랠프 하틀리

Ralph Hartley
랠프 하틀리
Hartley ralph-vinton-lyon-001.jpg
태어난(1888-11-30)1888년 11월 30일
죽은1970년 5월 1일(1970-05-01) (81)
미국 뉴저지 주 서밋
국적미국인의
모교유타 주의 대학교
옥스퍼드 대학교
로 알려져 있다.하틀리 함수
하틀리 모듈레이터
하틀리 발진기
하틀리 변환
섀넌-하틀리 정리
수상IEEE 훈장 (1946)
과학 경력
필드전기공학

랄프 빈튼 리옹 하틀리(Ralph Vinton Lyon Hartley, 1888년 11월 30일 ~ 1970년 5월 1일)는 미국의 전자 연구자였다. 그는 하틀리 오실레이터하틀리 변형을 발명했고, 정보 이론의 기초에 기여했다.

전기

하틀리는 네바다주 슈프루체몬트에서 태어나 1909년 유타대학에 입학해 A.B.학위를 받았다. 1910년 옥스퍼드 대학 세인트존스로도스 학자가 되었고 1912년 학사, B학위를 받았다.1913년 석사학위. 그는 1916년 3월 21일 브루클린의 플로렌스 베일과 결혼했다.[1] 하틀리 부부는 자식이 없었다.

그는 미국으로 돌아와 서부전기회사의 연구소에 고용되었다. 1915년에 그는 대서양 횡단 무선 전화 시험라디오 수신기 개발을 담당했다. 이를 위해 그는 하틀리 오실레이터와 내부 커플링에 따른 삼극 가창을 제거하기 위한 중화 회로를 개발했다. 발진기의 특허는 1915년 6월 1일에 출원되어 1920년 10월 26일에 수여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동안 하틀리는 소리형 방향탐지기로 이어진 원칙을 확립했다.

전쟁 후에 그는 웨스턴 일렉트로닉으로 돌아왔다. 그는 나중에 벨 연구소에서 일했다. 그는 리피터, 음성 및 통신사 전송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면서 "전송할 수 있는 정보의 총량은 전송되는 주파수 범위와 전송 시간에 비례한다"는 법을 공식화했다. 그의 1928년 논문은 섀넌의 정보 이론의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전제조건"으로 간주된다.[2] 약 10년간의 병후 그는 1939년 자문위원으로 벨 연구소로 돌아왔다.

1930년대 대부분 동안 그의 병에도 불구하고, 하틀리는[3][4] 1929년부터 벨 연구소에 이론적이고 실험적인 연구 그룹을 구성하여 비선형 진동과 후에 파라메트릭 증폭기로 알려지게 된 것을 조사하였다. 이 연구는 레오니드 만델스탐이[5] 소련에서, 발타사르 반 데르 폴이 유럽에서 동시에 행해지고 있는 작업과 대부분 병행되었다.[6][7][8] 짧은 리뷰와 광범위한 서지학은 1960년에 Mumford에 의해 출판되었다.[9] 그 벨 연구소 일 하틀리의 지도 아래는 JohnBurton과 유진 피터슨는 동안 E.F.W. 알렉잔더슨:자기의 조정자, magn의 초기 형태로 근무할 때 특이한 특성 관찰했었다(자체만큼이나 먼 1917[10][11]는 비선형 회로를 시작했다에 의해 1930년대와 1940년대 동안에 전파되었다.etic입니다도금기 피터슨은 이후 1940년대 동안 존[12][13][14][15] 맨리와 해리슨 로우를 이 연구에 참여시켰고, 이 연구는 현재 유명한 맨리-로위 관계와 1950년대 중반 파라메트릭 회로에 관한 후자의 두 저자에[16][17][18] 의한 여러 논문에서 절정에 이르렀다.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특히 서보메차니즘 문제에 관여했다.

1950년 벨 연구소에서 은퇴하여 1970년 5월 1일 사망하였다. 그의 유산은 소수점 1자리 숫자에 해당하는 정보의 단위인 하틀리의 이름을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상

출판물

아마도 불완전할 것이다.

  • 하틀리, R.V.L. "순수음의 바이너럴 위치에서의 위상차이의 함수," 물리 리뷰, 13권, 이슈 6, 페이지 373–385 (191919년 6월)
  • Hartley, R.V.L., Fry T.C. "The Binaural Location of Pure Tones", Physical Review, 18권, 이슈 6, 페이지 431 – 442 (1921년 12월)
  • Hartley, R.V.L., "무선 전송에서의 캐리어와 사이드밴드의 관계", IREProcedures of the Radio Transmission, 제11권, 제1호, 제34권 – 56호, (1923년 2월)
  • 하틀리, R.V.L., "정보의 전송", 시스템 기술 저널, 제7권, 번호 3, 페이지 535–563, (1928년 7월)
  • Hartley, R.V.L., "양자 현상의 파동 메커니즘", 물리적 검토, 제33권, 제2호, 제289쪽 (1929쪽) (추상만 해당)
  • Hartley, R.V.L., "비선형 리액턴스가 있는 시스템의 범위",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15권, 3, 424 – 440권, (1936년 7월)
  • 하틀리, R.V.L. "광학 카탈리저의 도움을 받은 라만 스펙트럼의 방출", 네이처, 139권, 329권 - 329권(1937년 2월 20일)
  • 하틀리, R.V.L., "Aperiodic Signals 관련 Steady State Delay",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제20권, 제222쪽 – 234쪽 (1941년 4월)
  • 하틀리, R.V.L., "전송 문제에 적용되는 더 대칭적인 푸리에 분석," IRE절차, 30권, 2, 페이지 144–150 (1942년 3월)
  • 하틀리, R.V.L. "파동방정식에 벡터 분석의 적용에 관한 주", 미국음향학회지 제22권, 제4권, 제511권, (1950년)
  • Hartley, R.V.L., "비분류 통계의 중요성", Science, Volume 111, Number 2891, pp 574 – 576, (1950년 5월 26일)
  • 하틀리, R.V.L., "Matter, a Mode of Motion",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29권, 3권, 350 - 368, (1950년 7월)
  • 하틀리, R.V.L. "정전기 매체에 의한 파동의 반사", 벨 시스템 기술 저널, 29권, 3, 369 – 389권 (1950년 7월),
  • 하틀리, R.V.L. "A New System of Logarithmic Units", Processions of the IRE, Volume. 43, 1번 페이지 97 (1955년 1월)
  • Hartley, R.V.L., "New System of Logarithmic Units", Journal of America, Voiceical Society, 제27권, 제1, 페이지 174 – 176, (1955)
  • 하틀리, R.V.L. "푸리에 분석과 파도 역학의 정보 이론" 1955년 8월 10일, 출판 정보는 알려지지 않았다.
  • Hartley, R.V.L., "파동 입자의 질량" 1955년 7월 30일, 미발표 원고, 미국 물리학 연구소, College Park MD의 Niels Bohr Library & Archives에서 구할 수 있는 사본들
  • Hartley, R.V.L., "인력의 메커니즘" 1956년 1월 11일, 출판되지 않은 원고; 미국 물리학 연구소, College Park MD의 Niels Bohr Library & Archives에서 사본 입수 가능
  • Hartley, R.V.L., "전기와 자성의 메커니즘" 1956년 6월 14일, 미발표 원고, 미국 물리학 연구소, College Park MD의 Niels Bohr Library & Archives에서 구할 수 있는 사본들
  • Hartley, R.V.L., "난동하는 액체 속의 회전파", 미국음향학회지 29권, 제 2, 페이지 195 – 196, (1957)
  • 하틀리, R.V.L., "기타원자물리학의 기계론", 과학철학, 제26권, 제4권, 제295권 – 309권 (1959년 10월)

참고 항목

메모들

  1. ^ Frank Aydelotte (1916). The American Oxonian. Association of American Rhodes Scholars. p. 84.
  2. ^ Frank, S. A. (February 2009). "Natural selection maximizes Fisher information". Journal of Evolutionary Biology. 22 (2): 231–244. arXiv:0901.3742. doi:10.1111/j.1420-9101.2008.01647.x. PMID 19032501. S2CID 7886157.
  3. ^ Hartley, R.V.L. , "양자 현상의 파동 메커니즘"; 물리 리뷰, 33 페이지 289, 1929 (추상만 해당)
  4. ^ Hartley, R.V.L., "비선형 리액턴스가 있는 시스템의 범위",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제15권, 제3권, 1936년 7월, 페이지 424 - 440
  5. ^ Mandelstam L.I., Papalexi N., Andronov A., Chaikin S., Witt A., "Report on Recent Research on Nonlinear Oscillations", Technical Physics in the USSR, Leningrad, Volume 2, Numbers 2-3, 1935, pp 81 – 134, (NASA Translation Doc TTF-12,678; November 1969)
  6. ^ Van der Pol,B, "휴식-오실로스코프" 철학적 잡지, ser.7, vol. 2, 페이지 987-992; 1926년 11월
  7. ^ 반데르 폴, B., 반데르 마크, J. "주파수 분해", 네이처, 120, 363-364, (1927)
  8. ^ 반 데어 폴,B, "전기 진동 비선형 이론", IRE절차, 22권, 1051-1086; 1934년 9월
  9. ^ Mumford W.W, "파라메트릭 변환기의 역사에 관한 몇 가지 참고", IRE절차, 제48권, 제5호, 제5호, 제848호 - 853호 (1960년 5월)
  10. ^ Peterson E, "복합 자기화"; 물리적 검토, 제27권, 제3호, 1926년 3월 페이지 318 - 328
  11. ^ 피터슨 E, "원자 물리학과 회로 이론"; 벨 연구소 기록, 1929년 2월, 페이지 231-233
  12. ^ 피터슨 E, Manley J.M, Fruelall L.R.,"조화학적 그룹의 자기 생성", The Bell System Technical Journal, 16권, 4권, 1937년 10월, 페이지 437 – 455
  13. ^ Manley J.M, Peterson E, "포화성 원자로 회로에서의 음성 저항 효과", AIEE 트랜잭션, 65권, 1946년 12월, 페이지 870 – 881
  14. ^ Manley J.M, "자석 증폭기의 몇 가지 일반적 특성", IRE절차, 제39권, 1951년 3월, 페이지 242 – 251
  15. ^ Manley J.M, "시간 변화 네트워크의 일부 특성", IRE Transactions on Circuit Ironics on Circuit Struction, CT-7, 1960년 8월, 페이지 69–78
  16. ^ Manley J.M, Roewe H.E, "비선형 요소의 일반적 특성 - Part I: General Energy Relations", IRE의 Procedures of the IRE, Volume 44, 1956년 7월, 페이지 904 – 913
  17. ^ Rowe H.E, "비선형 원소의 일부 일반적 특성 – Part II: 작은 신호 이론", IRE절차, 제46권, 1958년 5월, 페이지 850 – 860
  18. ^ Manley J.M, Roe H.E, "비선형 반응에서의 일반 에너지 관계", IRE의 절차, 제47권, 1959년 12월, 페이지 2115–2116

참조

  • Ralph V. L. Hartley, Legacies, IEEE History Center, 2011년 7월 7일 업데이트
  • 1920년 10월 26일 미국 특허청 [1], 페이지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 미국 특허 1,666,206, 변조 시스템, 1928년 4월 17일 미국 특허청, [2]; 페이지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