gurevič, Krol ', De Chirico, Calza Raissa Lork". russinitalia.it (in Italian). Russians in Italy. Retrieved 19 October 2020.
  3. ^ a b "The Raissa Calza Fund". sba.unisi.it/ (in Italian). University of Siena. Retrieved 19 October 2020.
  4. ^ Garetto, Elda; Piccolo, Laura. "Georgij Aleksandrovič Krol'". russinitalia.it (in Italian). Russians in Italy. Retrieved 19 October 2020.
  5. ^ "Arturo Bragaglia 1893-1962 - Pierrot futurista 1925". invaluable.com. Retrieved 12 January 2020.
  6. ^ Holzney, Magdalena (2005). Giorgio de Chirico, 1888-1978 : the modern myth. Cologne: Taschen. p. 94. ISBN 3-8228-4152-8.
  7. ^ 이 시기에 그려진 드 치리코의 라이사의 초상화가 여러 개 있다.
  8. ^ "Fondazione Giorgio e Isa de Chirico, biography". fondazionedechirico.org (in Italian). Giorgio and Isa de Chirico Found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July 2016. Retrieved 19 October 2020.
  9. ^ de Chirico, Giorgio (2013). Memorie della mia vita (in Italian). Giunti. ISBN 9788858761021. Retrieved 19 October 2020.
  10. ^ Boin, Douglas (2013). Ostia in late antiquit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2401-4.
  11. ^ a b "Fondo Raissa Calza". www.censimento.fotografia.italia.it (in Italian). Retrieved 6 January 2020.
  12. ^ Welles, C. Bradford (January 1949). "Archaeological Digest". American Journal of Archaeology. 53 (1): 60–75. doi:10.2307/501215. JSTOR 501215.
  13. ^ "어느 로마 도상학의 선구적인 생활 전문가들의".토인비, J.M.C.(9월 24일 2012년)."R.Calza, Scavi 디 오스티아:이탈리아 중부, V:1세 Ritratti, Parte 1:Ritratti GreciE루마니아 피노 알 160Circa DC로마:Istituto Poligrafico dello Stato, 1964.Pp.127, 색상, 107망판 접시frontispiece.L. 30,000".저널 로마 연구의 56(1–2):262–263. doi:10.2307/300172.JSTOR 300172.
  14. ^ a b "라이사 칼자의 연구는 특히 초상화와 장례 조각 분야에서 지역 생산의 세부 사항을 찾아내고 오스티안 워크샵을 확인하는 데 기여했습니다.1950년, 일반적으로 "시그노라 칼자"로 알려진 라이사는 연구나 로마 미술에서 권위적인 명성을 가지고 있었다."Gli studi di Raissa Calza hanno contributeituito, 특히 nell ne campo della ritratistica e della scultura funeraria, le specificita di una produzion rocale e le officine ostiensi..."Negli Anni'50 Raissa, ormai universalmente nota la "Signora Calza" (이탈리아어로 cosi, é citata anche in moltissimi testi scienti in lingua straniera), 아베바 라 레푸타지온 디 오토레볼레 스튜디오." Shepherd, Elizabeth J. (2009). "Lungo il Tevere. Da Roma a Ostia, un Percorso per Immagini". Da Ostia a Roma e Oltre: Raissa Calza e la Fotografia. Bononia University Press. pp. 115, 116. ISBN 978-8873954781.
  15. ^ a b 셰퍼드 2009, 117세
  16. ^ 1956년 1월 1일부터 1957년 1월 3일까지 라이사 칼자는 미란다 5를 통해 역사적인 장소인 가비네토 포토그라피코 나치오날레에 와서 수많은 고고학적 사진, 더 정확히는 로마 컬렉션에 있는 역사적 조각품을 재구성하고 주제화했다.ata presso il Gabineto Fotographico Nazionale, allora nella storica sede di in Manda 5, con lo scopo di riordinare le number foto di soggetto archologico, pi prenti nellezioni relle nelle relzioni roman schedi reschard, 116." (미란다 5), 2009).
  17. ^ 읽기와 쓰기의 재능으로, Raissa는 더 많은 언어에 대한 지식을 통합했습니다. 러시아어는, 분명히, 그리고 프랑스어는, 어린 시절 말기에 공부했고, 그 다음에는 영어, 독일어, 그리고 이탈리아어를 공부했다. "Ale doti di lettrice e scrittrice Raissa univa quella dela conoscenza di piu languie: il luso, ovviamente, eil fine da piccola; poi lingleleese, ilesco e'tiscola"Shepherd 2009, 115
  18. ^ "그녀는, 그녀의 무릎 사이에 그녀의 죽은 아기를;그 공동 묘지에 애완 동물의 뼈를 포함한 반달 족, 로마의 훔친 물건을 적재 변환 barges 세부적인 것을 연민을 생생한 눈:엄마는 분만 중에 죽음의 땅을 안도 왔다"MacKendrick, 폴, Calza, Raissa, 내시, 어니스트(7월 1961년)."오스티아:이탈리아 중부".아메리칸 저널 고고학의. 65(3):329.doi:10.2307/501713.JSTOR 501713.
  19. ^ Laird, Margaret L. (2000). "Reconsidering the So-Called "Sede degli Augustali" at Ostia". Memoirs of the American Academy in Rome. 45: 41–84. doi:10.2307/4238765. JSTOR 4238765.
  20. ^ "Le onorificenze della Repubblica Italiana". www.quirinale.it. Retrieved 3 January 2020.
  21. ^ "Church of Sant'Ercolano". ostia-antica.org. Retrieved 3 January 2020.
  22. ^ "St. Herculanus' Church - Archaeological park of Ostia Antica - Archaeological Sites and Monuments". Archaeological Park of Ostia Antica. Retrieved 3 January 2020.
  23. ^ Scavi di Ostia III 리뷰:
  24. ^ Museo Ostiense 리뷰:
  25. ^ Ostia 리뷰:
  26. ^ Scavi di Ostia V 리뷰:
  27. ^ Iconografia Romana Imperiale 리뷰:
  28. ^ 아피아를 통한 La villa di Massenzio sulla 리뷰:
  29. ^ Antichita di Villa Doria Pampilj 리뷰:
  30. ^ Scavi di Ostia IX 리뷰:

추가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