랠프 쇤만

Ralph Schoenman

랄프 쇤만(Ralph Schoenman, 1935년 출생)은 미국의 좌익 활동가로, 베르트랑드 러셀의 개인 비서였으며, 베르트랑드 러셀 평화재단의 총비서가 되었다.그는 러셀이 지원하는 핵군축 운동, 100개 위원회, 비공식 전범 재판소 등 러셀이 지원하는 많은 프로젝트에 관여했다.1970년 죽기 직전에 러셀은 공개적으로 쇤만과 결별했다.

인생

1961년 2월 런던에서 반핵 행진을 주도하고 있는 버트랜드 러셀, 에디스 러셀과 나란히 랠프 쇤만(가운데 오른쪽).

뉴욕 브루클린에서 태어난 쇤만은 프린스턴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1958년 미국을 떠나 영국으로 향했다.학창시절에 각종 시위 활동에 참여하였고 영국에 도착한 후 CND에서 활동하게 되었다.이로 인해 그는 러셀과 접촉하게 되었고, 러셀을 위해 쇤만은 1960년부터 일하기 시작했다.베르나르 레빈은 쇤만이 러셀에 끼친 영향에 대해 비판적으로 썼는데, 쇤만은 일찍이 공산주의에 반대하는 선언과는 대조적으로 러셀의 맹렬한 반미주의에 부분적으로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1]러셀은 쇤만에 대해 "그가 다소 경솔한 청년인 것을 알고, 나는 그를 제지해야 한다"고 말했다.[2]

1963년 쇤만은 중국이 전년에 휴전을 선언하자 중-인도 국경 분쟁 해결을 중재하기 위한 시도로 러셀의 비서로 참여했다.중국 방문에 대해 런던 주재 미국 대사관은 그를 여행 제한에 처하게 했고, 그의 여권은 미국으로 돌아갈 수 있는 유일한 유효한 것으로 여권에 도장을 찍었다.[3]

쇤만은 1966~1967년 북베트남과 캄보디아를 방문한 국제전범재판소 러셀 재판소의 조직원이자 회원이었다.[4]쇤만은 이 단체의 자체 카메라 제작진 외에도 NBCCBS로부터 재판소의 하노이 방문을 위해 네트워크 텔레비전 방송의 취재를 협상하려 했으나, 조건을 둘러싼 논쟁에서 거절당했다.방송사들은 이 특권에 대한 대가를 요구받았고 또한 검열을 위해 영상 제출을 포함한 그들에게 제안된 제한들이 그들의 객관성을 위태롭게 할 것이라고 생각했다.CBS 뉴스의 리차드 살란트 사장은 "그들은 수사로 한 점을 증명하기 위해 나섰고 그들은 갈갈이 있다"고 말했다.[5]쇤만은 ABC방송이 재판소의 카메라맨 중 한 명으로부터 필름을 획득한 것처럼 다른 사람들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방송사들이 지불할 것이라고 언급하면서 수수료나 검열이 요청되었다는 주장을 부인했다.[6]

쇤만은 이러한 방문을 마친 뒤 재판소 청문회에서 미국이 베트남에서 대량학살을 저질렀다고 주장했다.그는 "민간인구를 말살하지 않고 뉴욕과 펜실베이니아 크기의 나라에 매일 400만 파운드의 폭탄을 투하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7]

재판 과정에서 미국 정부가 쇤만의 여권을 취소한 것은 북베트남에 대한 무단 방문 때문이었다.1967년 11월 레기스 데브레이의 재판에 참석하기 위해 그곳을 여행하던 중 볼리비아 당국에 의해 다시 미국으로 추방되었다.[8]그 결과 는 덴마크 당국이 여권 없이 입국하는 것을 거부했기 때문에 그 달 말 코펜하겐에서 열린 재판절차에 참석할 수 없게 되었다.[9]이로 인해 쇤만은 1968년 6월 추방될 때까지 열흘 동안 머물렀던 영국에 불법 입국하기 전에, 어느 누구도 그를 인정하지 않는 몇몇 유럽 국가들 사이에 끼어드는 수순을 밟게 되었다.[10][11]

1969년 12월 러셀은 쇤만과 접촉이 없고 자신의 활동을 몰랐다는 점에서 공개적인 발언을 했다.러셀은 쇤만을 베르트랑 러셀 평화재단 이사회에서 해임하는 투표를 승인했다.[12]

쇤만은 그 후 베트남에서 미국의 전쟁범죄를 문서화하기 위해 베트남에서 미국 전쟁범죄 시민조사위원회를 설립했다.조사 위원회는 베트남에서 잔혹행위로 의심되는 사건에 대한 청문회를 진행하며 미국을 돌아다녔다.[13][14]

후에 쇤만은 뉴저지 프린스턴에 정착하여 다시 여행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샤 정부가 쇠퇴하던 시기에 이란을 방문하여 미국의 지원을 받는 정부의 인권 침해에 대한 경각심을 높였다.[15]새로운 임시 혁명 정부는 1979년 3월에 그를 추방했다.[16]

현재 활동

2002년부터 쇤만은 다큐멘터리 영화제작자 마이라이드와 함께 미국, 캐나다 각지의 라디오 방송국에 해설을 제공하면서 "영원한 전쟁에 중독된 자본주의 체제의 숨겨진 일에 대한 비협조적이고 사실 집약적인 폭로" 라디오 쇼를 제작하고 있다.[17]2009년에 그들은 WBAI를 통한 방송으로부터 인터넷 웹캐스트로 이동했다.

  • 콩고의 죽음과 필레지: 1965년 서구 통치에 관한 연구 OCLC77008718
  • 베트남의 미국 범죄, 1967, OCLC 468601
  • 베르트랑 러셀: 1968년 세기의 철학자, OCLC 5768265
  • 시오니즘숨겨진 역사, 1988년 ISBN 978-0-929675-01-5
  • 이라크와 쿠웨이트: 억압된 역사, 1998년 ISBN 978-0-929675-05-3

참조

  1. ^ 레빈, 버나드."베르트랑 러셀: 검사, 판사, 배심원"1967년 2월 19일 뉴욕타임즈.
  2. ^ "버트랜드 러셀은 죽었다; 영국 철학자, 97"뉴욕타임즈 1970년 2월 3일 페이지 1.
  3. ^ "미국 커브스 러셀의 보좌관"1964년 7월 24일자 뉴욕타임스 13면.
  4. ^ "10일 일정으로 캄보디아의 러셀 '범죄' 패널에 5개"1967년 1월 13일자 뉴욕타임스 2면.
  5. ^ 달로스, 로버트 E. "2 네트워크 스펀 러셀 '코트' 비드"뉴욕타임즈 1967년 2월 16일 페이지 1
  6. ^ 슈미트, 다나 아담스"러셀 보좌관이 자금 입찰 거부"1967년 2월 20일자 뉴욕타임스 13면.
  7. ^ 슈미트, 다나 아담스"러셀 보좌관은 미국에게 베트남에서의 대량학살을 고발한다."1967년 5월 8일자 뉴욕타임즈 페이지 8.
  8. ^ 존스턴, 리처드 J.H. "러셀의 볼리비아인 추방 보좌관"뉴욕타임즈 1967년 11월 3일 페이지 9.
  9. ^ "루셀 재판소 2d 세션 시작"1967년 11월 21일자 뉴욕타임스 6면.
  10. ^ "천만은 네덜란드에 의해 아일랜드에 반환된다."뉴욕 타임즈, 1968년 5월 21일 페이지 16.
  11. ^ "천만, 영국에 의해 쫓겨났다, 도착하다.1968년 6월 29일 뉴욕 타임즈 페이지 2.
  12. ^ "Russell Disavows American Ex-Aide".뉴욕타임즈 1969년 12월 10일 페이지 3
  13. ^ "Russell Clearizes Position".뉴욕타임즈 1970년 1월 13일 페이지 37.
  14. ^ 로빈슨, 더글러스"Ex-Pilot Alleges Civilian Slayings".뉴욕타임즈 1970년 4월 7일 페이지 5.
  15. ^ 애플, R.W. 주니어 "미국은 겁에 질린 작은 이란 마을에서 경찰의 포위 공격을 묘사한다."뉴욕타임즈 1978년 12월 18일자 A4면.
  16. ^ 제인스, 그레고리 "이란 재판에서 물어본총리의 죽음"1979년 3월 16일자 뉴욕타임즈 A1면.
  17. ^ http://takingaimradio.com/about.html

외부 링크