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카 레바작
Raka Levajac라카 레바작 | |
---|---|
![]() 라카 레바작의 묘비 | |
네이티브 이름 | Рако Левајац |
태어난 | 1777 레바, 오스만 제국(현재의 세르비아) |
죽은 | 1833 오스만 제국 모진제(현재의 세르비아) |
얼리전스 | ![]() |
근속년수 | 1803-1813 |
순위 | 보즈보다 |
전투/와이어 |
라카 레바작 (1777–1833 세르비아 키릴어: 샬라바스 аеа was serbian)은 세르비아의 보즈보다(Vojvoda)로, 오스만 제국에 대한 세르비아 인구의 무장 반란인 제1차 세르비아 봉기와 제2차 세르비아 봉기 당시 세르비아 혁명군의 군 사령관이었다.라카 레바작은 봉기 지도자인 오브레노비치, 카라지제 두 사람과 현저하게 친분이 두터운 사이였으나, 그들 각각과 의기양양하게 사이가 틀어지게 되었다.당시 유명한 지도자였던 그는 지위와 재산을 잃고 가난하게 죽었다.
초년기
라카 레바작은 1777년 레바에서a 태어났고, 판타와 라도사브 두 형제가 있었는데, 그가 어렸을 때 죽은 아버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그의 어머니 젤렌카는 재혼했고 라카와 그의 두 형제는 1800년 초에 고르네 고레브니카 마을로 그녀를 따라갔다.라카는 상인 겸 소 상인 니콜라 룬제비카와 함께 일하기 시작했다.[1]
룬제비카는 라카 레바작의 생활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그의 재정적 원조 덕분에 레바작이 제문 상인과 직접 거래하여 오스트리아군에 식량과 가축을 공급하여 그의 명성과 부를 증대시켰고, 그의 거래를 통해 동료 축산 상인 카라조르와 M형제를 만나게 되었다.일란과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제1차 세르비아 봉기
1804년 라카 레바작(Raka Levajak)은 카라지제(Karadjordjordje)의 봉기 요구에 응하여 1804년 5월 6일부터 5월 15일까지 세르비아의 첫 국회인 오스트리흐니차 총회에 참여하였다.의회는 봉기의 발전과 봉기 정부의 조직 그리고 무기 획득에 대해 논의했다.
라카 르바작(Raka Levajak)은 1804년 제문(Zemon)에서 열린 터키와의 협상에서 카라지오르제의 사절단 중 한 명이었다.교섭은 1804년 4월 28일부터 5월 10일까지 오스트리아의 주최로 열렸다.카라지르제는 서부 포모라블제의 대표로 라카 레바작 등 선택된 16명의 세르비아 사절단과 함께 등장했다.[2]
미샤르(1806)와 류비치 전투에 참가했다.1809년 봄 스제니카와 수보돌 부근에서 반란군이 승리한 후, 라카 레바작은 밀라노 오브레노비치 및 3500명의 반란군이 몬테네그린을 향해 향하는 가운데 콜라신 상공을 건넜다.
카라조레는 몬테네그린과 보스니아인들의 친목회에 세르비아 민족의 단결을 되찾아 달라고 호소했다.카라조레는 몬테네그로의 선발대로 차락-안타 시메오노비치, 라카 레바작 등으로 구성된 외교사절단을 파견했다.[3]
그러나 1809년 5월 카메니카에서의 참혹한 패배와 델리그라드 카라조르예의 함락으로 세르비아를 급히 구출하고 노비 파자르를 포위하고 있던 모든 군대를 철수시켜 봉기를 몬테네그로까지 연장하려는 계획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라카 레바작과 차락-안타 시메오노비치 등은 1809년 9월까지 모라카에 남아 있다가 그때까지 피터 1세 주교로부터 카라조르제에게 보낸 편지를 들고 세르비아로 갈 수 있었다.[4]
라카 레바작(Raka Levajak)은 밀라노 오브레노비치 사망 직후인 1810년 우지체(Uzice)의 보즈보다(Vojvoda)가 되었다.그는 1813년까지 이 타이틀을 보유했는데, 그 때 카라지제와의 대립 끝에 하지두크 체포 명령을 거부하다가 자신의 타이틀을 박탈당했다.[5]봉기가 붕괴된 후에도 라카 레바작은 세르비아에 남아 자신의 무역으로 돌아왔다.
제2차 세르비아 봉기
제2차 세르비아 봉기 라카 레바작(Raka Levajak)이 다시 반란에 가담했을 때, 그는 특히 두블제 전투에 참가했다.
두블제 전투는 세르비아 반군과 오스만군의 대규모 전투로 1815년 7월 26일 포모라블제 지구의 한 마을 두블제에서 벌어졌다.이 전투에서 보요다 밀리치 드린치, 사마 네나도비치 등이 전사했지만 오스만 역시 큰 손실을 입었다.반군들은 보스니아에서 오스만군을 가까스로 저지했고 더 중요한 것은 오스만 사령관 이브라힘 파샤를 포로로 잡았다.이 전투로 제2차 세르비아 봉기의 무장 부분이 종식되었다.[6]보요다 밀리치 드린치치가 죽은 후,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로부터 모라비아의 보요다 칭호를 라카 레바작에게 바쳐, 그의 권위는 모라비아 공국의 22개 마을까지 확대되어 다시 보요다가 되었다.[7]
만년과 죽음
일부 역사학자들에 따르면 그는 1824년 밀로스 오브레노비치 왕자에게 반란을 일으켰고, 1825년에는 직함을 박탈당하고 여생을 가난하게[8] 보냈다 1833년 사망하여 모신제 교회 옆에 묻혔다.1935년 모진제에 새로운 교회가 세워졌고 그 과정에서 그의 묘비가 사라졌고, 2009년에 다시 만들어졌다.
레거시
2009년 5월 2일, 모진제 교회에서 히조스톰 주교(스톨리치)가 기념패를 공개했다.[9]밀라노 2세 밀리치예비치는 그의 작품에서 그를 언급했다.곤지 밀라노바크의 한 거리는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2008년 11월, 고란 R.세르비아 잡지 노보스티에 실린 레바작: 모라바 공작 라카 레바작(Morava Duke Raka Levajac)은 라카 레바작의 이야기를 6장으로 되짚어 본다.[1]
참고
- a^ 그의 이름의 유래는 타코보 지역의 레바 마을과 관련이 있다.
참조
- ^ Jaćimović, Miodrag (1973). Lazar Mutap: vojvoda moravski i čačanski. Serbia: Izdanje autora. pp. 10, 16–17.
- ^ štamp, Drž (1981). Karadjordje, Volume 2. Kralj. Srbije. pp. 88, 90.
- ^ 발칸 민족의 역사, 페이지 95 열렬한 매체
- ^ 세르비아 최초의 봉기와 세르비아 국가 네보즈샤 데크야노비치 복원, 세르비아의 블라디미르 메레니크 역사박물관, 세르비아 과학 예술원 갤러리, 2004 - P 65
- ^ 쟈보 우 마나스티루 두샨 바라닌 스토어, 1957 - 세르비아 - 404페이지 - P 174페이지
- ^ 지보트 이델라 벨리코그 도르다 페트로비차 카라 도르다 브르호프노그 보우다, 오슬로보디오카 이 블라디바라 스르비제 이 지보트 은제고비 이쥬나카: 카오 그라디보 자 스르토리쿠 오딘 1804 I 나달제 2권
- ^ Nikolić, Radojko (1979). Kamena knjiga predaka: o natpisima sa nadgrobnih spomenika zapadne Srbije. Zadruga. pp. 110–111.
- ^ 세르비아 최초의 봉기와 세르비아 국가 복원 65페이지, 네보즈샤 데일야노비치, 블라디미르 메레니크, 세르비아 역사 박물관, 세르비아 과학 예술원 갤러리, 2004
- ^ Спомен-плоча војводи Левајцу („Политика“, 5. мај 2009.)
참고 항목
- Stevanović, Mihailo M. (1893). "Hajduk-Veljko i njegova braća" (in Serbian). Požarevac: Mihailo Kostić.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7-19.
- Горан Р. Левајац: Моравски војвода Рака Левајац („Вечерње новости“, фељтон, 8-13.новембар 2008)
- Потомци основали удружење и поставили спомен-плочу („Курир“, 4. мај 2009)
- Спомен-плоча војводи Левајцу („Политика“, 5. мај 2009)
- Бранио српску нејач („Глас јавности“, 5. мај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